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수위원문아자형경 외


영수위원문아자형경(靈樹圍垣文亞字形鏡) 고려시대 10.3*10.4cm '박가분자료관‘소장


-네 모서리가 들어간 형태의 동경-
일반적으로 동경을 구분하는데 있어 꼭지(紐). 꼭지자리(紐座), 내구(內區)와 외구(外區), 연부(緣部), 뒷면(背面)의 문양 등으로 분류할 수가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 그 형태에 따른 분류인데 네 모서리 부위가 들어간 것은 원형이나 방형의 것 보다는 그 수효가 많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아(亞)자 형태를 취하고 있는 사진상의 동경은 울타리무늬를 도안으로 하고 있으며, 뚜렷하게 드러난 네 개의 기둥 안쪽으로는 나무는 안보이고 나뭇잎만 무성하다. 비슷한 종류의 도안으로 꽃나무가 담긴 화분을 육각의 울타리가 두르고 있는것과 무성한 잎을 단 나무가 있고 연부가 여섯가지 꽃잎 모양을 취하고 있는 것이 국립박물관 자료에 보인다. 또한 중국 금나라 동경에도 울타리문 바깥에 두른 구슬문과 연부 사이 공간에 이(李)라고 쓴 명문이 보이는 것이 있다. ‘박가분자료관’ 소장의 울타리문 동경은 알려지지 않은 새로운 종류의 문양으로 보인다.





초화포도문우입방형경(草花葡萄文隅入方形鏡) 10.4*10.3cm '박가분자료관‘소장


또 다른 동경은 연부 안쪽 내,외구 구분없이 꼭지 좌우과 아래,위쪽에 새가 보이고 이름 모를 초화문 사이 사이 여러 송이의 포도를 배치한 것이 눈길을 끈다.
포도는 원래 서양에서 전래된 것으로 지혜를 나타내면서 포도 송이는 풍요의 신과 농경신의 상징물이다. 또한 포도주는 불사를 상징하는 생명의 술이면서, 특히 성찬식의 포도주는 신의 피를 의미하며 영력(靈力)과 생명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우리나라에서 석류는 수태와 다산을 복숭아는 장생(長生)과 벽사(?邪)를 상징하는 것으로 알려진 바, 포도는 다산과 풍요와 장수와 생명력 나아가 벽사와 기자(祈子) 및 벽병(?病)의 의미까지를 두루 갖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목록보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