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룡 숲 - 자연을 사랑하는 아이로 키우는 책
조지 맥클레멘츠 글.그림 / 해와비 / 2010년 2월
절판


요즘은 환경문제를 걱정하는 책이나 멸종위기동물들을 걱정하는 책들이 참 많이 나오고 있다.
이 책 또한 사라질 위기에 놓은 숲속 동물들이 자신들의 삶의 터전을 지키기 위해 애쓰는 이야기다.
숲속 일곱 친구들은 사람들이 숲을 없앤다는 이야기를 듣고
어떻게 해야할지 대책회의를 갖는다.

이리 저리 궁리끝에 이미 멸종되어 사라진 공룡을 만들어 낸다면 사람들은 분명 숲을 없애지 않을꺼라 믿는다.
사람들에겐 그 멸종되어 사라지거나 멸종위기에 놓여 있는것들만 우선순위에 들어 있음이 참 안타까운 현실이다.
그렇게 어마 어마한 크기의 공룡을 만들어 낸 장면을 보니 라면상자 하나 뜯어 뚝딱 만들어 보고 싶은 마음이 생긴다.

이 책은 이렇게 책을 펼치는 순간 종이로 오려서 만들어진 동물들의 모습과 배경들이 나도 종이를 오려서 만들어 보고 싶은 그런 충동을 일으키기도 한다.
그 큰 공룡을 어찌 움직일까 싶겠지만 역시 동물들에게도 다 생각이 있다.
각자 맡은 위치에서 각자의 역할에 맞게 행동하는것!
그렇다.
우리 인간도 마찬가지로 자연속에서 우리가 맡은 인간으로서의 책임을 다 하는 행동을 해야하는데,,,

드디어 숲속에 공룡이 나타났다는 소문을 듣고 온갖 종류의 사람들이 다 모여들었지만 그만 전기선을 밟고 무너져 버리고 만다.
이제 동물들의 장난이란걸 사람들이 알게 되면 어떻게 될까?
아이들도 이쯤되면 쫌 걱정스러워하겠지!

그런데 알고보니 일곱동물친구들은 모두 멸종위기의 동물들이란다.
그렇게 발견하게 된 멸종위기동물들 덕분에 숲은 다행히 사라지지 않고 보호숲으로 지정되어 공룡해프닝을 벌이는 바람에 공룡숲이란 이름을 갖게 된다.
우리 아이들은 이 책을 읽으며 무슨 생각을 할까?
아마도 왜 숲이 사라져야만 하는지,
왜 동물들이 멸종위기에 놓여 있는지,
그런것들이 궁금해서 마구 질문을 쏟아 놓을지도 모른다.

그런 질문에 대한 답을 해줄 수 있는 페이지도 있다.
이야기가 끝나면 아니나 다를까 공룡을 만들어 볼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는 페이지도 있으며
엉마와 함께 멸종 동물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정보를 주는 페이지도 있다.
우리 아이들도 이 책을 통해 자연과 동물을 아끼고 사랑하는, 그리고 지켜줄 수 있는 마음을 가질 수 있다면 참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존 버닝햄 할아버지와 헬렌 옥슨버리가 함께 만든 책이란다. 

참 부러운 부부다. 

서로 하는 일도 같고 그림도 참 잘그리는데다 

책도 참 잘만드는 정말 환상적인 부부! 

예전 비룡소 출판사에서 자신의 책을 낸 존버닝햄 할아버지를 만나러 간적이 있다.  

싸인을 받겠다고 줄을 서서 기다리면서 할아버지를 만나면 무슨 이야기를 하나 무척 고민했던 그 순간! 

결국 그 흔하디 흔한 '헬로, 나이스투미튜!' 로 한마디 건네엇던 참 부끄러웠떤 그때! 

그래도 우리 아이들 이름으로 싸인을 받겠다고 손짓발짓 다 해가며 

이게 우리 아이들 이름이다.  

이걸 좀 써달라  

하고는 한글 이름을 써서 보여주었더니 난감해 하는 표정! 

존 버닝햄 할아버지의 그 웃음기 가득한 얼굴이 당혹스러워하며  

이걸 어떻게 써야하나 하는 표정이 참으로 나를 더 당황스럽게 했다.  

그림 그리는 사람도 글씨를 베껴 쓰기란 쉽지 않은가 보다. 

아마도 내내 뒹글뒹글 굴러 쓰던 알파벳이 아닌 각지고 낯설어 보니는 글자여서일까? 

그리곤 어설프게 아이들 이름을 베껴 쓰는 모습이라니,,, 

너무 너무 귀여웠다고 해야할까?  

고 옆에 앉아 같이 싸인해주시던 헬렌 옥슨버리 여사는 그야말로 덤으로 만나게 된 사람! 

나는 사실 그때까지만해도 그녀가 누군지도 몰랐다.  

