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글리 - 못생긴 나에게 안녕을 어글리 시리즈 1
스콧 웨스터펠드 지음, 송경아 옮김 / 문학수첩 / 2009년 7월
평점 :
절판


아름다움은 상대적인 것이라지만 사람은 추함보다는 아름다움을 선호하게 된다. 아름다움은 그저 아름다움일 뿐인데 선함으로 대변된다. 굳이 키 크고 보기 좋은 외모를 가진 사람들이 더 높은 연봉을 얻는다는 연구 결과를 들이대지 않아도 아름답다는 것은 여러모로 유리하다. 사악한 인물을 떠올릴 때 추한 얼굴을 떠올리고 선한 인물이 아름다운 얼굴을 가지고 있으리라고 사람들은 자신도 모르게 떠올린다. 그래서 매번 추악한 범죄를 저지른 사람을 보며 '멀쩡하게' 생겼다는 말을 꺼낸다.

사실 외모와 그 사람의 성격은 관계없다. 만약 외모와 성격이 관계가 생겼다면 주변 사람들이 그렇게 만든 것일 것이다. 추한 외모를 가졌으니 못된 성격을 가졌으리라고 멋대로 추측하고 멀리하는 것이다. 그런 상황에 빠지다보면 어지간하지 않고서는 마음의 뒤틀림이 생겨난다. 오죽하면 정신의 안정을 위해서 성형을 결심하는 사람까지 생겨났을까. 그래서 한 번은 전부 미남미녀인 사회는 어떤 모습일까 하는 생각을 했었다. 그렇다면 아무도 외모로 인해서 차별을 받지 않을 것이라 생각한 것이다.

그런데 이 책 <어글리>에서는 바로 그런 사회를 보여준다. 16살이 되면 강제로 전신 성형을 시켜 모두가 '예쁜이'가 되게 하는 사회였다. 전부 아름답고 선해 보이며 감탄하게 하는 외모를 가졌다. 미래 기술을 통해서 건강함까지 누리는 것이다. 언뜻 생각하면 나쁘지 않을 것 같지만 모든 사람들이 비슷한 아름다움을 가지고 웃고 있는 모습은 상상만 해도 기괴했다. 하지만 사람들은 세뇌라도 당한 것인지 그 상황에 의문을 제기하지 않는다. 16살 생일을 석 달 남긴 소녀 탤리 역시도 그랬다.

그녀의 바람이 있다면 빨리 시간이 흘러 예쁜이가 되는 것이었다. 그렇다면 새내기 예쁜이들이 사는 도시 중심가에서 매일 밤 파티를 하며 흥청망청 놀 수 있을 터였다. 자신의 얼굴을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마음 같은 것은 탤리의 머릿속 어디에도 없었다. '못난이'로 남느니 탤리는 자살이라도 할 태세였다. 예쁜이들 틈에 들어가면 모두가 자신의 얼굴을 감탄하면서 볼 테고 바라지 않는 이상 직업을 가질 필요도 없었다. 도시에서, 정부에서 전부 지원해주는 것이다.

그저 행복한 시간을 보내기만 하면 되었다. 모두가 아름다운 사람들의 무리 속에 사는 것이 기대되기만 했다. 그래서 그만큼 지금의 못난이 시기가 우울했다. 자신이 아는 모든 친구들은 이미 16살 생일이 지나 예쁜이 수술을 받았고 도시로 가서 돌아오지 않았다. 또래에서 마지막으로 남은 탤리는 그 때를 기다리고만 있을 수는 없었다. 너무 외로웠고 친구인 페리스를 만나보고 싶었다. 탤리는 이제 도시로의 잠입을 감행한다. 예쁜이들 틈에서 얼굴이 변했을 친구를 찾기로 한 것이다.

모두가 아름다운 사회, 그 이면에는 역겨운 진실이 있었다. 대체 사람들에게는 어떤 일이 생겼길래 아무도 반기를 들지 않는 것일까. 16살에 전신 성형이 의무화되고 나이가 들면 그 나이에 맞는 재성형이 이루어진다. 그 기괴함을 도시 속에 사는 사람들은 이해하지 못한다. 아직 성형을 하지 않은 청소년이나 새로 태어나는 어린 아이들은 자라면서 계속 자신의 얼굴이 바뀔 날만을 기다린다. 이런 우울하고 기괴한 미래 사회를 10대 소녀의 눈으로 바라본다는 점이 묘했다. 그 소녀의 시각은 점차 변해간다. 그리고 진실에도 점차 근접해간다. 도시의 그늘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아름다운 것은 좋지만 성형이 강제되는 사회, 모두가 비슷한 아름다운 얼굴을 하고 웃고 있는 사회 속에 떨어지고 싶지는 않다. 생각만 해도 오싹하달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