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 이영훈이 리메이크한 이문세의 앨범 중에서 가장 맘에 들었던 곡.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나는 강현민의 목소리가 참 좋다.
그리 잘 부르지 않는 듯한 목소리가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슬픈 카페의 노래 열림원 이삭줍기 12
카슨 매컬러스 지음, 장영희 옮김 / 열림원 / 2005년 2월
평점 :
구판절판


어떤 점이 이 카페를 슬픈 카페라고 부르게 하는 걸까. 왜 이 이야기는 슬픈 카페의 노래가 되는 걸까. 궁금했었다. 현실과는 좀 동떨어진, 이국 어딘가 먼지가 뽀얗게 날리던 땅에서 살짝 떠있는 공간 같던 곳. 그곳에 거인과도 같던 한 억센 여인과, 그녀와는 기분 나쁠 만큼 대비되는 한 간악한 꼽추와, 흉포하기 이를 데 없는 한 사나이가 있다. 흡사 에밀 쿠스트리차의 영화의 한 장면은 옮겨 놓은 듯한 카페와 사람들이 있다. 슬프다기보다는 오히려 희극적인.
그들의 사랑은 어이가 없을 만큼 제멋대로이다. 어린 애가 신기한 장난감을 만난 듯 아무런 이유도 없이 그저 줄줄 쫓아다니며 헤벌쭉 웃는 모양이나 다름없다. 슬프긴커녕 웃음이 나고, 노래는 무슨 노래, 뻣뻣한 몸을 굴려 어기적거리는 춤이라면 또 모를까.

그런데, 짧은 이 책의 책장을 탁, 하고 덮는 순간, 슬픔이 파도처럼 밀려와 버렸다. 언제 다가왔는지도 모르게 슬며시 다가와 모든 것을 적시고 갔다. 세 사람이 모두 사랑을 했으나, 그들은 모두 사랑을 주는 사람이었을 뿐이라는 것. 그것이 바로 내 슬픔의 요체였다. 작가는 사랑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사랑이란 두 사람의 공동 경험이다. 그러나 여기서 공동 경험이라 함은 두 사람이 같은 경험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사랑을 주는 사람과 사랑을 받는 사람이 있지만, 두 사람은 완전히 별개의 세계에 속한다. (49)

사랑을 주는 사람과 사랑을 받는 사람의 간극이 얼마나 클 수 있는가, 그들이 과연 같은 지점에서 마주칠 수 있는 것인가.
왜 작가는 이렇게 슬픈 사랑의 규정을 내릴 수 밖에 없었을까.
사랑의 본연의 모습이 이렇다 라고 정의해 버린 사람이 있어서 슬프다. 그러나 나 역시 그러한 사랑의 본질을 알고 있노라고, 나 역시 자신의 사랑이 고독한 것임을 영혼 깊숙이 느끼고 있노라고 고백할 수 밖에 없어서 더욱 슬프다.

그러나 나는 슬픈 카페에 갇히고 싶지는 않다. 사랑이 고독한 것임을 알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 그 고독은 이제 끌어안을 수 있다. 나의 사랑이 그의 사랑과 꼭 같은 모습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 그것은 그들로부터 배웠기 때문에.

덧붙임.
위에서도 살짝 언급했지만, 책을 읽는 내내 에밀 쿠스트리차 감독의 <집시의 시간>이 떠올랐다. 비현실의 현실성.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나는 더 무얼 바라 이렇게 찌뿌둥하게 있는 걸까.
더 많은 시간과 더 많은 감정과 더 많은 재능이 있었으면 좋겠다고, 언제까지 안달복달하며 지낼까.
이런 심정으로 더 많은 것을 보고 더 많은 것을 가진들 달라질 게 있을까.

아침부터 또다시 기분이 가라앉아 버렸다.
이런 나를 꾸짖으려 이 음악을 듣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드디어 블랙캣 시리즈의 11편이 나왔다.
어찌 생각하면 얄밉기도 하다.
세계 유수의 추리문학 관련 상의 수상작만을 엄선(?)해서 내는 시리즈라니.
이런, 맛난 알맹이만 쏙쏙 뽑아 먹겠다는 심보지 뭐야.
시리즈로 된 책도 중간만 툭 뽑아다가 수상작이라는 이유로 출간해버리니, 시리즈물을 좋아하는 입장에선 원망스럽기까지 하다.
그치만, 그래도 나오는 족족 사는 걸 보면,
상을 받았다는 사실이 일종의 보증수표가 되는 것 같다.
게다가 <무덤의 침묵>처럼 영미권(요즘은 일본까지)을 벗어난 작품까지 만날 수 있다는 점, 이런 메리트는 도저히 거부할 수가 없다. 흑흑
특히 북유럽 소설은 더 말해 무엇하리.

수십년 전에 죽었을 것으로 보이는 한 시체의 발견.
1,2년도 아니고 수십년 전 사건인데, 그게 뭐 얘기가 될까만은,
의외로 흥미진진이다.
백야를 배경으로 하는 추운 나라의 이야기가 가슴을 에인다.

참, 에를렌두르 형사의 이야기는 CSI 라스베가스의 짐 브래스 반장과 그 딸의 이야기를 생각나게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