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룡문경
|

쌍룡문운문대경(雙龍文雲文帶鏡) 고려시대 23.7cm '박가분자료관'소장
|
두 마리 용이 어우러진 동경
동경의 문양은 꼭지를 중심으로 생략되거나 복합적으로 구성되는데 그 만들어진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베풀어졌다. 용 문양은 기원전 3,000년 경 중국 토기에 처음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그 후 은나라의 청동기와 서주. 춘추전국. 진 시대를 거쳐 한나라에 와서 매우 구체적인 형태로 발전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고구려 무영총, 우현리 대묘, 통구 사신총의 벽화와 통일신라의 와당이나 능묘석에서 처음으로 용 문양을 접할 수 있다.
중국의 고문헌에 기술된 용의 모습은 낙타의 머리에 사슴의 뿔, 토끼 눈, 암소의 귀, 개구리 배, 잉어 비늘, 매 발톱, 뱀의 목, 범 발바닥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그 종류도 다양한데 훼룡(?龍), 교룡(蛟龍), 이룡(?龍), 사룡(蛇龍), 청룡(靑龍), 백룡(白龍), 현룡(玄龍), 적룡(赤龍), 기룡(夔龍)..... 등이다. 이처럼 종류가 다양하고 많은 이유는 강력한 힘을 가진 초자연적인 존재로서의 상징성 때문일 것이다.
|

쌍룡향로문팔릉형경(雙龍香爐文八稜形鏡) 고려시대 14.8cm '박가분자료관' 소장
|
연꽃 씨방 모양의 꼭지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표현된 두 마리 용은 갈기를 곧추 세우고 입을 벌린 채 태극무늬 여의주를 웅켜쥐려고 안간힘 하는 역동적인 모습이다. 팔릉형의 또 다른 용문양은 다리가 세 개인 향로를 두고 있다. 유연한 몸놀림과 피어오른 향으로 인해 장엄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표정이나 비늘 및 갈기가 선명하게 조식되었는데 일본 경도박물관이나 국립박물관에도 동일한 형태의 것이 보인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