그저 존 버닝햄 할아버지의 그림과 이야기에 빠져 있었으니,, 

그런데 마침 준비한 책도 없고 서로 부부라고 하니 존 버닝햄 책에 싸인을 받으려 했다.  

그런데 나감해 하시며 옆을 가리키더니 이책은 이양반 책이다. 그러는거다.  

그래서 할 수 없이 수첩을 꺼내어 싸인을 받은적이 있다.  

에고,, 어차피 부부인데 같이 좀 해주어도 좋을것을,, 

서로의 영역이 다르다는게지!

아무튼 그때 참 많이 늙으셔서 이 만남이 내게 마지막이 될 수도 있지 않을까 싶었는데  

이렇게 아직도 건강하게 살아계셔서 부부가 함께 책을 냈다니 참 반갑다.  

앞으로 더 멋진 두 부부의 이야기책이 많이 나오기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물원 그림책은 내 친구 1
앤서니 브라운 글 그림, 장미란 옮김 / 논장 / 2002년 8월
구판절판


앤서니 브라운의 행복한 미술관을 읽고 너무 행복한 기분으로 동물원을 펼쳤다.
동물원 매표소에서 표를 끊으며 아이의 나이를 속이는 아빠라니,,
그런데 정말 보통 사람들의 일상적인 이야기다 싶으면서 참 민망했다.
나도 가끔 그러니까,,,ㅋㅋ

어쩜 동물들이 숨바꼭질을 하듯 저렇게 멋지게 자리하고 있을까?
벽돌인지 기린인지 분간이 어려운 멋진 그림이다.
앤서니 브라운 아저씨의 그림은 정말이지 볼수록 매력적이다.
우리에 갇힌 호랑이를 보며 그걸 불쌍해하는 모습에 아빠는 말한다.
'저 녀석이 쫓아오면 그런소리 못할껄?저 무시무시한 송곳니 좀 보라고!'
동물들을 우리에 가둬놓고 구경하는 사람보다 무시무시한게 있을까?

어쩜 엄마말처럼 우리속에서 투닥거리는 원숭이의 모습과 닮은듯도 한 우리 아이들!
동물들을 보러 다니면서도 아이들이 즐거워한다는 느낌보다 지루해하고 불쌍해하고 안쓰러워한다는 생각이 든다.
이가족의 아빠 또한 행복한미술관의 아빠처럼 위트있는 말들로 썰렁한 재미를 주지만 아이들은 더이상 재미가 없다.
그리고 점 점 처음 가졌던 즐거운 마음이 점 점 사그라든다.

앤서니 브라운 그림의 주를 이루는 고릴라!
그 고릴라를 동물원에서 만난 순간 그가 얼마만큼 강렬한 인상을 받았는지를 보여주는 한편의 그림이다.
이그림을 들여다보는 우리 아이들에게도 무척 인상적일듯하다.

그리고 그날밤 자신이 우리에 갇힌 꿈을 꾸는 주인공!
동물들의 입장에서 생각해보자면 우리속에 있다고 생각하기보다 우리에서 내다보는 인간들이 오히려 우리에 갇혀 있다고 느낄수도 있겠지 싶다.
그러고보니 지금껏 내가 동물원의 동물을 구경한것이 아니라 동물들이 나를 구경한듯한 섬뜩한 느낌이 들기까지 한다.
그러니 내가 우리에 갇혀 있단 생각을 하면 끔찍하다.
불쌍한 동물들.

일요일 가족들이 나들이삼아 가는 동물원의 기억이 앤서니브라운에게는 그리 썩 달갑지 않았던거 같은 느낌을 준다.
무언가 강한 메시지를 주는 마지막 그림이 아직도 가슴에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게으른 고양이의 결심 - <책 먹는 여우> 프란치스카 비어만의 저학년을 위한 꼬마도서관 45
프란치스카 비어만 지음, 임정희 옮김 / 주니어김영사 / 2009년 3월
장바구니담기


아니 게으른 고야이가 무슨 결심? 갑자기 부지런해지기라도?
아고 뒹굴이의 방을 보니 게으르긴 게으르네!ㅠㅠ
어쩜 우리 아이들 방이랑 똑같을까?
게다가 소파에서 꼼짝도 않고 모든일을 처리하다보니 소파에 웅덩이가 생겼다고?

하루가 무지 무지 빡빡한걸?
뭐 밥먹고 소화시키려고 잠자기 같은건 참 웃기는 거지만
깔끔을 떠느라 세수도 열심히 하고 게다가 공부도 하고 명상도 하네?
게으른 고양이 맞어?

집밖으로 나가는 곳이라곤 세상의 끝인 저기 냄새나는곳?
아무렴 냄새나는 일을 집에서 할 수야 없는일!
그런데 골치아픈 이웃개 때문에 화장실도 맘대로 못가네!
그래도 어떻해, 급하면 가야지!

