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음표를 많이 던지거나, 그림 맞추기 퍼즐마냥 막 엉켜 있는 영화를 개인적으로 좋아한다.
거미숲이 그런 편인데, 기억의 왜곡에 대한 '한 순간'의 이야기가 세련되게 펼쳐진다.

한 순간이 언제냐?
바로 살인을 하고 막 돌아댕기다가 차에 치여 죽기 직전, 정신이 오락가락 하는 순간이다.

사람이 죽다 살아난 경우에 자주 듣게 되는 얘기가 있지 않은가.
그 짧은 순간에 인생의 기억들이 주마등처럼 지나간다고..
주인공 감우성이 애인의 불륜을 보고 충동적인 살인을 저지른 사실은 일생의 무게에 해당되는 끔찍한 일들이고,
모두 기억해 하기에 벅찬 것이었다.

그래서 응급실에서 소생술을 받을 때 왜곡된 기억을 생산해낸다.
잊고 싶은 기억을 어찌 그대로 재현해 내겠는가...
이거 누가 한건데, 난 지켜봤어요 식으로 새롭게 기억하고 싶었던 것이다..

충격에서 벗어나는 길은 자아를 분리 시키거나, 기억을 왜곡하거나, 잊어버리는 일이다.
(다중 인격을 가진 사람들이 어릴적 커다란 충격이나 학대를 받은 것처럼...
메멘토의 주인공처럼 의도적으로... )

감우성의 기억은 이 3가지를 모두 합한 것이다.
어릴적에 살인을 지켜본 기억은 자신이 한 행위를 위장한 것이고, (행위가 너무나 똑같다. 이것은 본인이 저지른 일을 제 3의 시선으로 왜곡시킴)
폐렴으로 죽은 여자짝꿍에게 자신을 투영하여 이 모든 것을 지워버리려 한 것이다.
(하늘로 쭈욱 올라가는 장면이 뜻하는 것.)
친구 형사도, 거미숲에 취재하러 간 것도, 사진관 여성도 모두 가짜.

우연히 취재하러 간 숲에서 불륜이 벌어진다는 것 자체가 말이 안되지 않은가.
애인 뒤를 밟아서 불륜현장을 쫓아간 것이다.. 그리고 범행을 한 것이고. 

수술실에서 깨어났을 때 노인이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있었던 것은, 죽어감을 의미하는 것이고,
마지막에서 진짜로 깨어났을 때 아이가 손가락으로 가리키고 있는 것은 소생했다는 의미이다.

소생... 그것은 기억의 소생이기도 하다.

기억이란 육체에서 벗어날 수 없음을, 그래서 영혼의 목소리는 '진실'을 기억해 주기를 바라는 것이다.
죽은 아내의 목소리를 통해서....

영화 속에서 그러지 않은가... 자신만 모르고 있다고...


점수 : ★★★★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미리 정해진 정답은 없다. 더 많은 사람이 선택하면 그것이 정답이다. 인터넷을 활용해 옳고 그름이 다수결로 결정 나는 세상이 오고 있다.

미국의 인터넷 기업 구글은 최근 ‘구글 번역’(translate.google.com) 서비스를 내놓았다. 이 사이트에 “유엔은 소말리아 파병을 결의했다”는 한국어 문장을 입력했더니 “U.N. resolved a Somalia dispatch of troops”라는 문장으로 번역했다.

정확한 번역인 “The U.N. made a resolution to dispatch troops to Somalia”와 비교할 때 약간 틀리지만 영어권 사람들이 이해하는 데는 무리가 없다. 이 번역기를 만든 구글 직원들은 한국어를 전혀 모른다.

그런데 어떻게 이런 일이 가능할까. 해답은 인터넷에서 ‘다수결의 원칙’을 활용한 데 있다. A라는 문장이 어떻게 번역됐는지를 통계적으로 조사해 ‘B’라는 번역이 가장 많으면 ‘A는 B’라고 번역하는 방식이다.》

○ 옳고 그름의 기준이 바뀐다

지금까지 사람들은 세상에는 미리 정해진 ‘정답’이 있다고 생각해 왔다. 하지만 이런 믿음이 인터넷 때문에 근본적으로 흔들리고 있다. 많은 사람의 생각을 모아 정답을 만들어가는 시스템으로 바뀌고 있다.

