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탄탄한 문장력 - 보기 좋고 읽기 쉬운 정교한 글쓰기의 법칙 20
브랜던 로열 지음, 구미화 옮김 / 카시오페아 / 2015년 6월
평점 :
이 책은 그냥 읽기만으로 글쓰기가 좋아지는 실용적인 글쓰기 매뉴얼입니다.
"글을 잘 쓰는 것은 재능이 아니다. 그것은 오로지 습관의 결과물 일 뿐이다."
저자는 하버드 대학에서 글쓰기 과정을 이수하였고 교육센터에서 글쓰기의 기본원칙을 개발하였습니다.
글쓰기에 대한 배우고 깨닫게 된 내용을 간단한 예시와 함께 잘 설명하고 있어 한번 읽는것으로 글쓰기에 대한 것을 배우게 됩니다.
PART 1 구조 : 생각을 어떻게 글로 적을 것인가
(1) 두괄식으로 써라
결론부터 제시하라.
결론은 글의 가장 처음, 혹은 처음과 가장 근접한 곳에 써야 한다.
(2) 쪼개라
주제를 몇 개의 부분으로 쪼개서 본론으로 만들고, 머리말을 활용하라.
쓰고 싶은 이야기를 두 개 혹은 세 개의 중요한 부분으로 나눈다.
(3) 접속사를 사용하라
글의 흐름을 명확히 보여주려면 접속사를 사용하라.
연속접속사 - 게다가, 뿐만 아니라, 동시에
예시 접속사 - 예를 들면, 일례로, 사실 상, 좋은 예로
대조 - 그렇지만, 그러나, 그럼에도, 반면에, 한편
결론 - 끝으로, 마지막으로, 그러므로, 따라서, 그리하여, 결과적으로
(4) 여섯 가지 글쓰기 구조를 기억하라
여섯 가지 구조를 활용해 생각을 적절히 배치하라.
시간순서 구조, 비교 구조, 순차 구조, 인과 구조, 분류 구조, 가치판단 구조
질문과 답변, 문제와 해법.
(5) 비슷한 내용끼리 묶어라
하나의 주제를 완전히 마무리한 후 다른 주제로 넘어가라.
한 가지 생각에 대한 논의를 완전히 끝낸 다음에 다른 개념으로 넘어가는게 가장 좋은 방법니다.
PART 2 문체 : 마음을 움직이는 글쓰기의 비밀
(6) 뒷받침하라
구체적이고 분명한 단어를 사용해 요지를 보충하라.
확실하고 구체적인 사례를 제시해야 좋은 글이 되고 글을 특별하게 만든다.
(7) 경험을 더하라
오랫동안 기억에 남는 글을 쓰려면 개인적인 경험을 덧붙여라.
구체적인 경험을 통해 결론에 이르게 된 것을 독자에게 알려준다.
(8) 쉬운 표현이 정답이다
생각을 제대로 표현하고 싶다면 쉬운 단어를 선택하라.
독자에게 가장 맞는 적절한 단어를 사용하고 있는지 점검하라.
(9) 긴 문장을 잘라라
단문으로 만들어서 글을 명료하게 만들어라.
짧은 문장에는 강력한 힘이 있다. 이 것을 과소평가 하면 안 된다.
(10) 불필요한 표현을 버려라
군더더기 말이나 과도한 수식어를 빼라.
중복은 불필요하고 과도한 수식어는 지루하다.
(11) 글에 능동적인 힘을 실어라
되도록 수동태를 피하고 능동태를 사용하라.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수동적인 표현보다는 능동적인 표현이 좋다.
(12) 명사보다 동사가 좋다
동사나 형용사로 쓸 수 있는 표현을 명사화하지 마라.
명사화하는 것은 글의 힘을 떨어뜨린다.
(13) 병렬구조를 활용하라
비슷한 항목들은 비슷한 형태로 일관되게 표현하라.
병렬구조는 글에 힘이 생기고 의미가 분명해 진다.
(14) 문장을 다양하게 써라
문장의 첫머리와 길이를 다채롭게 변화시켜라.
주어로 시작, 구로 시작, 절로 시작, 부사로 시작, 형용사로 시작
(15) 적절한 어조를 찾았는가
긍정적이고 친근한 어조가 좋다.
부정적인 표현을 긍정적인 표현으로 바꾸어 주는 게 좋다.
(16) 중립적인 표현을 사용하라
한쪽 성에 치우친 단어는 피하라.
PART 3 가독성 : 보기 좋고 읽기 편한 글을 쓰는 법
(17) 지면의 구성과 형태를 이용하라
가독성을 높이려면 글 주변의 여백을 넓혀라.
여백을 늘리고 단락 사이에 한 줄 비워둔다.
(18) 가독성을 높이는 도구를 사용하라
핵심단어와 구절을 부각시켜라.
글에 활용할 수 있는 도구로는 볼드, 이텔릭, 대시부호, 굵은 점, 번호, 음영 등이 있다.
(19) 제목과 헤드라인을 사용하라
글을 여러 부분으로 나누거나 요약할 때 제목과 헤드라인을 사용하라.
제목과 헤드라인을 사용해서 요점을 짚어주는게 좋다.
(20)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라
손댈 부분이 없을 때까지는 아직 끝난게 아니다.
몇 번의 탈고작업을 통해 보다 좋은 글이 완성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