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절대적으로 사랑해 준 사람이 있다. 허리가 기역자로 굽고 빙그레 웃으면 입 주변의 주름이 동심원처럼 몇 겹의 파문으로 번지던 그 사람은 이제 이 세상에 없다. 할머니는 하필 내가 스무 살 오월이 되던 해 생을 마감하셨다.
나는 당시 한 사람에게 흠뻑 빠져 있었고 그 달뜬 마음이 할머니의 상실을 눌러 버렸다. 가없는 내리사랑의 스러짐은 그런 식으로 폄하되었다. 말기암 치매까지 온 할머니를 마지막으로 목욕시켜드리던 날 할머니는 또렷하게 나를 바라보시며 고맙다, 고 되뇌셨다. 내가 기억하는 할머니의 마지막은 그렇게 뒤집힌 고마움의 인사로 남게 되었다.
그리고 나는 결혼하여 할머니가 고장난 녹음테이프처럼 아쉬워하며 끊임없이 재생하던 그 서너 살 무렵의 사랑스러움을 딸을 통해 경험하고 있다. 나는 거꾸로 가고 있다. 하루 하루가 갈수록 할머니에 대한 절절한 추억의 무게와 애착의 깊이는 더해만 간다. 또 복기하고 또 복기하며 나는 나와 할머니를 다시 읽는다. 때로는 초등학생의 나와 할머니로, 여섯 일곱 살 무렵의 그 모습으로 끊임없이 손녀와 할머니의 해후는 반복된다. 그리고 말줄임표. 그럼에도 할머니는 이제 존재하지 않는다. 기억의 허망함은 그런 식으로 허리가 동강 잘린다. 할머니는 이제 안 계신다. 내 곁에. 내가 아무리 발버둥쳐도 그 가없는 고마움과 미안함의 표현을 되돌려 줄 상대는 가버리고 없는 것이다.
그리고 나는 '죽음'이라는 것을 생각한다. 우리는 반드시 죽는다. 우리가 사랑하는 사람들도 언젠가는 다 떠난다. 머리로는 이해하지만 가슴으로 존재의 필멸을 온전히 받아들인다는 것은 불가능한 것 같다. '내'가 '너'가 죽는다는 것. 그리고 철저하게 죽음의 피동으로 먹인다는 것. 몸부림치며 결국 그렇게 허무하게 스러지고 말것이라는 것. 이런 참혹하고 무의미한 결말이 어디 있는가. 이 단순명료한 명제에 맞닥뜨리면 결국 무의미와 화해하는 것이 인생이라는 생각이 든다. 그러니 얼마나 가혹한 과정인가, 삶을 살아간다는 것이.

죽음과 화해하지 못한 작가들의 얘기다. 이 책 두 권은 죽음 앞에서 얼마나 인간이 철저하게 무기력하고 무방비인지를 저릿하게 응시하게 된다. 유명 작가들은 삶의 비밀을 범인들보다 더 예리하게 해독했다,고 받아들여지는 부분이 있다. 그렇기에 그들은 허무와 무의미를 더욱 적너라하게 파헤치고 죽음과 화해할 수 있을듯 한데 도리어 역설적으로 더욱더 죽음에 후달린다. '나'는 '특별하다'는 느낌이 '무의미'와 조우할 수 있는 지점은 망상이자 착각인 것 같다. 삶에 관조적인 모습들이 삶에 대한 집착과 반드시 유리되는 것은 아니다. 그들은 어쩌면 유달리 삶에 관조적인 척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죽음을 생의 절실함의 근거로 끌어 와 쓰는 것이 아니라 생의 허무감과 욕망의 충족을 정당화하는 데에 하나의 수단으로 이용한 대가는 가혹하다. 그들은 대부분 죽는 순간까지 납득하지 못했다. 죽음을 통제할 수 있다고 착각하고 자살을 한 방편으로 택하더라도 결국 인간은 죽음 앞에 영원히 피동적이다,는 예시의 제물로 바쳐지기도 한다.
죽음을 통제한 유일한 사례로 기억할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 스콧 니어링이 곡기를 스스로 끊고 죽어가며 마지막에 뱉은 말은 "좋-아."였다. 삶이 아무리 고해라도 그것을 함부로 취급하는 것은 거부감이 든다. 우리는 생의 숨결을 받은 이상 사려깊고 소중하게 그것을 다루어야 하지 않을까. 자신의 몸과 마음을 소중히 대우하고 근시안적 욕망의 충족을 절제하며 죽어가는 과정까지 배우려 했던 스콧 니어링의 삶은 우리가 죽음을 기쁘게 맞이할 수도 있는 가능성의 통로를 열어준다. 반드시 비참하게 무기력하게 안끌려가려 발버둥치며 죽음의 손아귀에 우리 목덜미를 쥐어주지 않아도 되는 행운은 바로 그것의 일란성 쌍둥이인 삶을 대접하는 자세를 통해 주어지는 것일 수도 있다.
때늦은 애도는 평론가 신형철의 글을 읽으며 위로 받았다. 마치 나를 향해 돌아앉아 토닥토닥 나의 뒤늦은 애도를 도닥여 주는 느낌이었다. 끝나지 않은 슬픔은 병적인 것이 아니라 윤리적인 것이라고, 덧붙여가며. 그리고 그의 이 문장은 내 가슴의 생채기에 날아와 박혔다.
 |
|
|
|
한 사람의 죽음을 가장 충실하게 애도하는 길은 그 죽음 이전으로 더이상 돌아갈 수 없도록 나 자신의 삶을 바꾸는 데 있을 수도 있다는 것.
-<누구도 너무 많이 애도할 수는 없다> 중
|
|
|
|
 |
나는 바뀔 것이다. 가슴으로 끊임없이 할머니에 대한 회한을 간직한 채로. 사랑한다,는 고맙다, 는 말은 언제나 해도 모자라고 늦다. 서둘러 많이 하고 볼 일이다. 생을 열심히 긍정하며 살아 가련다. 그것이 작별인사를 제대로 하지 못하고 떠나 보낸 그 분과 나에게 뚜벅뚜벅 천천히 걸어 오고 있는 죽음에 대한 진정한 예우일 것만 같아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