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사업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저는 매우 큰 것을 기획하려 했지만,
내가 거친 회사들은 모두 '작은 것'을 달라고 합니다. 그래서 '선전포고'를 했습니다.
이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기다립니다.



회의석상에서는 여러 가지 여건상 하지 못했던 이야기를 이렇게 편지로 전합니다.

존경받는 기업은 '마인드'가 있습니다. 그리고 '철학'도 있습니다. 마인드와 철학은 엄

연히 다르지만, 그 두 가지를 모두 가지고 있는 것이 제가 생각하는 교육기업입니다.

이 점에 대해서 생각해 보았습니다. 어쨌든 이 글은 저의 의견이므로 소장님의 판단을

기다리겠습니다.


시장은 경쟁과 협력과 공유의 측면을 모두 가지고 있으므로, 이 세 가지가 반영되어야

합니다.

콘텐츠가 노출되는 순간 우리의 경쟁력이 잠식당한다는 충고는 의미가 있지만, 생각

해 보아야 할 점이 있습니다.

어떤 방법으로 얼마만큼 노출해야 하는가 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해서는 고민을 해

야 하겠지만, 어떻게 해서든 '노출'은 불가피하며 최팀장이 말한 '기출문제 풀이' 정도

의 콘텐츠는 언론이든 학생이든 누구의 조명도 얻을 수 없다는 점에서 들 만한 카드는

아닙니다. 그리고 앞서 말씀드린 '시장'의 세 가지 특성 중 '경쟁'의 요소만을 감안한

한계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으로는 '시장'을 만들 수 없습니다.


우리들의 콘텐츠가 타사에서 탐낼 만큼 매력적인 것이라면, 그것은 학생들에게도 매

우 유익한 콘텐츠라고 생각합니다. 우리의 규모와 여러 가지 여건으로 보았을 때 많은

학생들에게 우리들의 콘텐츠를 독점적으로 공급하는 것은 쉽지 않습니다. 우리는 교

육기업입니다. '교육'에 강세가 붙느냐 '기업'에 붙느냐에 따라 마인드는 전혀 달라지

지만, 학생들에게 양질의 콘텐츠를 제공하는가, 우리들의 콘텐츠 노출 수위를 조절하

며 이익을 추구하느냐 하는 두 가지 문제는 양립할 수 없는 점이 있으면서도, 동전의

앞뒷면처럼 상호 보완적인 점이 있습니다.

전자는 '교육'에 우선순위를 두는 '공기(公器)'로서의 기능을 말하는 것이며, 후자는

이익의 극대화를 의도한 시장성의 기능을 말합니다. 하지만 시장 극대화를 위해서는

이 두 가지가 모두 담겨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노자 도덕경에 "상대를 줄이고 싶으면

먼저 퍼주고, 약하게 만들고 싶으면 먼저 강하게 해주고, 쓰러뜨리려고 하면 먼저 일으

켜주며, 빼앗으려고 하면 먼저 주어야만 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이것이 큰 장사꾼의

도입니다. 사실 '수위 조절' 전략은 이익 중에서도 '작은 이익'에 소용이 되며, 큰 이익

을 얻기 위해서는 이와는 다른 전략을 구사해야 합니다. 시장은 우리 힘만으로 만들어

지는 것은 아니며, 초암과 유레카 등의 경쟁사들이 있어야 더욱 커질 수 있는 거 아니

겠습니까.


'학생들'을 생각했을 때 반드시 'OOO'(울 회사 이름, 대외비임)라는 제한이 아니더라도 우리들의 콘텐츠

의 수혜를 입을 수 있습니다. 초암이나 유레카 같은 대규모 집단이 꿀벌처럼 우리의 종

자들을 옮겨다준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문제는 이들이 우리의 콘텐츠를 이용해 이권

을 얻는다는 점인데, 하지만 이들의 한계는 명백합니다.

우리는 콘텐츠의 원천 기술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계속 업데이트를 할 수 있습니

다. 그들이 우리의 콘텐츠를 응용하여 더욱 유익한 콘텐츠를 개발해낸다면 그것은 또

하나의 유익한 현상입니다. 이미 경쟁은 시작되었습니다. 여기에 '시장'이 하나 있습니

다. 우리는 시장에 발을 담그느냐 마느냐, 시장을 개시하느냐 버리느냐 하는 선택의 입

장에 서 있습니다. 경쟁이 무서워서, 그들의 콘텐츠 개발 능력이 두려워서 하나의 버젓

한 시장을 되돌린다는 것은 제가 볼 때 분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소장님, 레이스를 시작할까요 시작하지 않을까요. 레이스를 늦게 시작하면 늦게 시작

한 만큼 손해는 막대합니다. 그들이 우리의 콘텐츠를 이용하는 것은 '작은 손해'이지만

, 그 이유로 '시장'의 개시를 늦추는 것은 '매우 큰 손실'입니다.

제 관점에서 말씀드리면 콘텐츠 노출로 인한 불이익을 걱정하는 것은 '조급증'이 아닌

가 생각하며, 교육기업으로서 '품'이 작은 모습이 아닌가 하여 아쉬운 생각이 듭니다.

제가 말씀드린 '시장'은 빙산의 일각에 불과합니다. 시장은 아직 시작되지도 않았으며,

시작되었다고 하더라도 한참을 달려야 그 모습이 드러날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는 레

이스가 시작되면 거침없이 달려갈 것입니다. '그들'이 우리를 발견하고 반응하는 시간

보다 더 빨리 더 다양하고 치밀한 계획을 가지고 나아갈 것입니다. 그것이 이익과 '교

육'을 함께 중시하는 '역동적인 교육기업'의 모습이라고 생각합니다.


노출 수위에 대해서는 분명히 고민을 해야 하겠지만, 큰 틀에서는 저의 기획안에 나타

난 '무한 공유'의 원칙을 따르며 지속적으로 서비스하고, 출판과 사업 제휴, 시장확대

까지 연결짓는 이 '시장'의 항해를 속도감 있게 진행해야 한다는 것이 저의 소견입니다

. 이에 대한 소장님의 판단을 기다립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tella.K 2006-07-03 16: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잘했네. 그 오너가 그대의 의견을 잘 반영한다면 좋겠다. 결과야 어찌될런지 몰라도 이렇게 자꾸 두드려 보는 건 좋은 자세인 것 같아. 부디 좋은 소식 있었음 좋겠네.^^

승주나무 2006-07-03 17:1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스텔라 누님//감샤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