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를 보고 놀라지 마시라>를 읽고 리뷰를 남겨 주세요
나를 보고 놀라지 마시라
케빈 마이클 코널리 지음, 황경신 옮김 / 달 / 2010년 6월
평점 :
절판


'누가 나를 들어 올려주지 않으면, 무슨 수로 계산대에 손을 뻗을 수 있지? 누가 나를 옮겨주지 않으면, 무슨 수로 25센티미터 높이의 눈이 쌓인 주차장을 지나갈 수 있지?'  케빈은 다리가 없이 태어난 아이다. 그의 탄생에 대한 이야기를 읽으며 뭉쿨했다. 두 할아버지가 나누는 이야기, 손자의 다리가 없음을 목마를 태웠을때 잡을 곳이 없다는 이야기에 가슴이 먹먹했다. 아기가 다리 없이 태어남에도 그 모든것을 '선물' 처럼 받아 들이고 장애아라기 보다는 장애를 어떻게 하면 '극복' 하며 살아갈지를 가르친 엄마와 그런 케빈을 위해 맥가이버가 되어야 했던 노동자 아버지의 이야기는 같은 부모로 많은 생각을 가지게 했다.

자신의 이상한 모습을 남들이 의식하는 것을 담은 사진으로 장식한 책 표지를 보면 이런 내용이 있을까 하지만 속을 들여다보면 가슴 아프지만 그의 장애를 극복하는 이야기를 읽고 나면 과연 정상인 나는 그보다 나을것이 무엇이 있을까? 하는 생각을 갖게 한다. 산다는것은 장애보다는 '실행' 이 더 중요한것 같다. 자신의 장애를 극복하기 위하여 자신에게 맞는 운동이 무엇이 있을까 하며 아버지와 함께 찾는 케빈의 '도전' 이 맘 아프면서도 대단하다는 것을 느꼈다. 레슬링이나 그외 운동은 그가 다리가 없기에 남보다는 뒤쳐질 수 있었지만 '스키' 는 그가 누구에게도 뒤쳐지지 않고 잘 할 수 있는 운동이었던 것. 그를 가르쳐줄 강사 또한 너무도 인간적이고 그를 장애인으로 보기 보다는 스키를 배우고자 하는 학생으로 간주하여 좀더 그에게 맞는 장비를 갖추어주기 위하여 노력하는 벅, 이나 그외 사람들 또한 편견없이 케빈을 대한 것이 오늘날의 그를 만들 수 있었던 것 같다. X게임에서 2위에 오른것이며 남들과 다르기에 자신의 발이 되어줄 '스케이트보드' 를 몸처럼 여겨 자신의 이름과 주소 스케이트보드를 타게 된 사연등을 적어 놓음으로 해서 도난을 방지하고 그 스케이크보드를 타고 세계여행을 즐기는 대단한 사진작가이며 도전적인 케빈, 그의 손에 박힌 굳은 살 사진이 너무도 가슴을 아프게 한다.

'다음 날 아침, 나는 보드를 타고 전날과 같은 루트를 통해 도시로 들어갔다. 하지만 이번에 내가 실제로 찾고 있었던 건, 나를 지나치면서 어쩔 수 없이 시선을 던지게 될 사람들과 얼굴들이었다.' 어디를 가나 주목을 받는 그의 모습, 혹은 돈을 주기도 하고 먹을 것을 주기도 하고 지하철 계단을 내려갈땐 들어서 옮겨 주기도 하고 그를 바라보는 시선은 경찰이나 아이나 할아버지나 사제나 모두가 첫눈에 '놀라움' 을 표시한다. 처음엔 그 시선이 이상하게 여겨졌지만 자신을 바라보는 시선을 담아 보려 여행을 계획하고 여행을 하면서 자신을 찾아가는 케빈, 우리보다 다리를 갖지 못했지만 다리보다 더 많은 것을 가진 용감한 청년인듯 하다.  '지금까지 누군가의 시선을 받는다는 것은 끔찍한 괴로움이었고, 나는 어설픈 미소를 띠며 그것을 참아내야 했다. 드디어 나는 그들의 시선을 이용하는 나만의 방법을 찾아낼 수 있었고 그건 기분 좋은 일이었다.'

'죽기 살기로 하고 있냐?' 
당신은 죽기 살기로 살고 있습니까? 라는 질문을 받는다면 글쎄, 난 지금 죽기 살기로 살고 있을까? 어제 죽어간 이가 그토록 희망하던 오늘을 난 죽기 살기로 살고 있을까. 그건 아닐 것이다. 그에게 하루는 정말 대단한 것 같다. 남과 다른 시선으로 남과 다른 시선을 받으며 남보다 더한 노력을 기울여야 할 수 있는 일들을 척척 해 내는 그를 보며 '희망' 이란 노력하는 자의 것이란 것을 새삼 느껴본다. 무엇이든 피나는 노력을 한다면 이루지 못할 것이 없다. 그가 X게임의 선수로 그리고 다리가 없는데도 불구하고 보드를 타고 세계여행을 하듯 '안될거야' 보다는 ' 할 수 있다' 라는 '희망' 을 가지게 하는 그의 이야기에는 좌절보다는 위기를 딛고 일어서는 단단한 청년의 노력과 꿈이 담겨 있어 더 가슴 뭉클하다. 남의 시선쯤이야 살아가는데 짐이 될 수 없음을, 그 또한 자신의 삶에 밑거름이 될 수 있음을 '사진' 으로 카타르시스를 준 케빈의 이야기를 읽고 '삶의 희망' 을 충전해 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