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을 '달리는' 소녀 라는 제목이 참으로 매력적이었다. 애니메이션 소개에 본 짧막한 장면들도 상당히 매력적인 그림들이어서, 책을 고르는데 주저함이 없었다.
그러나, 앞으로 이 책을 읽으실 분들이라면 반드시 기억하고 있어야 할 건, 이 책은 1965년 (무려 40년 전)에 지어진 책이며, 이 작가는 일본 SF계의 포문을 열고 그 길을 다지기 시작한 작가라는 것이다.
이러한 고려가 충분히 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 더구나 현대 SF작품에 대한 경험이 어느 정도 있는 상황에서라면, 이 이야기는 엉성하고 유아적인 (간혹 귀엽기까지 한) SF 동화 쯤으로밖에 읽을 수가 없다. 사실 이런 고려를 미리 하고 있었다고 해도 SF동화 라는 면은 그리 달라지지 않겠지만.
뒤에 붙어있는 두 단편들 역시 그렇다. 어찌나 엉성한지. 물론 과학적 엉성함을 이야기하는 건 아니다. 과학적 검증 같은 건 잘 모르기도 하거니와 관심도 없고... 여기서 말하는 건 플롯의 엉성함, 감정처리의 엉성함에 대한 것이다. 기막힐 만한 타임 리프가 간단한 몇 마디 말로 해결되고, 엄마아빠의 말 한마디가 귀신이 되고, 겁쟁이 동생이 갑자기 용감해지는 등. 초등학교 5,6학년 때쯤 읽었던 지경사의 책들을 여러모로 기억나게 한다.
그러나 SF 장르의 재밌는 점 중 하나는 한 개념어가 생명을 얻은 후 확대재생산이 천연덕스럽게 이루어지는 과정 자체에 있는데, 그런 면에서 츠츠이 야스타카의 공은 혁혁하다고 하겠다. <시간을 달리는 소녀>에서 그 씨앗을 받아 태어난 많은 소설들을 보면 더욱 그렇다. <시간을 달리는 소녀>를 재밌게 읽었다면, 다음 순서는 타카하타 쿄이치의 <타임리프>다.

사족, 이 책이 왜 양장본으로 나왔는지 도저히 동의할 수가 없다. 오히려 라이트노벨처럼 문고판으로 나온다면 훨씬 극의 분위기를 잘 살렸을 텐데. 도대체가 어울리질 않는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BRINY 2007-09-17 15: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맞아요, 원작 [시간을 달리는 소녀]는 참 1960년대삘 나지요. 말투도 뭐랄까, 그 시절에 성우들이 더빙하던 천편 일률적인 영화 여주인공 목소리들이 떠올라요,

애쉬 2007-09-19 11:11   좋아요 0 | URL
그러게요. 3개의 단편 모두 여자 주인공의 목소리가 똑같죠?
 

아. 한희정의 목소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오늘 아침 일어났더니 그나마 한쪽밖에 없는 쌍꺼풀이 또 사라졌다.
어제 울고 잤게 화근이었나 보다.
에이씨, 많이는 안 울었는데. 에이씨 안 울 수가 없어서 운 건데.
어제 오스카가 드디어 꽃병 속 열쇠의 주인을 만났다.
그동안 책이 너무 수다스럽고 산만해서 꾹꾹 참고 있었는데, 어젠, 결국 울었다.

9월 11일은 나의 결혼기념일이다.
해서, 세계 무역 센터의 부서진 모습이라던가, 돌진해 오는 비행기라던가, 먼지가 무성하게 무너앉은 아비규환의 현장은, 별로 기억하고 싶지 않다.
거기서 죽어간 사람들도 누군가의 아들이고, 누군가의 어머니이고 누군가의 연인을 거라는 점에 대해서도 지극히 무디게 느끼고 있다.
아버지를 잃은 오스카, 아들을 잃은 할머니, 남편을 잃은 아내의 이야기를 마음편히 볼 수 있을리가 없는 데도 불구하고, 너무 가볍게 생각했었나 보다.
모쪼록 그들이 잃어버린 사랑 때문에 지금의 사랑을 잊지 않길 바랄 뿐이다.

그러나. 책의 기본 줄기와는 별도로, 작가가 시도하고 있는 많은 독창적인 시도들이, 그다지 나에겐 효과적이지 않았다.
꼬마녀석은 지나치게 수다스럽고 산만하고 돌출적이어서 감정 이입을 서걱거리게 만들었고, 할아버지는 지나치게 감상적이고 자기중심적인데다 도망만 다니는 인간이라 가끔은 정이 떨어지기도 했다. 과.유.불.급.이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07-09-12 22:5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님 덕분에 새로운 음악을 알게되네요.

애쉬 2007-09-13 16:43   좋아요 0 | URL
저도 나비님 서재에서 좋은 그림 많이 보고 있는 걸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