그런데 좀 불길한 예감이 들어 조심 조심 가다가 꽈당!
그 골치아픈 이웃개랑 부딛혀 버렸군!ㅠㅠ어쩜 불길한 예감은 그리도 잘 들어 맞는지!
그런데 몸은 왜 긁어?
오호라 벼룩이가 옮겨왔구나!

너무너무 가려워 이리저리 허둥대는 니 꼴을 보니 정말 우습구나!
뭐 복수하겠다구? 그래 어떻게 할건데?
굼뱅이두 구르는 재주가 있다고 뒹굴이가 참재주가 많구나!
기니피그 머리도 빗겨줄줄알고 소를 괴롭히는 파리도 잡아주고 어쩜 루디에겐 축구도 코치해주고,노래까지,,,
와 너 정말 대단한데? 천재구나!

그렇게 부비적 대더니 결국 여자친구 고양이에게 옮겨줬구나?
그래 이제 속이 좀 편하니?
이젠 편안히 예전처럼 소파에 드러누워 자신의 스케줄에 맞춰 하루 하루를 게으르게 보내면 되는거야?

그런데 뭔가 좀 허전하다구?
아~! 너 혼자 있으니 심심한거구나?
이쯤되면 우리 아이들도 뒹굴이의 결심이 뭔지 눈치채겠다.
암튼 게으른 고양이가 벼룩 한마리 때문에 정말 대단한 결심을 했네!

이렇듯 혼자놀기만 하던 뒹굴이가 친구들을 찾아가 놀다보니 서로 어울려 지내는것이 얼마나 즐거운 일인가를 깨닫는 이야기!
우리친구들두 그럼 벼룩이를 옮겨와야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앤서니 브라운의 행복한 미술관 웅진 세계그림책 15
앤서니 브라운 글 그림, 서애경 옮김 / 웅진주니어 / 2004년 6월
장바구니담기


정말이지 앤서니 브라운 아저씨의 책은 좋아하지 않을수가 없다.
그림도 너무 너무 정교해서 자꾸만 들여다 보게 되는
마력을 지녔는데 이야기까지 어쩜 이리 재밌는지!
어떤 미술관이길래 행복한 미술관일까?

보통 아이들은 미술관에 가자하면 정말 따분해한다.
앤서니 브라운의 가족중 아빠와 형이 딱 그랬나보다.
게다가 좋아하는 스포츠도 못보고 가게 되었으니 그맘 알겠다.

알 수 없는 조형물 앞에서 네 사람이 조형물의 정체를 밝히는데 여념이 없다.
왠지 우리 가족의 모습을 보는거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해 친근하게 느껴지는 장면이다.
상상력이 부족한 사람이라면 이런 추상적인 조형물은 정말 어렵고 따분하겠다.

어찌나 따분하던지 스포츠에 온통 신경을 쓰던 형은
미술관 벽에 기대어 쉬고 싶어 한다.
명화들이 걸려 있는 미술관을 가게 되면 하지 말아야할것들이 참 많다.
벽에 기대지도, 작품에 손대지도, 작품 가까이 가지도,선을 넘어가지도, 시끄럽게 떠들지도 말아야한다.
활동적인 아이들이 좀 자유롭게 그림을 감상 할 수 있는 그런 미술관은 없을까?
하지만 이런 경험을 통해서 공공기관에서의 에티켓을 배울수 있기도 하니 참아야지!

그런 따분한 형의 마음을 아는지 그림을 보며 상상놀이를 시작한다.
그림속 배경이 되는 액자에서부터 아이들이 하는 놀이와 엄마 아빠의 행동까지 모두 내맘대로 상상이다.
물론 작가가 그림을 그린 이유를 안다면 더 좋겠지만 그렇지 않더라도 어쨌거나 맘대로 상상하기는 참 즐거운 일이다.

이건 똑같아 보이지만 다른곳이 많은 그림이다.
틀린그림 찾기를 잘하는 우리 아이들은 보자마자 찾았다고 외칠지도 모른다.
이런 게임같은 그림이라면 얼마든지 감상해줄거 같은 아이들이다.
나도 하나 찾았다. ^^

책을 보다 보니 앤서니 브라운 아저씨의 아빠가 참 재치있는 사람이었을거 같다.
여기 이 그림속 아빠가 재치있는 사람이므로!
그림을 보며 아빠가 들려주는 참 썰렁한 유머에 웃어주는 아이들!
정말 행복해 보인다.

그렇게 행복한 미술관 놀이를 마치고 돌아온 우리형과 나는
멋진 상상의 그림을 그리는 놀이를 한다.
우리 아이들에게도 이런 멋진 상상을 할 수 있는
그런 미술관이 될 수 있도록
이책을 보고 흉내라도 내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