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제학 콘서트 2 - 우리 동네 집값의 비밀에서 사무실 정치학의 논리까지, 불확실한 현실에 대처하는 경제학의 힘 ㅣ Economic Discovery 시리즈 2
팀 하포드 지음, 이진원 옮김 / 웅진지식하우스 / 2008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소설 '용의자 X의 헌신'에서 주인공은 수학선생님입니다. 수학이 무슨 필요가 있냐고 하는 학생에게 이렇게 답하더군요. 잘 타고 다니는 오토바이를 주행할 때도 미적분이 적용된다구요. 미국 드라마 시리즈 '넘버스'의 주인공인 수학자 찰리의 경우에서도 비슷한 답을 들을 수 있습니다. 그 때는 주인공이 격분하면서 전문용어를 쏟기 시작해서 알아듣기가 더 힘들었지만요.
학문이라고 생각하면 딱딱하게만 느껴지고 이게 무슨 필요가 있나 싶지만 수학부터 물리학까지 학문의 원리는 생활 이곳 저곳에 숨어 있습니다. 단지 인식하지 못하거나 관심이 없어서 찾지 못하는 것 뿐이구요. 경제학이야 알게 모르게 퍼져 있는 터라 큰 관심이 없었는데 요사이 경제학이 관련된 '괴짜 경제학', '일상의 경제학', '경제학 패러독스' 같은 책이 나오기 시작해서 경제학에 대한 것을 조금은 생각해 보게 됐습니다. 그 선두에 서 있는 책이 바로 이 책 '경제학 콘서트' 입니다.
사람이 살면서 끊임없이 다수의 상품을 소비하기도 하지만 더 나은 이익을 추구하는 생물이라는 점에서 경제학이 계속 적용되더군요. 허나 이 책 자체가 워낙 재밌어서 이 책 제목에 엄연히 경제학이라는 단어가 붙어 있다거나 경제학 원리가 등장한다는 사실을 잊게 될 때도 많았습니다.
책은 9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각 장의 제목은 '똑똑한 사람은 에이즈를 두려워하지 않는다, 게임의 달인 인생의 달인, 멋진 남자가 평범한 남자와 결혼하는 이유, 회사가 당신에게 알려주지 않는 연봉의 비밀, 네 이웃은 누구인가, 차별당하지 않는 가장 확실한 방법, 도시에서 영리하게 살아가기, 합리적인 유권자 생활, 부유한 나라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입니다.
각 장에 소제목이 붙어 있고 그 소제목 당 두세 쪽으로 나뉘기야 하지만 일관된 주제를 설명하기 위함이라서 오히려 더 좋더군요. 편안한 이야기를 듣는 기분이랄까요. 한 주제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다가 퍼져나가는 부분을 건드리고 한참을 듣다보면 다시 본래의 주제로 돌아와 마무리 됩니다.
다양한 주제를 다루는 만큼 집중도가 저하되는 부분이 없지는 않지만 일단 첫 부분이 '왜 10대들에게 구강성교가 유행하는가'로 시작해서 호기심을 자극하는 것만은 확실했습니다. 은근히 클린턴 전 대통령이 떠오르기도 했고 무슨 생각을 하는 건지 하고 한심한 생각이 들기도 했지만 지은이는 이것이 더없이 합리적인 일이라고 설명합니다. 에이즈 그리고 성병을 피하기 위해 덜 위험한 성행위로 옮겨간 것이라는 거지요. 이득을 착실하게 따진 계산이라는 겁니다. 단순히 아이들이 타락했다가 아니라 경제적 가치를 따진 행위라고 하나하나 분석해주는 것이 신선하게 느껴졌네요.
그 외에는 유명 수학자 폰 노이만의 게임이론이 적용되는 포커판의 이야기도 있었는데요. 게임이론을 적용해서 우승한 도박사의 이야기도 인상깊었지만 컴퓨터보다 더 빨리 계산했다는 폰 노이만의 지능과 능력이 더 놀라웠습니다. 부러운 생각도 들었구요.
또 CEO가 굳이 열심히 일하려 들지 않는 것과 그런 CEO에게 거대한 연봉을 주는 것이 지극히 합리적이라고 분석한 것이 재밌었어요. 이익을 더 얻어도 자신에게 오는 이득이 껑충 뛰어오르는 게 아니니까 CEO가 무리해서 열심히 일할 이유가 없고 뛰어난 CEO가 아니라도 많은 연봉을 주는 것은 그에게 그만한 연봉을 주면 밑에 부하직원들이 후에 승진할 때 자신의 이익을 생각하면서 더 열심히 일하는 효과가 있다는 겁니다. 그렇게 생각하니 그럴만하다는 생각이 들더군요.
카트리나의 재해를 당한 도시 뉴올리언즈를 복구할 것이 아니라 그곳에 살고 있던 시민들에게 돈을 줘서 다른 도시에서 살 수 있게 하는 것이 좋다는 의견도 이색적이었구요. 생각해보지 않았던 부분이었달까요.
다양한 주제를 재밌게 섭렵해가며 풀어나가는 경제학 이야기여서 부담도 적고 술술 읽어내려갈 수 있었어요. 보기 드물게 시리즈로 나와도 재밌는 경제학 도서였구요. 생활 속의 경제 원리를 유쾌하게 풀어낸 '경제학 콘서트 2' 재밌게 읽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