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학자는 별을 보지 않는다
심채경 지음 / 문학동네 / 2021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큰 기대없이 집어든 책이 너무 좋아서, 무엇이 이렇게 좋은 건가 하며 한참을 들여다보고 다시 또 들춰보곤 했다. 과학을 잘 알지 못하는 인문학도로서, 천문학은 문학과 비슷한 거라고 혼자 생각하곤 했다. 어디까지가 과학이고 어디부터가 문학인지 경계를 도통 지을 수 없는 학문. 다양한 심도를 가진 까만 밤하늘에 점점히 흩뿌려진 별을 보는 일. 그 별들을 이어 별자리 이름을 붙이고, 계속 모양이 바뀌는 달의 궤적을 쫒으며 그 뒷면을 생각하는 일은 문학의 영역이라고, 암 그렇고말고, 했다. 전형적인 수도권 위성도시, 공업단지도 껴안고 있는 이 공해도시에서도 초저녁 금성이 반짝이고, 맨눈으로도 여름이면 베가의 대삼각형이 찾아졌다. 서쪽으로 뻗은 큰 대로의 횡단보도를 걷다가 보라색으로 물드는 숨막히는 노을을 보면 나는 이 우주의 작은 먼지라는 게 매번 실감되곤 했다. 천체망원경으로 토성의 고리를 처음 봤을 때의 경이로움, 깜깜한 하늘에 선명하게 박힌 눈썹달의  감동. 천문학이란 나에겐 이런 것이었다. 과학 시간에 배웠던 이해할 수 없는 계산법들은 나의 영역은 아니었지만, 그래도 충분히 존중할만한 어떤 멋진 세계였다. 이런 나의 환상과 망상과 기대와 요구에 딱 들어맞는 책이었다. 그래서 이렇게 좋았나 보다. 

  비정규직 연구원 일상을 보여주는 것도 좋았고, 애엄마 과학자의 삶에 대한 그녀의 이야기도 눈물나게 좋았다. 학문의 즐거움, 지루한 연구의 나날들을 쌓아 자기의 주장을 만들어가는 학문의 과정도 무척 반가웠다. 많이 읽고 많이 썼으며 또 무수히 고쳐썼을 그녀의 단정한 문장도 쓰다듬어 주고 싶을 만큼 예뼜다. 뭐, 처음부터 끝까지 다 좋았다는 이야기이다. 필사를 해둔 대목도 꽤 되는데, 특히 <3부. 아주 짧은 천문학 수업>도 앎의 즐거움을 주어 각별했다. 내가 태어날 무렵 지구를 떠난 보이저 1,2호가 씩씩하게 여행을 계속하듯이, 그녀도 그녀의 자리에서 당당하게, 나도 나의 자리에서 꿋꿋하게. 각자의 궤도를 돌아 행복한 랑데부를 기대하며.

 


댓글(2)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바람돌이 2021-04-30 00:3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 이 책을 읽고 싶게 만드는 리뷰에요. 여러분들의 리뷰 보면서 봐? 말아? 하면서 망설이고만 있었는데 읽겠습니다. ^^

애쉬 2021-04-30 10:42   좋아요 0 | URL
저는 자연과학자들이 지루하고 똑같아 보이는 연구를 매일매일 관찰하고 기록해서 작은 탑을 만들어 가는 과정이 그렇게 좋더라구요 ^^인문학 연구도 그렇긴 하지만, 자연과학은 더 미지의 세계라 더 로망이 있는 걸까요... 하여튼 좋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