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젊음의 탄생 (양장) - 젊음의 업그레이드를 약속하는 창조지성
이어령 지음 / 생각의나무 / 2009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사람이 정말 죽는 것은 잊혀졌을 때라고 한다. 그렇다면 사람이 늙었을 때는 언제일까. 그것은 아마도 사고가 고정되어 버렸을 때일 것이다. 어린 시절에는 모든 것이 호기심의 대상이고 사고가 고정되어 있지 않다. 지금에야 하늘이라고 하면 푸른색을 떠올리지만 어린 아이들의 그림은 정형화되어 있지 않은 경우가 많다. 즉, 새로운 것을 생각할 힘을 잃어버렸을 때 사람은 늙는다. 그 사람의 생각도 늙은 육신 속에 고정되어 버린다.
그렇다면 그 반대도 가능할 것이다. 고정된 사고에서 탈피해 새로운 생각을 할 수 있다면 그 순간 젊음이 돌아올 수도 있는 것이다. 이 책 '젊음의 탄생'은 그런 면에서 묘한 책이었다. 시대의 지성이라고 할 수 있는 저자는 젊은이들에게 사고의 틀을 넓힐 것을 그리고 바꿀 것을 조언한다. 그저 젊은이들에게 하는 조언 같다가도 그 안에 들은 이야기는 단순하지만 단순하지 않아서 마음에 박히는 기분이었다. 책을 읽어나갈수록 자신의 사고가 딱딱해졌다는 것을 느꼈기 때문이다.
책에서 가장 묘했던 것은 아홉 장의 카드의 역할이었다. 사고를 유연하게 할 상징이 그려진 카드들은 읽는 사람의 주의를 환기시킬 뿐만 아니라 저자가 전하고 싶은 이야기를 함축하고 있었다. 첫 번째 카드에서는 카니자 삼각형이라는 것이 그려져 있었다. 카드 자체에는 삼각형이 그려져 있지 않은데 모서리 부분에 있는 문양으로 인해서 공백의 부분이 삼각형처럼 보이는 것을 말한다고 한다. 있지 않은 것을 뇌에서만 인식한다는 것이다. 그와 함께 비행기에 관한 이야기가 서술되어 있었다.
우리나라의 연이 구멍이 뚫려있는 것은 단순히 뜨기 위해서가 아니라 날기 위해서라는 것이다. 창조적인 생각을 날개로 뜨는 것이 아니라 날아오르라는 이야기였다. 왜 우리나라에서는 아직 비행기를 만들지 못하느냐는 이야기와 익숙한 동요, 카니자 삼각형이라는 생소한 카드를 연결해 뜨지 말고 자신의 힘으로 날아오르라는 이야기가 이어지는 것이 신선했다. 그리고 보통 이카로스의 날개 이야기를 할 때면 서툴고 어리석은 시도라고 말하는 것이 보통인데 한 가지 목표를 위해 돌진하는 이카로스가 없음을 한탄하는 쪽으로 전개되어 놀라웠다.
다른 사람이 비웃더라도 이카로스처럼 사고하고 행동하는 젊음을 품으라는 말이었다. 안전만을 지향한다면 이카로스를 지향하는 것도 갈매기 조나단처럼 행동하는 것도 어리석은 일일 것이다. 하지만 그래서야 유일한 단 한 명, 독자적인 분야에서 최고가 되는 단 한 명이 될 수 없다는 것이었다. 이처럼 창조적 사고를 부르짖는 첫 번째 카드 이야기에서 두 번째 카드는 물음표와 느낌표가 합쳐져 있는 카드를 보여주면서 모든 일에 호기심을 느끼고 과감하게 행동할 수 있어야 젊음이 다시 태어난다고 말하는 것이 인상적이었다.
그 외에 목표를 위해 지치지 않는 탐색의 열정을 보여주는 개미의 동선, 이쪽 아니면 저쪽이라는 흑백논리가 아니라 이것도 저것도 양쪽을 다 생각하고 선택하라는 오리-토끼, 경계를 넘어 통합의 묘를 보여주는 매시 업, 최적화를 보여준 연필의 여섯모꼴, 빈칸의 창조인 빈칸 매우기, 하고 싶은 일을 마음껏 즐기면서 임하라는 지의 피라미드, 로컬을 가슴에 담고 글로벌을 향해 나가라는 둥근 별 뿔난 별이 담겨 있었다.
아홉 가지 하나하나가 인상적인 이야기가 담겨 있어서 다 읽은 후에 곰곰이 생각에 잠기게 되었다. 언제부턴가 안정만을 찾게 되고 창조적인 답이나 신선한 답이 아니라 '옳은' 답만을 고집하게 되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사고가 고정되어 버렸던 것이다. 무엇이 옳은지는 누구도 모른다. 그래서 더 두 번째 카드 물음느낌표가 마음에 들었다. 어떤 정보를 그저 받아들이고 수긍할 것이 아니라 많은 일에 호기심을 가지고 '왜'라고 반문해보라는 부분이 특히 그랬다. 책을 다 읽었지만 아직 젊음이 꽃 핀 것 같지는 않다. 호기심을 갖기 시작했지만 행동은 아직이기 때문이다. 허나 새로운 사고를 배우고 자신의 사고를 돌아볼 수 있는 기회라는 점이 특히 좋았다. 언젠가 자신의 힘으로 날 수 있을 때까지, 지쳐서 앞으로 나갈 수 없을 때마다 이 책을 다시 펼쳐보게 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