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룡문경



쌍룡문운문대경(雙龍文雲文帶鏡) 고려시대 23.7cm '박가분자료관'소장


두 마리 용이 어우러진 동경



동경의 문양은 꼭지를 중심으로 생략되거나 복합적으로 구성되는데 그 만들어진 시대에 따라 다양하게 베풀어졌다. 용 문양은 기원전 3,000년 경 중국 토기에 처음으로 나타났다고 한다. 그 후 은나라의 청동기와 서주. 춘추전국. 진 시대를 거쳐 한나라에 와서 매우 구체적인 형태로 발전하게 된다. 우리나라에서는 고구려 무영총, 우현리 대묘, 통구 사신총의 벽화와 통일신라의 와당이나 능묘석에서 처음으로 용 문양을 접할 수 있다.

중국의 고문헌에 기술된 용의 모습은 낙타의 머리에 사슴의 뿔, 토끼 눈, 암소의 귀, 개구리 배, 잉어 비늘, 매 발톱, 뱀의 목, 범 발바닥으로 이루어졌다고 한다. 그 종류도 다양한데 훼룡(?龍), 교룡(蛟龍), 이룡(?龍), 사룡(蛇龍), 청룡(靑龍), 백룡(白龍), 현룡(玄龍), 적룡(赤龍), 기룡(夔龍)..... 등이다. 이처럼 종류가 다양하고 많은 이유는 강력한 힘을 가진 초자연적인 존재로서의 상징성 때문일 것이다.






쌍룡향로문팔릉형경(雙龍香爐文八稜形鏡) 고려시대 14.8cm '박가분자료관' 소장


연꽃 씨방 모양의 꼭지를 중심으로 대칭으로 표현된 두 마리 용은 갈기를 곧추 세우고 입을 벌린 채 태극무늬 여의주를 웅켜쥐려고 안간힘 하는 역동적인 모습이다. 팔릉형의 또 다른 용문양은 다리가 세 개인 향로를 두고 있다. 유연한 몸놀림과 피어오른 향으로 인해 장엄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표정이나 비늘 및 갈기가 선명하게 조식되었는데 일본 경도박물관이나 국립박물관에도 동일한 형태의 것이 보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