악몽의 엘리베이터 살림 펀픽션 1
기노시타 한타 지음, 김소영 옮김 / 살림 / 2009년 5월
평점 :
절판


엘리베이터는 여러 모로 편리한 물건이다. 높은 층에 힘들이지 않고 빨리 올라 갈 수 있으니 이 이상 좋은 물건이 없겠다는 생각도 든다. 허나 그 편리한 것이 어느 날 이상을 일으키면 슬며시 불안해진다. 한 고층건물에 갔을 때 엘리베이터를 이용하려고 했다. 투명한 엘리베이터로 내다보는 풍경이 마음에 들어서 자주 이용하던 터였다. 그런데 도착한 엘리베이터가 한참 그대로 멈춰섰다가 도로 내려가는 것이었다. 분명 버튼도 눌러 놓은 상태여서 기다리던 사람이 전부 놀라고 말았다. 타려고 했던 것이니 다른 것을 이용하면 그만이었지만 만약 사람이 탔다가 못 내리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던 것이다.

엘리베이터는 편리하긴 하지만 고장이 나서 만약 열리지 않는다면 갑갑한 밀실로 변해버린다. 편리한 기구와 불안한 밀실로 순식간에 전환되는 것이다. 그런 면에서 이 책 '악몽의 엘리베이터'는 영리한 소설이다.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지만 반 정도는 불안감을 안고 있는 엘리베이터라는 장소를 소재로 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르락내리락 층을 오가는 엘리베이터처럼 읽는 사람의 마음을 쥐락펴락 하기도 하고 엘리베이터라는 장소가 가진 편리함과 불안감의 경계를 잘도 오간다. 형식은 일단 추리소설이지만 역자의 말대로 '엔터테인먼트' 소설이란 말이 적합할 정도로 흥미로운 작품이다.

매번 읽는 사람의 예상을 뒤집어엎는 이 소설은 세 사람의 악몽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엘리베이터에 갇히는 사람은 네 사람뿐이고 그 외 관련자도 몇 된다. 구성 상 세 사람의 악몽으로 구성되어 세 사람의 관점에서 전개되지만 다 읽고 난 이후에 생각해보면 제목대로 모두의 악몽이다. 그 악몽이 잉태되는 엘리베이터에 한 남자가 탄다. 그의 이름은 오가와 준, 임신 9개월인 부인을 가진 남자였다. 평범한 아파트의 엘리베이터에 탔던 것은 송별회에 참석했다가 만취한 종업원의 뒤치다꺼리를 해야 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아내에게서 전화가 걸려온다. 배가 아프다는 것이었다. 오가와는 마음이 다급해졌고 집으로 돌아가려 내려가는 엘리베이터에 탄다. 거기까지가 그의 기억에 있는 부분이었다. 어찌된 영문인지는 알 수 없었지만 깨어나 보니 엘리베이터 안에 누워 있었다. 세 사람이 그를 내려다보고 있었는데 마녀 같은 느낌에 곰 인형을 끌어안고 있는 여자, 오타쿠 같은 분위기를 풍기고 메뚜기 같이 생긴 남자, 수염이 지저분하고 양복을 입고 있는 아저씨였다. 그들은 오가와가 깨어나자 저마다 떠들어댄다.

그들이 말하는 내용을 종합해보면 오가와가 탄 엘리베이터가 갑자기 급강하를 했고 그 와중에 오가와가 머리를 부딪쳤다는 것이다. 그 이후 엘리베이터는 밀실이 된 채로 움직이질 않는다고 했다. 오가와는 정말 기겁한다. 만삭인 아내에게 산통이 오는 상황에서 엘리베이터에 갇혔으니 그럴 만하기도 했다. 그는 다급하게 비상 버튼을 눌러 대지만 응답이 없었다. 주민이 모두 자는 새벽이라 담당자가 자리를 비웠거나 고장인 것 같았다. 더구나 갇힌 사람 모두 핸드폰도 손목시계도 가지고 있지 않았다. 밖으로 연락을 할 수도 갇힌 시간을 가늠해 볼 수도 없었던 것이다.

오가와의 눈앞에는 부인 마나미가 배를 부여잡고 쓰러진 모습이 스쳐지나간다. 그는 이성을 잃고 탈출할 방법을 궁리하지만 어쩐지 3명은 남의 일인 것 같은 태도였다. 기괴한 3인조와 갇혀 버린 오가와는 이리저리 머리를 굴리지만 상황은 점차 악화된다. 서로의 비밀이 하나씩 풀릴 때마다 분위기가 불안정해지는 것이다. 이미 구르기 시작한 돌은 모든 것을 부술 때까지 멈춰 서지 않을 기세였다. 한 사람에서 다른 사람의 관점으로 이야기가 넘어갈 때마다 처음의 의문은 풀려나가지만 새로운 의문이 자라나고 이야기는 알 수 없는 쪽으로 흘러간다. 마지막에 가서야 프롤로그부터 쌓여왔던 모든 의문이 풀려 나간다. 악몽은 이야기의 주역들이 엘리베이터에 오르기 전 부터 시작되어 있었던 것이다. 오랜 만에 영리하게 재미있는 소설이라 꽤 재미있게 읽었다. 다만 앞으로 엘리베이터를 탈 때의 불안이 늘어났다는 쓸 때 없는 덤까지 붙고 말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