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는 동안 도미니카의 역사를 함께 공부하느라 꽤 시간이 걸렸다. 아투에이에서 시작해서 마리아 몬테즈까지 지구의 반대쪽에서 분주하게 벌어졌던 역사를 모르고 살아왔다는 것이 미안해졌다. 우리의 경우도 그러했듯이 원치않은 침략과 원치않은 생소한 문화들의 유입은 그 안의 사람들의 정신을 공허하게 하고, 황폐하게 하고 불안하게 한다. 당장 세상이 끝나도 무엇도 이상할 게 없는 나날은 정신적 공황을 낳는다. 그럼에도 삶이 계속된다는 것은 참으로 놀랍고 환상적이고 마술적이다. 그러니 중남미 붐소설의 탄생은 지극히 당연한 귀결점일 수도 있다.  
언제나 어디에서나 그렇지만, 정치적인 부자유는 다만 '정치'적인 부분만을 의미하지 않는다. 인간의 삶 전반, 그러니까 울고 웃는 것, 먹고 자는 것, 자신과 타인에 대해서 이해하는 것 그래서 사랑하는 것, 사랑해야 하는 것. 모든 부분이 정치다. 
트루히요의 어처구니 없는 독재와 도미니카에서의 삶, 그리고 디아스포라. 어디에도 발을 푹 담굴 수 없는 이민자의 삶. 이런 세상이야말로 SF 이고, 판타지이고, 롤플레잉 게임인 것을, 어찌 오스카만을 탓할 수 있을까. 오히려 그많은 실패의 경험들과 내쳐짐에도 불구하고 계속해서 사랑하기를 멈추지 않았던 오스카의 짧은 삶이 진정으로 놀라운 삶이었다고 감탄할 수 밖에 없다.   

 

 우리글의 문장이 읽고 싶어 한국소설을 들었다. 첫장을 넘기는 순간부터, 한 문장 한문장을 곱씹듯이 되새김하며 읽었다. 이를테면 시작부터 이런 것들.  
'거대한 흰 짐승이 바다로부터 솟아올라 축축하고 미세한 털로 뒤덮인 발을 성큼성큼 내딛듯 안개는 그렇게 육지로 진군해왔다.' 
역시 한국소설을 읽는다는 것은, 그저 이야기로만 끝날 수가 없다. 이야기와는 거의 별개로 단어가 하나의 문장이 되어 군무를 춘다. 그 미세한 리듬과 떨림을 피부로 느끼며 읽어야 하기 때문에 한국소설은 쉽게 읽히는 듯 해도 쉽게 읽히지 않는다.  
그래도 <도가니>는 이야기가 좀더 강할까 싶어 들었던 책이었는데, <무진기행>의 안개 냄새가 진득하게 남아 그마저도 쉽지가 않다.  '당신은 무진읍을 떠나고 있습니다. 안녕히 가십시오.'라는 표지판을 기시감을 느끼며 또 만나는 일은, 그리 유쾌하지 않을 뿐 아니라, 속이 상하고 참담한 일이었지만, 그래도 마지막 편지에 희망을 걸어 본다. 수많은 연두와 유리들이 힘내서 살고 있을 세상을 위해서.

 


댓글(4)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로 2009-10-14 09:2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왜 이런 글에 추천이 없을까요!!!!일빠로 추천 답니다.ㅎㅎ저도 며칠전에 오스카 와오의,,,,를 주문은 했는데 아직 읽진 못했어요~. 덕분에 감탄하면서 읽을 기대를 하니 좋은걸요~.^^

애쉬 2009-10-14 12:57   좋아요 0 | URL
감사해요~ 나비님. 나비님 덕에 늘 신이 난답니다. ^^
오스카 와오에 대한 나비님의 이야기도 듣고 싶네요.

비로그인 2009-10-14 21:3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책들은 제 마음을 읽고, 제가 들여다 보는 순간 책들도 저를 들여다 보는 것을 느꼈어요. 그래서 어쩔 땐, 어떤 책을 읽는지가 곧 내가 어떤 상황인지를 알게 해주는 경우도 있었지요. 이 책들은 애쉬님께 어떤 책들일까요.

애쉬 2009-10-16 10:54   좋아요 0 | URL
저는 오히려 제 환경과 기분에 따라 책들을 너무 다르게 읽어 탈이라고 생각하곤 했는데요, 쥬드님 말씀처럼, 정말 책들이 빤히 저를 들여다보는 듯한 느낌이 들 때가 있어요. 책장에 꽂힌 책들 중에서 이 책을 꺼내드는 순간, 아마도 그 순간부터가 저를 보여주는 순간이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