도서관에서 행사를 추진하는 것은 학교와는 다르게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하기 때문에 이용자의 자발적인 참여를 위해서는 호기심 또는 끌림을 갖게 하는 무언가가 있어야 한다.
오늘 우리 도서관에서 '가족어울림 독서한마당' 행사를 진행했다. 난 반복되는 업무보다는 무언가 새로운 시도를 좋아하기에 기꺼이 한달전부터 조금씩 준비를 했다. 세부프로그램은 가족이 모두 참여할 수 있는 "동화작가 초청강연회와 음악 콘서트, 그리고 독서퀴즈대회". 독서골든벨도 생각했지만 자칫 경쟁심만 키울수도 있기에 부담없는 독서퀴즈로 결정. 강연회는 아이들도 많이 알고 있는 채인선 작가님으로 계획하고 통화를 했는데 가능하시단다. 강사섭외가 쉽게 되면 참 뿌듯하다. 괜히 내가 자랑스러워지고.... 대상은 3~4학년 및 학부모 140명으로 결정^*^
그리고 음악 콘서트. 교육청 직원들로 구성된 Edu-Chamber 오케스트라 단원중 친구가 악장이라 전화 한 통화로 섭외 끝. 곡 해설도 부탁했는데 참 좋았다. "Ich liebe dich, 브람스의 왈츠, Minute in G, 사랑 등 우리에게 익숙한 곡을 해설과 함께 들려주고 '사랑'은 다함께 부르니 가족들 모두 얼굴에 편안한 미소가 흐른다.
행사의 하이라이트는 독서퀴즈대회.
독서퀴즈 정답자 추첨을 색다르게 하려고 뽑힌 학생이 직접 상품을 고르게 했다. 커다란 칠판에 코끼리를 만들고 머리에 풍선을 그려놓은뒤, 풍선에 번호를 붙여놓고 아이들이 직접 번호를 고르면 그 안에 선물을 숨겨 놓았다. 물감세트, 필통세트, 책2권, 연필깎이, 서예도구세트. 그리고 뽑히지 않은 아이들을 배려해서 기념품으로 문화상품권을 주었다.
30명을 추첨해서 상을 주는 것이라 문제를 최대한 쉽게 냈다. 약속을 설명하는 부분에서는 "새끼 손가락 걸고 ㅇㅇ해요" 해야 하는데 "새끼 손가락 걸고 약속하는것 있죠" 하면서 정답을 말해버리니 아이들이 모두 웃는다. 행사가 끝나고 설문지를 읽는데 "독서퀴즈 문제를 내주신 사서선생님 참 재미 있었어요. 센스 짱이예요!!" 하는 글을 읽으니 웃음이 난다. 장난스럽게 엉뚱한 정답을 이야기 해주면서 함께 웃다보니 이런 글이 나온듯. 나의 실수는 아이들에게 즐거움을 주네.
행사가 진행되었는데 시나리오가 없어지거나, 관장님한테 무참히 깨지는(?) 개꿈을 꾼것만 빼면 대성공이다. ㅋㅋ
첫 느낌이 시니컬해 보였던 채인선 작가님은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춘 강의와 자신의 작품속 비하인드 스토리도 설명해주어 즐거움을 주셨으며, 오케스트라의 편안하고 생동감 있는 연주는 행사를 고급스럽게 해주었다. 나의 코믹스러운 문제 출제와 신선한 추첨 방식은 즐거움을 주었다.
이용자가 아닌 고객으로 서비스 하는것. 도서관이 단순히 책만 빌려가는 곳이 아니라는 인식, 양보다 질적인 독서교육을 하고 좋은 독서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것은 바로 사서들의 몫!! 난 역시 대학도서관이나 전문도서관보다는 공공도서관 체질이고, 선, 후배 사서가 주말임에도 모두 나와 내 일처럼 도와주는 이곳이 참 좋다. 큰 행사를 흡족하게 마무리하면 뿌듯하다.
연주에 참여했던 친구가 보내준 문자 "오늘 참 멋졌어. 자랑스럽더라. 내 칭구. 좋은 행사 초대해줘서 고마워^*^"
사서라서 행복하다~~~~

(채인선 작가님 사인하는 모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