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17일 개봉

 

감독 파올로 소렌티노

 

출연

마이클 케인, 하비 케이틀, 레이첼 와이즈, 폴 다노, 제인 폰다, 네브 가체브 등

 

영화를 영화관에서 보고, 바로 후기를 쓰는 타입은 아니다.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고, DVD를 보며 몇 번씩 곰씹은 다음 한 글자를 선택하는데 고민하면서 후기를 쓴다.

 

어제 저녁 본 영화 유스Youth는 이런 나의 오랜 버릇과 원칙을 버리게 만들었다.

 

영화가 시작하자마자 들리는 음악과 영상의 아름다움.

 

삶에 대한 의미.

- 몸이 늙은 것과 마음이 늙은 것, 정신이 늙은 것은 언제나 다른 의미지만, 우리는 대개 몸이 늙으면 마음과 정신이 함께 늙는 것으로 생각한다.

 

영화를 보고나서 기억에 남는 것이 두 장면 있다.

 

- 하나는 폴 다노가 연기한 지미.

- 지미는 많은 사람이 영화 미스터 큐 이야기만 하는 것에 질려있는데, 어느 날 호텔에서 한 아이가 지미에게 이렇게 말한다.

"나 당신이 출연한 영화를 봤어요. 14살 된 아이가 있는 아버지였는데, 14년만에 만난 아이에게 이렇게 말하죠. 나는 준비가 안 되어 있었어. 이 영화를 보고 난 인생에서 중요한 깨달음을 얻었어요. 누구도 준비된 사람은 없다."

- 이 이야기를 듣고 지미는 히틀러를 연기한다. 호텔에서.

 

- 다른 하나는 믹 보일이 연기한 하비 케이틀.

- 하비가 준비하던 영화가 엎어지고, 자살을 하였을 때. 브렌다 모렐(제인 폰다 역)이 비행기 안에서 미안하다며 오열하는 장면.

 

이미 지칠대로 지쳐 마음이 늙었던 젊은 사람이 다시 도약하려는 모습과, 몸의 늙음과는 상관없이 마음과 정신이 창창한 젊음이었던 늙은 사람이 젊음의 상실을 깨닫고 자살을 선택한 것이 대비된다고 생각한다.

 

늙는다는 것은 언제나 상대적인 것이다.

- 우리에게 희망과 꿈이 있다면, 언제나 새로운 것이 있다면 몸의 늙음과 상관없이 살아갈 수 있다.

- 그래도 몸의 늙음으로 눈이 나빠지고 몸이 틀어지는 것 까지 거부하면 안 되겠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2016년 1월 5일, 사진철학스터디의 2016년 첫 번째 스터디가 시작되었다.

 

내용은 사진역사의 이해, 5-8장 발제.

 

스터디는 시작도 안 했는데 난장판이 책상은 원래 그럴려니 하고 봐주시도록.

 

장소는 토즈 종로점.

 

- 사진의 역사에서 빠질 수 없는 사람은 역시 돈이 많은 아마추어였다.

 

다음 스터디는 2월에 만나기로 하였다.

 

- 매번 스터디 준비를 열심히 하는 스터디원에게 박수를 보내며, 책 읽자고 하고 매번 빠지는 ㅂyh은 다음 번에 봅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수레바퀴 아래서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0
헤르만 헤세 지음, 김이섭 옮김 / 민음사 / 200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는 모두 수레바퀴 아래에 깔려있다. 단지 그 밑에서 나오려는 사람과 포기해버린 사람이 있을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라이언의 왕녀 신일숙 환상전집
신일숙 지음 / 학산문화사(만화) / 2009년 3월
평점 :
절판


오랜만에 옛날 그림체로 만나는 순정만화라 반가운 마음이지만, 그 때의 시대상황에서 운명적 사랑이나 믿음 같은 것을 없었을거라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수레바퀴 아래서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50
헤르만 헤세 지음, 김이섭 옮김 / 민음사 / 2001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만에 헤르만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를 읽었다.

- 고등학교 때, 나는 데미안보다 수레바퀴 아래서를 더 많이 읽었다.

 

고등학교 졸업 이후, 거의 읽지 않았던 책을 다시 읽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잘 모르겠다.

 

다만 요즘 고등학생 때 읽었던 책을 하나하나 다시 읽고 있다. 대지, 이반데니소비치의 하루, 파리대왕, 뿌리, 그리고 다른 책도

 

헤르만 헤세의 수레바퀴 아래서를 다시 읽으면서, 한스 기벤라트처럼 공부에 열심히지도 않으면서 지치기만 해서 넋이 나간 내 모습이 보였다.

 

공부를 열심히 하는 '한스 기벤라트'도 아니고 자유를 쫓아간 '하일너'도 아닌 애매모호한 중간. 그런데도 넋이 나가버린 나.

 

신학 교장은 자신도 수레바퀴 아래서 깔려있다는 것을 모르고 '수레바퀴 아래에 깔리지 않도록 아주 지쳐버려서는 안 된다.'라고 이야기하지만, 이미 수레바퀴 아래에 깔려 있다는 것을 알고서도 빠져 나올 힘이 없어서 그 밑에 숨죽이고 있는 나는 어떤가?

 

수레바퀴 아래 있다는 것은 이미 지친 삶을 산다는 것이고, 꿈도 희망도 없다는 것이지만 그것을 알면서도 넋을 놓고 있는 사람이 어떻게 살아야 할까?

 

'하일너'처럼 뛰쳐나갈수도, '한스 기벤라트'처럼 죽을 수도 없는 상황에서.

 

- 나 뿐만이 아니라, 우리 사회 모두가 수레바퀴 아래에 깔려있는가?

- 우리가 모두 수레바퀴 아래에 있다면 앞으로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

 

- 나는 '한스'도 '하일너'도 아니다. 다만 내가 되는 방법을 찾기 위해 바퀴 아래서 웅크리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