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친절한 조선사 - 역사의 새로운 재미를 열어주는 조선의 재구성
최형국 지음 / 미루나무 / 2007년 12월
평점 :
품절
인간과 사회구조, 체제의 변화를 기록한 것이 역사다. 큰 흐름을 기술하는 거시사를 주로 접하다 보니 고목 껍질의 결을 매만지는 느낌을 받는다. 이것을 보완하기엔 미시사가 제격이다. ‘변방의 역사’, ‘개인의 역사’를 현미경으로 관찰함으로써 더 큰 역동성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아무도 주시하지 않았던 개인과 문화, 사료 속에서 역사의 우연성과 변혁의 ‘끼’를 발견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만으로도 미시사는 매력적이다. 지엽적인 것에 치우칠 수도 있겠지만, 체제와 사회구조 속 주체를 이해하는 것이 커다란 역사를 정교하게 다듬을 수 있는 필수 요소임은 분명하다.
다른 시대보다 사료가 풍부해서 그런지 조선사 관련 책들이 많다. 요즘 부쩍 늘었는데, 예전에 대단히 인기를 끌었던 ‘조선의 뒷골목 풍경’ 같은 책과 다르게 왕과 관련된 책들이 많이 출간된 듯 하다. TV사극 열풍과도 무관하지는 않을 듯 싶다. 이 책은 그와 또 다르게 ‘조선시대에 이런 일이’라는 느낌을 줄 만큼 색다른 소재를 다룬다. (개인적으로 익숙한 것이 더 많다.) 소제목도 잘 지어서 스포츠 신문 타이틀마냥 호기심을 자극한다. 청소년을 대상으로 쓴 책이라서 그런지 내용도 쉬워서 술술 읽힌다. 하지만 각 꼭지를 읽고 나면 허전하다. 그게 다야? 사실을 기술함에 있어서 분석이 빈약해 보인다. ‘있었다’라는 것만 있지 ‘왜’ ‘어떻게’라는 호기심을 충족시켜주지 못한다. 게다가 본문과 다르게 인용하는 자료들은 거의 대부분 ‘날 것’에 가깝다. 요즘 말로 쉽게 풀어서 해석해주는 것이 저자의 몫 아닌가? 제목은 친절한 조선사인데, 결코 친절하다고 볼 수 없다. 가령 먹거리를 다루는 ‘소젖 많이 짜지 마라 백성이 운다.’에 이어 나오는 ‘임금의 수라에 올라갔던 음식의 양과 비용은?’은 아무런 가공도 없이 데이터만 나열해 놓았다. 그 당시 서민이나 양반의 음식 소비량과 비교라도 했으면 의미라도 있지 않았을까. 서빙고에 저장된 얼음의 양도 그렇고 단순 인용은 지면만 채우는 역할만 담당할 뿐이다. 사료를 정리하고 분석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닐 것이다. 저자의 노고가 엿보이는 책이지만, 최소한 소제목에 부합하는 결론은 도출해야 하지않을까. ‘바다귀신 흑인용병은 임진왜란에 참전하다’의 결론은 심하게 허무했다. 왜 그랬을까라는 질문을 던져놓고, 왜 그랬을까로 마무리하다니 낚인것인가.
3세대 아날학파 페르낭 브로델은 미시사를 '사건의 역사', 이야기만 나열하는 역사라고 혹평했다.
이 책이 이러한 혹평에서 자유롭지 못할 것 같다. '치즈와 구더기', '고양이 대학살' 같은 깊이 있고 흥미로운 미시사를 기대해 본다.
"문화적 대상은 역사가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고 그가 연구하는 사람들에 의하여 만들어진다. 그들은 의미를 내뿜는다. 그들을 세는 것이 아니라 읽어야 할 필요가 있다."
‘고양이 대학살’의 저자 로버트 단턴의 말에서 미시사의 방향을 읽을 수 있다. 독자는 사실의 나열이 아닌 읽을 것을 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