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피를 처음 마신 게 언제지? 아마 재수 시절 교실 앞 자판기에서부터 시작된 것 같다. 아, 이후로 난 부단히 믹스커피를 마셔왔다. 출장 다닐 때는 하루에 네 잔도 마셨다. 잠을 깨려고 기분이 나빠서 혹은 기분이 좋아서 친구를 만나서, 심지어를 아이를 낳은 날  임신 기간 참았던 시간을 보상하기 위해 바로 커피를 들이켰다. 그리고 대체로 빈 속에 잠을 깨고자 바로 마시곤 했다. 


결과는 당연히 만성 위염이다. 그리고 지난 이 주에 걸쳐 나는 카페인의 노예에서 탈출하기 위해 커피를 완전히 끊었다. 첫날은 충격적인 금단 증상이 덮쳤다. 두통이 두통이. 심지어 근육통에 입에 신 물까지 올라오고 거의 제정신이 아니었다. 삼사일은 보통 의지로는 견디기 힘든 나날이었다. 커피 끊기 프로젝트에 돌입한 이들을 찾아 온라인을 순례하니 많은 이들이 그 과정을 겪으며 기록을 남기고 있었다. 보통 일주가 고비인 듯. 증상도 거의 비슷했다. 커피를 끊기 위해 두통약을 먹어야 할 지경이었다. 왜 이렇게까지 해야 하냐,고 물으면 무언가의 노예가 되기 싫다,는 거창한 명분이 아니라 단지 속이 쓰려서다. 


커피를 끊으면 속은 편안해진다. 반대급부는 우울감이다. 낙이 없다. 모닝커피를 위해 기상하던 나로서는 일어나면 맛없는 차가 기다리고 있다. 종일 다운되어 있다. 에너지도 없다. 두통은 덤이다. 숙면은 기대 이상이다. 단 한번도 안 깬다. 불면증에 커피 끊기는 반드시 권장되어야 한다는 앎이다. 그런데 이런 게 사는 건가? 싶다. 누군가 아무리 힘들어도 라떼를 마실 수 있으면 견딜 수 있다,고 말한 글을 읽은 기억이 나는 그럴 수 없으니...


심지어 지난 주말엔 나를 약올리듯 "아메리카노, 좋아, 좋아"라는 노래까지 나오더라. 좀 웃긴 얘기지만 누군가 커피 얘기를 쓰거나, 커피를 마시는 모습을 보면 부러워하게 된다. 몸이 아주 건강해서 커피를 아무리 마셔도 속이 쓰리지 않은 사람은 정말 행복한 줄 알아야 한다. 

















박경리는 천상 이야기꾼이다. 문장을 쓰기 위해 소설을 쓰는 사람이 아니라 이야기를 위하여 언어를 끌고 오는 사람이다. 서사력이 대단하다. 김약국의 네 딸의 처절한 삶이 손에 잡힐 듯 생생하다. 독자적으로 자신의 삶을 끌고 갈 수 없는 그 시대 여성들의 비참한 이야기가 통영의 풍경과 함께 모자이크처럼 직조되어 있다. 사랑을 선택할 수 없고 자신의 진로를 개척할 수 없는 시대, 주관적인 선택이 심판거리가 되는 삶의 무게가 지금 여기에서의 여성들의 삶과 완전 대척점에 선 것인지 확신할 수 없다. 

















빌 헤이스는 올리버 색스의 만년의 반려자로 알려져 있지만 그 자신이 작가이자 사진 작가로 이미 입지를 굳힌 사람이다. 킨들로 읽은 그의 글도 올리버 색스 만큼 좋다. 코로나 이후의 뉴욕의 달라진 풍경을 자신이 찍은 사진과 함께 이야기한다. 벌써 환갑이 가까워온다니 시간이 많이도 흘렀다. 전세계적으로 함께 겪고 있는 거리두기의 풍경에 공감이 많이 갔다. 중간 중간 올리버 색스가 했던 이야기를 실어 놓았는데 반갑다. 그의 애도는 아직도 진행 중이다. 


오늘 생일 기념으로 바닐라 라떼를 나에게 줬다. ㅋㅋ 아, 카페인의 위력은 놀랍다. 세상이 갑자기 아름다워 보이고 내가 지금까지 살아온 시간들이 잘 견뎌왔다,는 자뻑에 취한다. 가을 공기가 바삭거리고. 와우.


댓글(10) 먼댓글(0) 좋아요(2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ransient-guest 2020-09-04 10:3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안 마시다가 마시면 진짜 훅 가는 건 술만 그런 것이 아닌가 봅니다 ㅎ 저는 매일 커피를 두어 잔씩 마시지만 블랙으로 마셔서 그런지 안 마셔도 심한 금단증상은 없더라고요. 건강하게 잘 지내시고 가끔 라떼의 기쁨을 느낄 수 있기를 ㅎㅎ

blanca 2020-09-04 16:10   좋아요 0 | URL
ㅋㅋㅋ 이번에 커피가 내 인생을 좌지우지하고 있었다는 것을 깨달았어요. 아메리카노는 속이 안 쓰린데 오히려 라떼가 그래요. 주구장창 마시다가 탈이 났답니다. 우울하네요.

