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각이 차이를 만든다 - 보이지 않는 것을 통찰하는 통합적 사고의 힘
로저 마틴 지음, 김정혜 옮김 / 지식노마드 / 2008년 5월
평점 :
절판


인생은 선택으로 연속되어 있습니다. 살아있는 한 중요한 일에 대한 선택이든 그렇지 않은 일에 대한 선택이든 수많은 선택을 하면서 살아가게 됩니다. 선택에 정답이란 것은 없지만 어떤 선택을 하느냐에 따라 많은 것이 바뀔 수도 있고 마땅찮은 두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고 고민할 수도 있습니다.

모순이라는 말은 어느 장사꾼의 행동에서 유래되었다고 합니다. 장사꾼은 자신이 파는 두 가지 종류의 물건인 창과 방패를 설명하면서 이렇게 말했다고 합니다. 무엇이든 꿰뚫는 창과 모든 것을 다 막는 방패라구요. 이 때 한 남자가 그런 두 가지를 맞부딪히면 어떻게 되느냐 물었다고 합니다. 장사꾼은 난감해졌지요. 어느 하나를 함부로 선택할 수 없었거든요. 이 이야기는 어떤 말이 논리적으로 맞지 않는 상태인 모순에 대해서 말하면서 많이 듣습니다.

그런데 이야기 속의 장사꾼이 꼭 선택을 해야 하면 어떻게 되었을까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마도 원만하게 해결을 하기 위해서는 자신이 파는 두 가지 상품의 가치를 각각 얼마간 깎아내렸을 겁니다. 난감한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얼마간의 손해를 감수한 선택, 절충안을 선택했을 겁니다. 이 상황이 바로 트레이드 오프라고 합니다. 난감한 상황에 봉착하고 두 가지 안이 있지만 그 두 가지 안은 그 상황을 완벽하게 만족시켜주지 못합니다. 장단점이 있는 거지요. 이때 어느 정도의 손해를 감수하고 하나의 선택을 한다는 겁니다.

보통의 경우에는 그럴 겁니다. 어디까지나 보통의 경우에요. 그런데 탁월한 경영자들의 사고는 이것과 다르다고 하더군요. 둘 중 하나가 아니라 '둘 다'라는 겁니다. 그래서 곤란한 상황에 있을 때 두 가지 안을 전부 쓰기도 하고 좀 더 깊게 생각해서 더 나은 대안을 끌어내고 그것을 선택한다고 합니다. 더 나은 방법을 알아내지 못한 것뿐이지 없는 게 아니라면서요.

한 예로 세계에서 가장 큰 최고급 호텔 체인 포시즌스 호텔을 설립하고 키워낸 이사도어 샤프는 이런 생각을 했다고 합니다. 모텔은 고객과 친근하고 가족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보다 밀접한 서비스를 행할 수 있지만 회의실이나 여러 장비 등이 없고 소규모라서 사업 관련 고객을 만족시키지는 못했습니다. 그래서 보통 호텔 사업자의 경우 저렴한 숙박비와 가족적 서비스를 제공하는 모텔과 보다 높은 숙박비, 나은 시설 그러나 비인간적 분위기가 나는 호텔 둘 중에 하나를 선택했다고 하더군요.

허나 이사도어 샤프는 하나를 선택하지 않았습니다. 두 가지를 다 이루고 싶었으니까요. 그의 첫 선택은 두 가지의 사업을 같이 하는 것이었고 그의 두 번째 선택은 적합한 규모의 호텔을 찾아서 인수하고 모텔 분위기의 서비스를 호텔의 설비에서  제공하는 새로운 유형의 호텔을 만들어낸 것이었습니다. 이 때 문제가 있었는데요. 일반 호텔보다는 규모가 작기 때문에 좀 더 높은 숙박비를 받지 않으면 유지하기가 힘든 점이 있었던 거지요. 그는 이 문제를 고객이 원하는 서비스를 찾아내는 것으로 해결합니다. 그리고 세 번째로 소유와 경영을 과감히 분리해서 호텔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주력했다고 하더군요. 그는 여러 번이나 상식적인 사고에서 벗어난 창의적 사고를 했고 둘 중 하나라는 선택이 아니라 둘 모두라는 통합적 사고를 통해서 큰 성공을 이루었습니다.

이 이야기를 듣고 일단 감탄하게 되더군요. 선택의 순간 둘 중 하나가 아니라 둘 다를 선택한다는 점 그리고 그것을 더 개선시키고 더 나은 방법을 찾는다는 방식이 놀라웠구요. 성공의 이유가 있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책은 통합적 사고에 대한 포괄적 설명을 할 뿐만이 아니라 적절한 사례를 들어서 설명을 하고 있습니다. 덕분에 읽을 때 굉장히 흥미로웠어요. 사고의 틀을 몇 번이나 깨었다는 생각이 들었구요. 그리고 이어서 어떻게 그 방식을 배우면 될 지까지를 다각면으로 설명하고 있는 점이 좋았어요.

탁월한 경영자들이 선택의 순간하는 새로운 사고방식, 통합적 사고에 대해 배울 수 있었던 점이 특히 마음에 들었구요. 통합적 사고력의 힘을 보여주는 '생각이 차이를 만든다' 굉장히 인상 깊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