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아파트먼트
테디 웨인 지음, 서제인 옮김 / 엘리 / 2021년 10월
평점 :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나를 온전히 이해하는 사람이 있다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동성이든 이성이든, 친구든 연인이든. 부모님조차 나를 100퍼센트 이해하진 못 하시니 100퍼센트야 불가능하겠지만, 90퍼센트까지라도. 문학이든 영화든 미술이든 같은 분야를 사랑하고 그것에 대해 함께 심도 있는 토론을 할 수 있는 사람. 어떤 얘기든 털어놓을 수 있고 서로 마음 깊이 공감할 수 있는 사람. 하지만 나와 생각과 감정의 결이 가장 비슷하다고 생각했던 친구에게서도 때때로 낯설고 이질적인 모습을 보면서, 그런 바람조차 너무 헛된 환상이 아니었나 생각하게 된다. 미국의 작가 테디 웨인의 소설 『아파트먼트』는 그런 환상이 산산이 부서지는 과정을 냉정하게 그려내고 있다.
주인공 '나'는 뉴욕의 컬럼비아 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에서 문예 창작을 공부하는 작가 지망생이다. 그는 첫 합평 때 교수와 동료 학생들에게 혹독한 비평을 듣는다. 가차 없는 비판에 상처를 크게 받았던 그는 혼자 자기 작품을 지지해 준 동급생 빌리에게 호감을 느끼고, 그와 점점 가까워진다. 빌리는 누가 봐도 천재적인 재능을 지니고 있지만 바텐더로 일하는 술집 창고에서 숙식을 해결해야 할 정도로 가난하다. 반면 '나'는 대고모의 이름으로 된 넓고 쾌적한 아파트에서 지내고 있고, 아버지가 학비를 대고 있어 돈 걱정할 일이 없다. '나'는 빌리에게 집 청소를 해주는 대신 자신과 함께 살자고 제안하고 빌리는 그 제안을 받아들이면서 둘의 이야기가 본격적으로 펼쳐진다.
'나'는 헤밍웨이와 피츠제럴드처럼 서로 경쟁하면서도 좋은 영향을 미쳐 서로가 발전해 가는 데 도움이 되는, 이상적인 친구 관계를 꿈꾸었다. '나'는 문학적 재능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생활력도 강하고 사람을 끌어당기는 매력을 지닌 빌리에게 매료된다. 빌리도 '나' 덕분에 경제적 문제에서 좀 더 자유로워져 작품 활동에 집중할 수 있게 된다. 마냥 유쾌하고 생산적으로 발전해 갈 줄 알았던 두 사람의 관계는 조금씩 금이 가기 시작한다.
관계는 내가 생각했던 상대의 모습이 사실은 환상에 지나지 않았다는 것을 깨달으면서 변질되기 시작한다. '나'는 빌리가 보수 세력을 지지하고 국가의 복지 정책을 '국민들의 자립심을 빼앗아가는 지나친 간섭'으로 보며 동성애를 혐오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자신과 생각이 다른 사람을 이해하려는 마음은 아예 없고 오만하다는 것도. 거기에 내가 갖지 못한 점을 상대가 갖고 있다는 데서 나오는 열등감이 관계를 갉아먹는다. '나'는 경제적으로만 우위를 지니고 있을 뿐 문학적 재능이나 남성적인 매력, 인간 관계 등 모든 면에서 빌리보다 뒤처진다고 스스스로 느낀다. 게다가 그 경제적 우위조차 대고모와 아버지의 경제력에 의존해서 얻은 것일 뿐 자신의 능력으로 얻은 것이 아니다. 거기에 돈 문제까지. 한쪽이 무조건적으로 경제적 지원을 해주는 관계에서는 주는 쪽이나 받는 쪽이나 망가지고 서로 감정을 상하게 되기 십상이다. 빌리가 돈 걱정 없이 창작에 몰두할 수 있게 된 것을 순수하게 기뻐하던 '나'는, 이제 빌리가 자신에게 아무렇지도 않게 손을 벌린다고 느낀다. 빌리가 '나'의 아파트에서 처음 청소를 하고 나서 하얗게 빛나던 욕실은 빌리가 점점 청소조차 소홀히 하면서 빌리가 오기 전처럼 물때가 끼어 누렇게 변한다. 그 욕실처럼 두 사람의 관계는 변질되다 파국으로 치닫는다.
빌리를 잃고 나서 '나'는 생각한다. 빌리를 자기 아파트로 들이지 말고 딱 동료 학생 정도로 대했어야 했다고. 그랬다면 빌리를 잃지 않고 그로 인해 상처받지도 않았을 텐데. 그러는 '나'의 모습과 내 세상의 전부처럼 느꼈던 소중한 관계를 잃은 나의 모습을 겹쳐 보았다. 『아파트먼트』의 '나'와 현실의 나는 '온전한 나만의 사람'을 꿈꾸었다 너무 상대에게 가까이 갔고, 상대가 내가 생각했던 모습과 다르고 어떤 면은 결코 이해되지도 용납되지도 않으며 그걸 내가 없앨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됐다. 『아파트먼트』의 '나'의 다른 교우 관계는 자세히 나오지 않지만, 내 경우에는 적당한 거리를 두고 있는 관계들이 지금까지도 살아남았다. 때로는 더 가까이 다가가고 싶지만 지금의 거리를 유지하고 있어 이 관계들이 유지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다. 그 관계들 속에도 언제든 깨질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니 사람 사이의 관계란 이렇게 지키기가 어렵다.
'나'는 그 이후 그저 빌리의 소식을 가끔씩 들을 뿐이다. 그 이후로도 '나'와 빌리는 다시는 만나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아직 여기 있어."라는 그의 마지막 말처럼 그와 그의 삶은 아직 남아 계속되고 있다. 자신이 자기 글을 쓰는 것보다 남의 글을 다듬는 것에 재능이 있다는 것(묘하게 이 점이 나와 비슷하다)을 인정하면서 작가라는 꿈과도 멀어졌고, 우정도 떠나가고 상처만 남았지만. 나는 소설 속의 '나'처럼 관계가 끊어진 사람들의 소식을 가끔 들으며 그저 그 시절에 우리가 나누었던 좋았던 것들에 감사한다. 그리고 내가 그때 저질렀던 시행착오들을 생각하며 다음 관계에서는 좀 더 나아지려 애쓴다. 그 시행착오들에서 배운 게 있었고 조금이라도 더 자랐을 것이며 다음 관계에서는 좀 더 나을 것이다. 그래서 결말은 씁쓸하지만 이야기에서 빠져나오고 나서는 왠지 후련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