수이 2020-09-04 10:5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블랑까님 생일이군요! 축하드려요! 처녀자리 블랑까님! 아 이러니까 별자리 신봉자 같다;;;; 박경리 선생님 이야기 어제 친구랑 했는데 여기에서 이렇게 우연히 또 마주하니 좋아서 주절거리네요. 바삭바삭 가을 공기 만끽하시기를 바랍니다!

blanca 2020-09-04 16:11   좋아요 0 | URL
아, 박경리 소설 너무 좋죠! 그런데 의외로 <토지> 말고 단행본은 거의 안 내셨더라고요. <토지>를 또 시작하기는 엄두가 안 나고 <김약국의 딸들> 정도 분량의 책을 읽고 싶은데 못 찾겠어요. 아, 오늘 날씨도 정말 너무 좋아요.

다락방 2020-09-04 12:44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생일 축하합니다, 블랑카님!!
블랑카님 처녀자리시군요. 후훗.


[김약국의 딸들]은 정말 재미있죠? 토지도 그랬지만 김약국의 딸들에서도 박경리는 캐릭터를 정말 잘 잡고 잘 살려내는 것 같아요. 이야기도 잘 만들고 끌어가지만 인물들도 생생히 살아있어요. 아, 저도 박경리 또 읽고 싶네요.



blanca 2020-09-04 16:14   좋아요 0 | URL
다락방님, 감사해요. 이젠 중반으로--;; 매일매일 무언가 청춘에서 멀어진다는 게 팍팍 실감이 나요. 그죠!! 너무너무 재미있어서 끝나는 게 너무 아쉬웠어요. 세상에 재미있는 책은 왜 이리 많나요. 노안 오기 전에 최선을 다해 많이 읽어두려고요.

stella.K 2020-09-04 15:35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커피에 건강에 좋은 성분이 있어서 꼭 끊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지 않을까 싶어요.
물론 이미 끊은 게 확실하다면 굳이 다시 마실 필요는 없지만 .
전 작년부터 하루에 두 잔 마시고 있습니다.
것도 나이 드니까 세 잔 마시기가 부담스럽더라구요.
물론 아주 가끔 세 잔 마실 때도 있지만.

전 제목이 그래서 브랑카님의 ‘나 때는 말야.‘ 토크인 줄 알았더니 아니네요 하하하.
생일 축하합니다.^^

blanca 2020-09-04 16:16   좋아요 1 | URL
스텔라님 때문에 빵 터졌어요. ㅋㅋㅋ ‘나 때는 말야‘ 완전 기발한데요? 아, 저는 요새 한 잔도 잘 안 받아서 정말 우울해요. 커피 마시는 낙이 너무 컸는데. 두 잔이 사실 제일 기분 좋은데 말이에요. 오전에 한 잔, 점심 먹고 한 잔, 이렇게요. 축하 감사해요^^

단발머리 2020-09-05 07:46   좋아요 1 | 댓글달기 | URL
세상에~~~ 커피에 대한 이런 멋진 헌사라니!!
전 삼일에 두 잔 정도 마시는데요. 요즘에 커피 마실 시간이 지나면 두통이, 정말 말할 수 없는 편두통이 찾아와서 이유를 몰랐다가 최근에서야 그 이유를 찾아냈습니다 ㅠㅠ 커피 때문이더라구요. 커피 마실 시간이 지나서요. 커피가 없으면 낙이 없죠. 전 기다리는게 커피 뿐이라, 너무 써서 아메리카노도 마시지 못하면서 말이지요. 커피를 끊고 계신(?) 블랑카님께 위로를 전합니다.

생일 축하드려요!!! 어제 왔어야 했는데, 이른 아침이니 어제 축하로 처리해주세요^^
오늘도 좋은 날 되시구요. 얼른 괜찮아지셔서 하루 딱! 한 잔 라떼가 가능한 삶이 되시기를 간절히 바래봅니다!!!

blanca 2020-09-06 10:49   좋아요 0 | URL
삼일에 두 잔이라 함은 하루는 안 마실 수도 있다는 얘기인가요? ^^;; 아, 저 벌써 근 2주 되어 가는데요. 그래도 여전히 카페인이 몸에 남아 있나봐요. 카페인이 몸에서 완전히 빠져나가는 게 6주나 걸린다니...

일주일에 한 번 라떼를 마시기로 했는데 잘 될지는 (긁적긁적) 모르겠습니다. 축하 감사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