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를 막고 밤을 달리다
이시모치 아사미 지음, 김주영 옮김 / 씨네21북스 / 2009년 8월
평점 :
절판


판타지 소설에 잘 등장하는 '맨드라고라'라는 식물이 있다. 무고한 남자가 교수형을 당하고 나면 그의 정액이 떨어진 자리에서 생겨난다는 식물이다. 그 식물은 뛰어난 효용을 자랑해서 누구나 탐내는 것이지만 동시에 그것을 뽑는 순간 맨드라고라가 지르는 비명 소리를 들으면 누구나 죽고 만다. 그래서 보통은 사람은 밀랍으로 귀를 틀어 막고 개에게 뽑게 시킨다. 맨드라고라를 뽑은 개는 죽게 되지만 사람은 맨드라고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 책 <귀를 막고 밤을 달리다>는 '맨드라고라'의 아종인 '알라우네'라는 식물에서 착안한 것이라고 한다. 생명체를 죽게 하는 알라우네의 비명을 듣지 않기 위해 귀를 막고 밤 동안 연쇄 살인을 벌인다는 것이다. 이시모치 아사미의 다른 책 <문은 아직 닫혀 있는데>에서는 차가운 살인이 등장했다. 오래 전부터 계획되었던 살인을 저지른 살인자와 뭔가 이상한 낌새를 채고 만 탐정 간의 차가운 두뇌게임이 일품인 책이었다.

반면 <귀를 막고 밤을 달리다>에서 이시모치 아사미는 하룻밤 동안의 격정적인 연쇄살인, 뜨거운 살인을 보여 준다. <문은 아직 닫혀 있는데>와 마찬가지로 살인자가 주인공인 것은 맞지만 그 심리 상태도 살인의 형태도 상당히 다르다. 또한 탐정 역할을 하는 사람도 없다. 있는 것은 살인자와 피해자, 죽이려는 자와 그것을 모르고 있는 자 뿐이다. 보통의 추리 소설에서는 분위기가 점점 고조되면서 살인 사건이 일어난다. 그리고 탐정 역을 하는 사람이 그것을 풀어낸다. 이 때 탐정이 풀어야 할 것은 누가, 어떻게, 왜 살인을 저질렀냐는 것이다.

하지만 살인자의 입장에서 진행되는데다가 끝난 사건이 아닌 지금 일어나는 연쇄살인을 다루고 있는 터라 <귀를 막고 밤을 달리다>에서 알려지지 않은 것은 살인자 나미키 나오토시가 왜 살인을 저지르게 되었나 정도다. 나미키 나오토시가 원래 연쇄살인범이었던 것도 아니고 그가 첫 살인을 하게 된 것은 아주 우발적인 것이었다. 만약 그 일이 있지 않았다면 밤 9시 20분에서 새벽까지 시간제한이 걸려있는 즉흥적인 연쇄 살인극을 꾸미지는 않았을 것이다. 물론 죽이려는 대상도 정해져 있었고 그렇게 마음도 먹었으니 공을 들여 살인 계획을 세우고 희생자들을 하나하나 죽일 생각이었다.

하지만 그 계획을 알아챈 인물이 생기면서 그의 계획은 시작도 전에 틀어진다. 그는 거대한 변수가 생겨서 자신의 살인 계획이 근본부터 무너지게 생겼다는 것을 깨닫는다. 이제 그가 할 수 있는 일은 살인 계획을 포기하던지 지금 즉시 속행해 대상자 전원을 하룻밤에 죽이든지를 골라야 했다. 이성적으로 선택하면 다른 사람을 죽이려는 것도 말이 안 되고 살인 계획을 즉시 포기하는 것이 옳았다. 하지만 나미키는 그 밤에 대상자 모두를 죽이기로 한다. 계획은 없었다. 가면서 즉흥적으로 생각해 낼 요량이었다. 시간은 밤 9시 20분이었고 새벽까지의 연쇄살인극이 시작되고 있었다.

그는 자신이 '창조해 낸' 3명의 미소녀, 일명 알라우네를 죽이려 한다. 그 모든 일들은 즉흥적으로 이뤄지고 나미키는 상대를 보다 쉽게 죽이기 위해 총력을 기울인다. 그가 왜 3명의 소녀를 알라우네라고 불렀으며 모든 시작점이 어디에 있는지는 이야기가 흘러가면서 차차 밝혀진다. 나미키의 동기는 어떤 면으로는 받아들여지기 어렵기도 하다. 작가의 다른 책에서 살인 동기가 밝혀졌을 때 읽는 사람의 반응은 보통 두 가지였다고 한다. 동기가 납득이 가지 않는다는 것과 이런 동기로도 사람을 죽일 수 있다는 것이 무섭다라는 것이었다. 이번 역시 마찬가지였다. 어떤 목적이 있든 간에 하룻밤에 3명을 죽이려 드는 연쇄 살인 계획이라니 오싹해졌다. 나미키는 '귀를 막고', '밤을 달려' 살인을 계속한다. 하지만 과연 귀를 막는다고 하여 알라우네의 비명 소리를 피할 수 있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