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안의 물고기 - 물고기에서 인간까지, 35억 년 진화의 비밀
닐 슈빈 지음, 김명남 옮김 / 김영사 / 200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 텔레비전에 나와서 춤을 추는 연예인을 보고 있노라면 같은 사람의 몸으로 어떻게 저렇게 움직일까 신기할 때가 있다. 같은 종에 대한 쓸데없는 감탄을 하게 될 때가 있는가 하면 인간의 몸에 있는 쓸데없는 부위에 대한 의문을 금할 수 없을 때가 있다. 아직 진화가 덜 된 흔적을 발견하게 되는 것이다. 어떨 때는 존재 자체가 놀라워서 신이 인간을 만들어 냈다는 말을 믿고 싶을 때도 있지만 전반적으로는 진화론을 믿고 있다. 적어도 원숭이에서 인간으로 진화되었다는 말을 듣지 않고 있을 때는 그렇다.

하지만 인간이 물고기에서 진화가 되었다는 말에는 잠시 망설였다. 어딘가에서는 시작점이 있었겠지만 물속에서 자유롭게 유영하고 때로는 인류의 먹을거리가 되고 마는 물고기가 먼 선조라는 말에는 잠시 망설여졌다. 다윈이 인간의 존엄성을 뭉갰다고 비난하는 사람과 순간 비슷한 심정이 되는 것이다. 하지만 딸꾹질 같이 성가시고 대체 왜 일어나는지 알 수 없는 흔적들을 생각해보면 그럴 것 같기도 하다는 생각에 잠기게 된다. 신이 사람을 만들어 낸 것이라면 왜 불필요한 것들이 있을까. 처음부터 완벽하게 태어나면 좋겠지만 인간의 몸은 의외로 잔고장이 잦다.

거기에 고치기 힘든 질병도 많다. 그것이 모두 진화의 결과이며 아직 진화의 과정에 있기 때문이라고 말하는 것이 이 책 <내 안의 물고기>다. 저자 닐 슈빈은 고생물학자로 '틱타알릭'이라는 물고기 화석을 찾은 사람이다. 단순히 큰 물고기 화석이라면 그렇게 놀라울 것이 없었겠지만 '틱타알릭'은 놀랍게도 팔이 달려 있으며 '목'도 있다. 종과 종을 나누는 경계에 있는 생명체인 것이다. 배아 상태에서는 물고기, 닭, 인간 등 다른 종도 큰 차이가 없다고 한다. 하지만 그 진화의 중간 단계는 빠져 있다고 한다. 마치 누군가 1000조각 퍼즐을 뒤엎은 다음 맞추고는 있지만 아직 테두리밖에 맞추지 못한 상태라는 것이다.

인류는 적절한 순간에 태어났겠지만 태어날 때까지 무수히 많은 진화의 과정을 겪어왔을 것이다. 철학의 근원에 있는 것도 존재에 대한 의문이라면 고생물학도 인간의 기원을 파고 들어간다. 어떻게 진화를 거쳐서 인간이 되었는지를 알려 하는 것이다. 그 잃어버린 고리가 바로 '틱타알릭'이라고 한다. '폐어'와 마찬가지로 무시무시한 자연에서 살아남기 위해 발버둥친 인간의 선조인 것이다. 모습을 보면 과연 인간의 선조인가 의아해지지만 닐 슈빈이 종을 나누는 기준과 각 과정의 인간과의 유사성을 말해주는 것을 듣고 있노라면 점차 그 사실을 받아들이게 된다.

거기에 뼈보다 이빨이 먼저였다는 것처럼 흥미로운 사실이 간간히 더해지면서 묘한 기분이 들었다. 몸이 생겨난 것은 몸을 유지할 수 있는 많은 산소가 생겨난 이후에 일어난 일이고 먹기 위해서 뼈가 아니라 이빨이 먼저 생겨났다는 것이다. 그 이빨이 생겨나는 과정에서 비롯되어 뼈부터 깃털이 생겨날 수 있게 되었고 인간의 선조라고 할 수 있는 팔 달린 물고기 '틱타알릭'은 무시무시한 이빨과 덩치를 자랑하는 육식 물고기를 피해 물 밖으로 나왔다는 것이다. 계속 이어지는 연쇄 고리의 끝에 서 있다는 사실을 생각하니 신기한 기분이 들었다.

단지 인간이 딸꾹질을 하는 것은 올챙이와 공통점을, 탈장은 물고기에서 진화한 흔적이고 말을 하게 되면서 질식의 위험에 시달리게 되었다니 마음이 복잡해졌다. 인간이 진화하지 않고 처음부터 인간으로 태어났다면 병에 걸릴 일도 잔고장을 일으킬 일도 적었을 것이다. 하지만 인간은 미생물에서 진화를 거듭해왔고 활발한 물고기, 활발한 양서류, 활발한 파충류, 활발한 포유류를 거쳐 게으른 현대인이 되었다. 진화의 과정에 맞지 않는 행동을 해서 병을 얻기도 하고 아직 덜 진화된 부분으로 인해 딸꾹질 같은 성가신 경험을 하게 된다는 것이다. 인간의 몸이 진화를 거쳐 지금에 이르렀다는 것은 놀랍지만 처음부터 지금에 맞게 형성되었다면 좋았을 걸 하는 무리한 욕심도 남는다. 그리고 미래에는 어떤 진화를 거쳐 어떤 모습으로 남게 될 지 조금은 두렵기도 하다. 언젠가 지금의 인류의 모습을 지금 우리가 '틱타알릭'을 보는 시각으로 보게 될 날이 올지도 모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