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湖州)경 외,2



명문이 있는 동경 2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연구논총 83-13 “韓國의 銅競”에 수록된 700여 점의 동경들은 국립박물관과 경주박물관,부여박물관,공주박물관 및 각 대학박물관에 소장된 우리나라 동경의 진수를 모아 놓은 것들이다. 당시 국립중앙박물관 미술부장 이난영선생이 10여 년간의 오랜 연구와 노력을 토대로 나름대로 체계와 편년을 세워 귀중한 자료를 제공한 업적인 것이다. ‘한국의 동경’에 수록된 동경들은 출토지가 거의가 다 우리나라의 동경들이다. 하지만 이난영선생도 지적했듯이 우리나라에서 출토되었다고 하더라도 중국계(系)로 여겨지거나 방제(倣製)되었거나 박재(舶載)되었음직한 동경들이 너무 많다.


1.호주규화형병경(湖州葵花刑炳鏡)
고려시대 10.5*20cm ‘박가분자료관’소장






2.호주우입방형경(湖州隅入方形鏡) 고려시대 11*11cm ‘박가분자료관’소장




3.호주팔릉형경(湖州八稜刑鏡)고려시대 13.1cm ‘박가분자료관’소장




다음에 소개하는 동경들은 문양 대신에 경배면에 경이 주조된 장소와 인명(자호,字號)을 주출한 것들로서 호주라는 지방명이 새겨진 것들이다. 이 호주경은 우리나라 고려시대에 해당하는 중국 송나라에서 가장 특징적으로 만들어졌는데, 장방형의 방격(方格)안에 1행이나 여러 행의 명문을 세로로 써내렸다. 대개 꼭지(紐)의 좌우에 썼는데 손잡이가 있는 동경의 경우 경배면의 중앙에 쓰기도 했다.

그 명문을 보면 다음과 같다.
1.호주진석염이숙가조자(湖州眞石念二叔家照子)
2.호주진정석가청동경자(湖州眞正石家靑銅鏡子)
3.호주의봉교진정석가청동경(湖州儀鳳橋眞正石家靑銅鏡)
4.호주진정석가연동무차조자(湖州眞正石家煉銅無比照子)
5.호주의봉교진정석가청동경(湖州儀鳳橋眞正石家靑銅鏡)

여기서 호주는 동경의 생산지이고, 석가(石家)는 동경을 주조한 사람의 성씨이며, 3번에 나오는 의봉교는 동경을 만든 장소이다. 또한 동경의 명칭을 동감(銅鑑),조자(照子),감자(監子),경(鏡),경자(鏡子)라고 불렀다고 하는데 위 조자(1)와 경자(2)나 경(3)이라는 명문을 확인할 수 있다.












4.호주도형경(湖州桃刑鏡)
고려시대 8.2*5*10.1cm ‘박가분자료관’소장



5.호주방형경(湖州方刑鏡)
고려시대 7.6cm ‘박가분자료관’소장



참고로 공상성,유일만이 지은 ‘중국고대동경’ 자료에 의하면,
‘石家’라는 자호(字號) 외에도 설가(薛家)와 육가(陸家)와 석도인(石道人)이 주조한 동경이 있다. 또 어떤 호주경에는 육십문(六十文)이나 일백문(一百文) 등 동경의 가격을 기록한 것도 있고 관에서 주조한 것이 확실하다는 사인이 들어간 것도 있어 호주경이 송나라 때 가장 유행했던 양식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박가분자료관’ 소장의 호주경들은 고려시대라고 표기는 했지만 온전히 우리나라 동경이라고 주장하기에는 다소 미진한 부분이 있다. 동경의 부식상태나 마모도와 쇠질이나 빛깔과 무게 등을 따져볼 때 당시 빈번한 중국과의 교류를 통해 우리나라에 전해진 것으로 여겨지는 것들이 섞여 있으리라는 생각을 부인할 수 없기 때문이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프레이야 2006-11-30 21:1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박가분아저씨 오랜만이에요. ^-^ 소중한 유물 고려시대 호주경 잘 보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