구글 번역은 권위 있는 외국어 전문가들이 만든 번역기보다 효용성이 높다. 미리 번역 방식이 입력된 번역기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하지만 구글은 지금까지 이루어진 수많은 번역을 조회해 빈도가 가장 높은 경우를 올바른 번역으로 채택한다. 유엔회의록 원본과 번역본을 사용해 통계를 내면 모든 언어를 다 번역할 수 있다. 표본이 많을수록 정확도는 더 높아진다.

한국의 인터넷 기업 NHN의 ‘네이버 지식검색’은 “모르는 게 있으면 네이버에 물어보라”는 신조어(新造語)를 만들어냈다. 이 서비스는 누리꾼(네티즌)이 질문을 하면 다른 누리꾼이 답을 올려 가장 ‘그럴싸한’ 정답을 찾아가는 방식이다.

답이 틀리면 다른 누리꾼이 지적해 좀 더 나은 답으로 고쳐지고 여기에 다른 의견이 덧붙여져 더 나은 답으로 변해간다. 참여하는 사람이 많을수록 신뢰성은 높아진다.

○ 정답은 다수결에 따른다?

다수결의 원칙이 늘 옳은 건 아니다. 다수결을 무조건 적용하다보면 진리가 왜곡되거나 옳은 소수 의견이 묵살될 수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인터넷이 이런 문제를 상당 부분 해결해 준다고 지적한다.

연세대 심리학과 황상민(黃相旻) 교수는 “구성원이 적은 집단에서는 틀린 지식이 확산될 수 있지만 수백만∼수천만 명이 사용하는 인터넷 공간에서는 오류를 지적하는 사람이 반드시 나타나므로 올바른 방향으로 갈 가능성이 높아진다”고 말했다.

인터넷 기업 온켓의 허진영(許振榮) 이사는 “인터넷에서는 다수의 의견이 모여 지배적인 의견이 되지만 소수의 의견도 공존한다”며 “소수 의견이 ‘기록’으로 살아남아 동의를 늘려가면서 다양성이 보장되는 게 인터넷의 특징”이라고 지적했다.

물론 여전히 반론도 가능하다. 표본이 많을수록 ‘다수의 의견’이 진실에 가까워질 가능성은 높지만 과연 모든 진실이 꼭 ‘다수’에 있는 것인지, 한발 더 나아가면 모든 사람이 공유할 수 있는 진실이 과연 있는 것인지에 대한 철학적 논란이 남기 때문이다.


김상훈 기자 sanhkim@donga.com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릴케 현상 2005-08-14 13:1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왓 재밌다

라주미힌 2005-08-14 14:2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신경망 알고리즘하고도 비슷한 구조네요...
 

연극배우는 왜 얼굴(두상)이 클까?



TV 탤런트들은 하나같이 얼굴이 작지만 연극배우 중에는 ‘얼큰이’가 많다.

영화 ‘올드 보이’로 뜬 인기 연극배우 오달수 씨가 대표적인 예. 그가 2004년 유지태와 연극 ‘해일’에 출연했을 때는 “어깨는 지태가 2배, 얼굴은 달수가 2배”라는 농담 같은 진담도 나돌았다. 연극계에서 유명한 그의 별명은 ‘(대극장인) 오페라극장 2층에서도 표정 연기를 볼 수 있는 배우’. 사실일까?

“사실이다. 몇 년 전 예술의 전당 오페라극장에서 ‘눈물의 여왕’이라는 작품을 했는데 2층 객석에서 공연을 본 사람이 ‘그 먼 곳에서 얼굴을 알아 볼 수 있는 배우는 너밖에 없었다’고 하더라.”(오달수)

하지만 그는 “연극배우에게 큰 얼굴은 단점 아닌 장점”이라고 당당하게 말했다. 실제로 ‘큰 바위 얼굴’이 치명적인 TV와 달리 연극은 큰 얼굴이 유리한 장르.

국립극단의 이윤택 예술감독은 “연극에서 발성과 성량이 좋으려면 머리통, 가슴통, 배통이 커야 한다”며 “박정자, 유인촌 같은 명배우들도 (머리가) 다 크다”고 말했다. 이 감독은 “외국 유명 극단들은 아예 두상 크기를 보고 배우를 뽑기도 해 머리가 큰 서양 연극배우도 많다”고 말했다.

