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바이, 스바루 - 뉴욕 촌놈의 좌충우돌 에코 농장 프로젝트
덕 파인 지음, 김선형 옮김 / 사계절 / 2009년 9월
평점 :
절판


묵시록적 미래를 다룬 소설이 어떤 것은 그렇지 않겠냐만은 스티븐 킹의 소설 <스탠드>에서 정체불명의 바이러스가 퍼지고 난 후에 세상은 초토화된다. 정확하게는 세상은 거기 있으나 사람은 대부분 죽고 만다. 이후 다양한 사람들의 삶이 보여지는데 편리했던 삶의 대표주자인 도시는 거대한 무덤으로 변해 버린다. 전기가 들어오지 않고 자급자족을 할 수 없는 도시는 죽은 사람들이 썩어가는 장소에 불과했던 것이다. 현대사회는 유기적으로 연결되어서 돈이 있다면 먹고 사는데 필요한 물건을 쉽사리 구할 수 있다.

그래서 환경과 인간의 연결을 잊게 된다. 어디까지나 몸이 아프지 않으면 그렇다. 도시가 더없이 몸에 좋지 않은 환경이라는 것은 알지만 그 편리함에 길들어 떠나질 못하는 것이다. 그렇기에 가끔씩 스티븐 킹의 소설처럼 전기도 문명의 혜택도 받지 못하는 상황에 빠지면 어떻게 될까 하는 망상과 불안감에 시달리게 된다. 매일 음식물을 소비하지만 정작 식용 식물을 키워본 경험이라고 해야 초등학교 때 고추와 토마토 묘목을 키웠던 것과 봉사활동 시간을 채우려고 김포의 어느 농가에 가서 종일 고추에 화학 비료를 준 것이 다이기 때문이다.

더구나 동물은 동물원에서 본 것이 전부이고 텔레비전에서 볼 때조차 소의 거대함에 기겁을 하는 터라 자급자족은 꿈도 못 꾸는 상황이었다. 그런 참에 이 책 <굿바이, 스바루>를 읽게 되었다. 자신의 손으로 일군 음식물을 먹고, 그러면서도 문명의 이기를 누리겠다는 발상이 마음에 들었다. 실은 마음에 들기보다 부러움이 앞섰다. 요새 들어 묵시록적 소설을 잔뜩 읽은 터라 자급자족하는 삶에 대한 관심이 급증했던 것이다. 물론 <스탠드>에서처럼 캡틴 트립스가 휩쓴다면 살아남는 소수보다 죽게 되는 다수에 속할 거라고 생각하지만 말이다.

자급자족하는 삶에 대한 호기심, 사회와의 연결에 덜 기댈 수 있지 않을까 하는 기대감, 저자 자체가 도시 사람이니 남일 같지 않은 실수담을 읽을 수 있겠다는 두근거림에 책장은 잘도 넘어갔다. 예상대로 저자는 뉴욕에서 피자로 요기를 하고 차 없이는 돌아다닐 엄두도 못 내는 사람이었다. 가장 특이했던 것은 그가 염소를 키우게 된 동기였다. 자신이 부동산 주인이 되면서 진보주의자에서 보수우익에 가까워졌다고 농담을 하는 저자는 단 한 가지만은 결코 포기할 수 없다고 선포한다.

바로 아이스크림이다. 그에게 아이스크림은 하나의 식품군이고 기호식품이 아니라 필수 영양 식품이라고 한다. 그래서 그는 아이스크림을 위해 어린 염소 두 마리를 산다. 그때부터 그가 사는 농장의 주인은 염소가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 정도였다. 집 주위에는 코요테가 있어 염소를 지키기 위해 염소와 함께 자기도 하고 태양 전지판을 설치하고 내려오다가 매복한 염소에게 밟히기도 한다. 심지어 닭을 키워서 계란 재벌의 꿈을 키웠지만 코요테가 닭을 물고 도주하기 일쑤여서 농장이 초비상에 걸리기도 했다.

홍수가 나면 다리가 없어서 곤란에 빠지기도 하고 친환경적인 삶을 살려고 차를 식용유로 갈 수 있는 몬스터 트럭으로 개조하지만 그로 인해서 여기저기 폐식용유를 구걸하는 지경에 몰리기도 한다. 그의 삶은 쉬운 것이 없고 자급자족은 멀기만 하다. 태양열로 온수를 나오게 하려고 붙이는 접착제라던지 자신도 모르게 월마트에 의존하게 되는 발걸음 등 편리함에 너무나 익숙해져 있기 때문이다. 아이스크림을 자급자족하려면 몇 년이 걸린다는 것이 가장 큰 변수이기도 했다. 그럼에도 하려고 들면 어느 정도 선까지는 친환경적 삶에 다가갈 수 있다는 점이 놀라웠다. 그의 삶은 기대대로 부럽기도 하고 두렵기도 한 것의 연속이었다. 도시에서는 적어도 물이 넘쳤다고 그 곳에 3미터가 넘는 방울뱀이 출현할 일은 없기 때문이다. 그런 일에도 불구하고 그의 농장이 부러우니 어떻게 하면 좋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