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삼개주막 기담회 ㅣ 케이팩션
오윤희 지음 / 고즈넉이엔티 / 2021년 5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몇 년 전에 미야베 미유키의 역사 소설 『외딴 집』을 재미있게 읽었고, 최근에는 중국 작가 마보융의 삼국지 2차 창작 소설 『풍기농서』와 박서련의 삼국지 재해석 『폐월 초선전』을 읽었다. 그러고 나니 한국 작가가 한국 역사로 쓴 소설이 읽고 싶어져 이 책을 선택했다. 조선 후기(박지원과 이덕무가 등장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그들이 활동했던 영조, 정조 재위기로 짐작된다) 마포나루 근처에 있던 '삼개주막'이라는 가상의 주막을 배경으로 한 소설이다. 이 주막에 찾아오는 손님들이 들려주는 기이한 이야기들이 이 책을 구성하고 있다.
궁금했던 건 이야기의 재미와 디테일이었는데, 이야기는 딱 어린 시절에 봤던 <전설의 고향>만큼 재미있었다. <첩의 환생>은 계모의 손에 죽은 아이가 계모의 친자식으로 환생했다는 괴담("엄마, 또 나 밀 거야?")의 조선 버전이구나 싶었고, <열녀>는 <전설의 고향>에서 많이 보던 이야기였다. 열녀문 때문에 시댁 식구들에게 살해당하고 자살로 위장된 과부 혼령의 복수 이야기. <옹기장의 꿈>은 무섭지는 않지만 우리 옛이야기 특유의 정이 느껴지는 이야기고, <그림 그려주는 노인>은 이룰 수 없는 사랑을 놓지 못하다 파멸하는 주인공의 모습이 안타까웠다. <유괴된 아이>는 실제로 조선 시대에 기록된 일화를 바탕으로 해서인지 이야기가 가장 탄탄하고 섬뜩하면서도 가슴 먹먹해지게 했다. 특히 동굴에 갇힌 아이가 죽어가면서 부모가 자신을 구하러 오는 모습을 환상으로 보면서 행복해하는 장면이 기억에 남는다. <과거 보러 가는 길>은 평화로워 보이는 장면들에서도 불길한 단서들이 조금씩 엿보이다 경악스러운 진상이 드러나기까지의 과정이 꽤 탄탄했지만, 마지막 반전이 좀 억지스럽게 느껴졌다. 전반적으로는 <전설의 고향>의 여러 에피소드들을 글로 읽은 느낌이다. 이야기의 구조가 아주 치밀하거나 참신한 것은 아니지만, 재미있게 읽을 수는 있을 정도.
시대상의 디테일은 작가가 신경 쓴 것이 보인다. 그 시대의 문물을 자연스럽게 이야기에 넣으려고 한 것이 보이고, 그중 독자들에게 낯선 것들은 부연 설명한다. 하지만 미야베 미유키 역사 소설의 압도적인 디테일에 비하면 그렇게 세밀하지는 않고, 마보융처럼 주막 안의 훈훈한 온기와 국 냄새까지 느껴질 정도로 그 시대의 분위기를 생생하게 포착하는 것은 아니다. 딱 이야기의 밀도만큼의 디테일이다. 그리고 '그녀'라는 호칭 등 조선 후기에 쓸 법하지 않은 말이 튀어나오거나, 뒷간이 따로 떨어져 있지 않고 잠자는 방과 같은 건물에 있는 등 시대에 맞지 않는 표현이나 묘사가 나와 몰입이 깨질 때가 있었다. 그러니 독자들의 허를 찌르는 기발한 이야기나 미칠 듯한 디테일을 기대했다면 아쉽겠지만, 쉬면서 가볍게 읽기에 좋다.
P. S. <과거 보러 가는 길>에서 주인공 세진이 사실 지박령 일가의 막내 아들이었다는 반전은 억지스럽다. 지박령 일가 중에서 적어도 아버지는 세진이 자기 아들인 것을 알고 있을 텐데, 아버지라면 자기 자식이 원수의 자식이 되었더라도 진실을 모르고 평안하고 행복하게 살아가길 바랐을 것이다. 그것도 세진이 자기 의지로 가족들을 배신하고 원수의 자식이 되어 호의호식한 게 아니라, 어린 나이에 자기 의지와 상관없이 원수의 양자가 된 게 아닌가. 가족이라면 자식이, 막내 동생이 지박령이 돼서 그 외딴 집에 갇혀 있는 것보다는 부유하고 안락하게 평생을 보내길 바라지 않을까? 이것은 반전을 위한 반전이라고만 느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