분장사 최은주 씨도 “얼굴 면적이 클수록 캐릭터나 표정을 살려 분장으로 표현할 여지가 많다”고 말한다. 하지만 요즘 ‘얼짱’의 주요 기준이 작은 얼굴이다 보니 여자 연극배우들은 큰 얼굴만큼 고민도 크다. 분장 때 젊은 여배우들로부터 최 씨가 가장 많이 듣는 주문 역시 “얼굴 좀 작아 보이게….”

연극배우 서이숙(39) 씨는 “나이 어린 여배우일수록 작은 얼굴에 대한 갈망이 크지만 경력이 쌓이면 무대에서만큼은 연기만 뛰어나면 다른 모든 것이 용서된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고 말했다. 실제로 연극하는 여배우 중 광대뼈나 턱을 깎은 경우는 거의 없다.

“연극을 하기 전까지, 아니 연극을 시작하고도 한동안 큰 얼굴이 고민이었다. 내가 왜 이런 ‘천벌’을 받나 싶었고, 캐스팅이 안 돼도 큰 얼굴을 탓했다. 하지만 연기 잘 하는 여자 선배들을 보면서 이젠 콤플렉스에서 벗어나 당당해졌다.”(M극단에서 가장 머리가 큰 31세 여배우 K 씨)

삶의 희로애락을 다양한 표정 속에 담아내는 ‘얼큰이’들. ‘얼짱’보다 더 멋진 ‘얼큰 얼짱’ 파이팅!

강수진 기자 sjkang@donga.co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에이.... 뭐 ... 이런... 우쓰...  으그... 에혀...

인생이란.... 휴일 하나에도 슬픔과 행복이 교차하는 것.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만두 2005-08-13 19:5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저런...
 

만난지 2분 55초(쟀다 ^^)만에 딥 키스를 하는 주인공 록산느 메스키다는 15세 소녀(맞나?.. 암튼 미성년자, 실제는 81년생)다.
그날 밤 남자랑 (추측하길) 항문 섹스를 하고, 며칠 뒤 첫 경험을 한다. ㅡ.ㅡ;

역시 프랑스는 '선진' 국.!!!!

또 다른 주인공 그녀의 동생 뚱떙이 '아나이스 르부'는 그것을 엿보며 자신의 욕망 또한 같이 엿보는데...
언니를 닮아 가려는 동생과 귀찮아 떼어 내려는 언니의 첫 경험관은 정반대다.
(영화 내내 둘의 옷색깔과 스타일을 보면 무지 흡사하다.. 어느 순간 달라지는데.. 다 의미가 있다.
잘 살피면 재밌다)
사랑하지 않는 사람과 해야한다.(동생)
사랑하는 사람과 해야한다.(언니)

동생은 노래를 부른다.
남자던, 여자던, 짐승이던, 늑대인간이건, 시체건 뭐건.. 마음을 둘 수 있는 것이라면
나의 심장을 창에 걸어 놓아 그것을 썩히고,
까마귀에 파먹게 하겠노라. 그리고 소유했다는 듯이 흡족해 하는 모습을
보며 비웃겠노라.

첫 경험을 사기당하여 원망의 눈물을 흘리는 언니에 비하면 무지 성숙(?)한 소녀다.
동생의 순결, 상처, 사랑에 대한 시니컬한 시선은 여성에 대한 사회적 굴레를 과감하게 벗어 던지는 듯 하지만,
사실 그 안에서 무지 갈망하는 듯 하다.

위험한 여행, 두 자매의 엄마의 운전에서는 알 수 없는 긴장감과 불행이 있다.
거대한 트레일러 사이로 빠져나가고, 추월하며 어찌됐던 멀리 떨어지려는 심리에서 느낄 수 있는 것이 무엇이겠는가.
그리고 언니와 엄마는 괴한에게 처참하게 살해 당한다.
유일하게 살아남을 수 있었고, 자신은 강간을 당하지 않았고, 믿던지 말던지 상관없다는 뚱떙이 그녀.
그녀의 뱃살은 아마도 남성 사회를 향항 방어기제(?)의 하나인지도 모르겠다.

팻컬 OST 중 하나 'The Pretty Things Are Going To Hell - David Bowie'....
반대!!!


록산느 메스키다......      느므느므 이쁘다.

 

점수 : ★★★★         에잇 별 하나 더 주자... 주인공이 느므느무 이뻐서.(게다가 음부까지 봤으니 ㅡ.ㅡ;)


댓글(1)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0-11-07 22:58   URL
비밀 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