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레 사진관 - 하
미야베 미유키 지음, 이영미 옮김 / 네오픽션 / 2011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당신이야말로 이제 달려.

언제까지고 멈춰 있기만 해서는 안 돼. 역은 오래 머무는 장소가 아니야.

달려 나가, 하나비시 에이이치.(2권, 569)

 

그래, 철로는 이어져 있으니까 어디로든 달리자. 달리기를 다짐하는 에이이치의 모습 뒤로 어느 시절인가의 남편 모습이 겹친다. 그리고 또 내 모습도.

가족은 핏줄을 핑계로 서슴없이 서로에게 속박이 되기도 한다. 선의이기 때문에 더 감당할 수 없는 말들을 내뱉기도 하고, 부모 형제라는 이름으로 도망칠 곳조차 무자비하게 뺏어버리기도 한다. 얼마나 슬픈 일인가. 도대체 이런 게 어떻게 가족인가.

그래서인지, 여봐란 듯이 미야베 미유키는 정상적인 가족의 모습 (이를 테면 서로의 상처를 보듬어 주고 서로의 이야기에 귀기울여 주는,) 을 반복해서 보여준다. 에이이치의 가족, 덴코의 가족, 탄빵의 가족은 하나같이 부모와 자식, 형제들이 한 자리에 모여 밥을 먹고, 함께 밤을 보낸다. 뭐야, 이 사람들. 부자가 나란히 누워 집 정원에서 야영을 한다니, 비현실적이야. 어이없는 웃음을 피식 흘리다가 2권이 끝날 무렵에야 이게 시위라는 것을 알았다. 미야베 미유키의 시위.

이봐, 아직도 이 하늘 아래에는 가족이 함께 둘러앉아 밥을 먹고 서로의 일과를 나누며, 함께 고민을 나누려는 가족들이 많다고. 그러니까 당신, 지지 마. 포기하지 마.

 

그래, 내가 만들고 싶었던 가족은 이런 거였지.

여기까지 오게 만든 것만으로도 충분히 미미 여사에게 감사했다. 눈에 선하게 그려질 정도로 정겨운 고구레 사진관의 쇼윈도를 본 것만으로도 충분했다. 반짝반짝 빛나는 피카짱의 스케치와 탄빵의 연주를 들은 것 만으로도, 그들 모두와 우에노 공원을 다녀온 것 만으로도 넘치도록 행복했다.

그런데, 미미 여사는 한 가지 주문을 더 보낸다. 그런 가족을 지키고 싶으면, 그런 가족을 꾸려가고 싶으면 너가 직접 매듭지으라고. 화해를 하든 사과를 하든 화를 내든 도망치든 너 손으로 직접 하라고.

철로는 이어져 있으니까 열차는 어디로든 달릴 수 있다. 

다만, 자신의 두 발로, 스스로의 힘으로 해야 한다.

마음 속 죄책감은 드러내서 풀어야 한다. 언제까지고 냉동시킨 채 묻어둘 수는 없는 노릇이다. 가족이라는 이름으로 상처만을 안겨줬던 관계라면 스스로 끝을 외쳐야 한다. 누군가의 집 툇마루에 엉덩이를 걸치고 앉았다면, 떠날 땐 어른스럽게 '그럼 이만 물러나겠습니다' 확실히 인사를 하고 떠나야 (1권, 149)한다. 다른 누구도 아니고, 너 스스로.

다 알고 있다고 생각했는데도 꽤나 뼈아픈 충고였다. 누군가의 딸로 아내로 엄마로 며느리로 선다는 것은, 생각만큼 호락호락하지 않은 일이었다.

그렇지만 이렇게나 따뜻한 응원을 받았으니, 도망치지 않고 달려 가야지. 저 너머 흐드러지게 핀 봄꽃을 향해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모든 국민이 그러하겠지만,

학교 현장에 몸담고 있는 입장에서는, 하루하루 뉴스를 보며 지나는 길이 쉽지 않다.

미우나고우나 우리 아이들은 무사히 교실에 앉아 있으니 말이다.

며칠 전에는 단원고로 전보를 희망하는 교사를 모집한다는 공문을 받았고,

학교의 모든 외부 활동은 취소되었다. 소풍도, 체육대회도.

 

일이 손에 잘 잡히지 않는 날엔, 음악을 들어야 한다.

음악이 위로다.

 

'나타나줘요
굳어버린 내 입술이
그댈 부를 수 있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그간 좀 따뜻했다고 이 정도 쌀쌀함이 추위처럼 느껴지다니.

따뜻한 드립커피와 차분한 재즈가 듣고 싶은 오후.

 

아. 낮잠이 고프구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흥. 나는 베스트셀러는 사지 않아.

.

.

.

정말??

 

'좋은 모습만 보여주려 했다는 거 알아.

하지만, 나는 베스트앨범은 사지 않아.'

 

엄청 무서운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변두리 학교에 있다가 도심(?) 학교로 전근을 오니 문화적 충격이 만만찮다.
사교육에 기대있는 아이들이 무척 많고, 학부모들의 교육관도 열정도 버거울 정도.

자기주도학습 시간이 너무 적다, 아이가 너무 학원 숙제에만 매여있다,

학원의 스케쥴에 따라 공부하는 것에 지나치게 안온함을 느끼고 있다... 는 게 전체적인 인상이었는데, 문제는 학부모들도 이러한 상황을 제법 정확하게 꿰뚫고 있지만 모험을 하느니 차라리 하던대로 계속 해나가겠다는 입장이라는 것이다.

이해를 못할 바는 아니지만,

어릴 때부터 영어에 수학에 독서교육에, 논술공부까지 다들 빠짐없이 챙기며 왔다는데. 아이가 이 모양이라면. 아이가 스스로 할 줄 모르고, 게다가 별로 행복하지도 않다면 어찌된 노릇인가 싶다.

학부모님들의 진심도 절절히 느껴지는데 말이다.

정말이지 모르겠다.  

 

직업만큼 중요한 건 취미이고.

무언가를 목표로 하고 계획하며 성취하는 일은 진로나 직업에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삶 전반을 아우르는 일상적인 '태도'라고 생각하는데.

요즘은 내 생각이 너무 교사로서 안일한 것인가 하는 회의가 든다.

 

더불어 걱정도 늘어간다. 주변에 다양한 교육적 시도와 체험으로 끊임없이 아이를 관리하고 있는 엄마 선생님들을 보면서, 일곱 살이 된 아이을 둔 부모인 나도 뭔가 해야하지 않나, 하고 괜시리 불안하다.

어제도 아이의 독서교육과 영어교육을 위해선 최소한 이 정도는 해야한다는 옆자리 선생님의 일침을 들었는데. 요즘. 완전 별세계에 온 기분이다.

그래도 겸손한 마음으로 (겸손 안할래야 안 할 수 없지만.... 아는 게 너무 없어서) 내가 할 수 있는 건 뭐 해볼까 하고 듣고는 있다.

 

근데, 언제부터 독서에 교육이 붙은 거지? 독서교육이 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