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의 해석 - 정신분석과 인간의 잠재의식에 대한 보고서, 3판 고전으로 미래를 읽는다 4
지크문트 프로이트 지음, 홍성표 옮김 / 홍신문화사 / 2006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금은 꾸지 않지만 어린 시절 단골로 꾼 꿈이 있었다. 첫 번째는 낭떠러지를 떨어지는 꿈이었고 두 번째는 태어나 살았던 언덕 위에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꿈이었다. 떨어지는 꿈은 패턴도 다양하게 바뀌며 매번 떨어지는 감각과 함께 꿈에서 깨어났다. 반면 집으로 돌아가지 못하는 꿈은 어린 시절로 돌아가 언덕이 가파르거나 눈에 미끄러져 혼자 낙오되는 내용이었다. 물론 꿈을 꾼 시점에서는 이사를 했고 자란 상태였기에 길이 미끄럽다고 집에 못 돌아갈 염려도 없었고 떨어지는 꿈도 떨어지는 도중에 깨어나지 추락한 이후가 나온 적은 없었다.

사람은 살면서 수많은 꿈을 꾼다. 그 내용은 일견 의미 없어 보이지만 대개는 어떤 의미를 혹은 기억을 품고 있다. 이 책 <꿈의 해석>에 따르면 많은 꿈은 그 사람이 품은 은밀한 소망의 충족이라고 한다. 단지 그 꿈이 왜곡되고 변형되어 해석하지 않으면 그 안에 숨은 의미를 알 수 없기에 그저 공상으로 받아들여지게 된다는 것이다. 어린 시절의 꿈을 생각해보면 나는 기억하지 못했지만 실제로 언덕 위의 집에 살 때 길이 미끄러워 내가 나동그라진 적이 있다고 한다. 어린 아이의 짧은 다리로 올라가기가 버거워보였는지 그 모습을 본 아버지가 달랑 들어서 안고 올라갔다는 것이다.

어쩌면 내 꿈은 내가 잊고 있던 그때의 기억을 반복해서 보여주며 그리움을 품고 있었던 건 아닐까. 프로이트 적 해석으로 성적인 요소를 넣고 싶지는 않지만 말이다. 또한 프로이트는 사람의 꿈이 그 사람의 육체가 지금 느끼는 바와 떨어져 있지 않다고 말한다. 실제로 꿈속에서 다리가 무거워 도망치기 어려웠던 기억이 있다. 그때 깨어나 보니 이불이 엉켜서 다리를 움직일 수 없는 상태였다. 흔히 춥게 자면 물에 빠지는 꿈을 꾼다고 하지 않던가.

프로이트가 말하는 사례처럼 실제로 들은 굉음은 꿈속에서 전혀 다른 모습으로 바뀌기도 한다. 그런데 꿈속의 많은 부분이 실제 자신의 기억과 어느 정도의 연관을 품고 있다는 것은 좀 놀랍기는 했다. 사람이 가진 기억은 그 사람이 쉽게 불러 낼 수 있는 것과 없는 것이 있다. 쉽게 불러내지는 못하지만 분명 기억하는 초기억을 꿈에서 이용한다는 것이다. 사람의 꿈에는 수많은 내용들이 들어가고 그 사람이 느낀 외부자극, 감정, 욕망, 기억들이 엉켜 들어간다.

그게 다양한 형태로 꽃을 피는데 그 밑바탕에 은밀한 소망이 있다는 것이다. 다른 형태로 자신을 합리화하기도 하고 성공적으로 치룬 시험을 반복적으로 꿈으로 재현함으로써 자신을 독려하기도 한다고 한다. 신선했던 것은 도시괴담처럼 들렸던 사이코패스와 일반인의 차이라며 장례식 꿈을 꾼 여성의 행동에 대한 내용이 이 책 <꿈의 해석>에서 사례로 등장한다는 점이었다. 한 여성이 조카가 죽는 꿈을 꾸고 첫 번째 조카가 죽었던 때를 말한다. 그녀의 꿈은 그녀가 헤어진 연인을 만나고 싶어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고 한다. 장례식이 일어난다면 혹여라도 만날 수 있지 않을까 한다는 것이다. 그렇다고 해서 조카가 죽기를 바란다는 것은 아니었다.

꿈은 압축적인 내용이지만 그 바탕에 깔린 사고는 방대한 것이라서 조각 맞추기 퍼즐을 하듯이 하나하나 읽어나가지 않으면 엉뚱하게 읽을 수 있는 것 같았다. 프로이트가 실제로 꾼 꿈에서처럼 환자의 사례가 여러 가지 섞이기도 하고 교수 임용에 대한 불안감이 친구를 숙부로 바꾸면서 모습을 달리 하기도 한다. 그런 식으로 사람의 무의식이 모습을 달리한다니 신선하기도 했지만 프로이트가 살던 시대와 달리 <꿈의 해석>의 내용이 단지 헛소리로만 들리지는 않는 시대에 살고 있기에 익히 알고 있는 내용도 있었다. 그래도 사람의 꿈이 스러지고 마는 것이 아니라 그 안에 숨은 소망이 숨어 있다는 발상은 흥미로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