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집단학살 일기 - 가자에서 보낸 85일
아테프 아부 사이프 지음, 백소하 옮김, 팔레스타인평화연대 감수 / 두번째테제 / 2024년 6월
평점 :
대학교 1학년 때 팔레스타인 서안 지구에 속한 성지들(동예루살렘, 베들레헴)에 다녀오면서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살아가는 모습을 보게 되었다. 그때 이후로 지금까지 팔레스타인 문제에 대해 늘 관심을 가지고 있었다. 그러다 작년 부산국제영화제에서 <개와 사람에 관하여>라는 이스라엘 영화를 보고 분노했다. 2023년 하마스의 공격으로 어머니와 반려견을 잃은 이스라엘 소녀의 이야기를 그린 영화인데, 마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이 동등한 입장에서 서로 공격을 주고받은 것처럼 그리고 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이스라엘의 무차별적인 가자 지구 공습으로 수만 명의 민간인이 희생당했고 그중 상당수가 어린이였다. 이스라엘은 지금도 병원 시설과 식량을 배급받으러 온 사람들에게까지 공격을 퍼붓고 있다. 유엔 산하의 특별위원회는 이러한 이스라엘의 가자 지구 공격이 집단 학살과 그 특징이 일치한다고 보고했다. 그렇다. 이것은 전쟁이 아니다. 집단 학살이다. 『집단 학살 일기』는 지금도 계속되는 이 학살의 시간 중 첫 85일의 기록이다.
저자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문화부 장관이다. 지금은 아내, 자녀들과 함께 서안 지구에서 살고 있지만 고향은 가자 지구이고 부모, 형제, 친척들의 대다수는 거기서 살고 있다. 국제 문화유산의 날 행사 때문에 아들과 함께 가자 지구를 방문했다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이 터지는 바람에 발이 묶였다. 그날부터 이집트로 탈출하기까지 85일 동안, 그는 매일매일 생존을 보장받을 수 없는 위태로운 날들을 보냈다. 그런 상황에서도 그는 매일 일기를 쓰고 인터넷이 될 때마다 자신의 일기를 세상에 내보냈다. 그의 일기는 『워싱턴 포스트』, 『뉴욕 타임스』, 『가디언』, 『르몽드』 등의 세계 주요 언론에 게재되었고, 단행본으로 정리되어 세계 여러 나라에서 출간되었다. 그래서 한국어로도 이 책을 읽을 수 있게 된 것이다(아쉽게도 한국어판은 아랍어 원서를 직역한 것이 아니라 영어판을 중역한 것으로 보인다).
2023년 10월부터 가자 지구에서 새로운 아침을 맞았다면, 그것은 전날 밤을 무사히 넘기고 살아남았다는 뜻이었다. 매일 밤 쏟아지는 폭격을 맞고 다시는 깨어나지 못하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고, 그중 하나가 자신이 될 수 있으니까. 저자가 85일 동안 살아남아 탈출할 수 있었던 것도 순전히 운이었다. 오늘 밤 자고 가라는 친구의 초대를 거절했는데, 그날 밤 친구네 집에 폭격이 떨어져 친구네 가족이 몰살당하고, 방금 전에 만난 사람과 이야기를 나누다 자리를 떴는데 그 자리에 폭탄이 떨어진다. 자고 일어나면 내 가족이나 친척, 친구 중 누군가가 죽었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이런 상황에서 자신이 보고 듣고 겪었던 것들을 차분히 기록한다는 것이 놀라울 따름이다. 폭격을 맞은 집의 잔해들을 다른 사람들과 함께 치우고 산산조각 난 시신들을 수습하는 일도 집안 대청소를 했던 것처럼 담담하게 이야기하고 있다. 그러면서 바깥세상의 누구도 가자 지구에 관심을 가지지 않고, 이스라엘은 남쪽으로, 남쪽으로 가자 지구 사람들을 몰아내면서 정작 남쪽으로 간 사람들에게까지 폭격을 퍼붓는 현실에 분노한다. 그러나 그 분노는 맹렬하게 타오르는 것이 아니다. 어떻게 해서든 살아남아 이 현실을 세상에 전하겠다는 사람의 굳은 심지를 불씨 삼아 조용히 타오르는 것이다.
저자는 그렇게 아무런 희망도 없는 상황에서도 일상을 살아가는 가자 사람들의 모습도 잊지 않고 보여준다. 아이들은 난민촌의 천막 사이에서 뛰어놀고, 다시 학교에 갈 수 있을 거란 보장이 없어도 숙제를 한다. 젊은 엄마는 학교에 갈 수 없게 된 아이에게 직접 글자를 가르쳐준다. 식량이든 물이든 몇 시간씩 줄을 서서 기다려야 하고, 그것도 자기가 받기 전에 다 떨어질 수 있다. 게다가 식량이나 물을 받으러 갔다가 이스라엘의 공습이나 총격으로 죽을 수도 있다. 그럼에도 이들은 묵묵히 일상을 살아간다. 이스라엘은 지금도 가자 지구에서도 서안 지구에서도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다 비워내려는 기세로 그들을 죽이고 내쫓아 내고 있으니, 그렇게 가자 지구에 남아 하루하루를 살아가는 것이 팔레스타인 사람들의 저항일 것이다.
하루라도 조용하고 평온하게 보내고 싶어 휴전을 애타게 기다리는 사람들을 보면서, 저자는 '우리는 늘 휴전 속에 살고 있었다'고 말한다. 팔레스타인은 늘 전쟁 속에서, 또는 전쟁과 전쟁 사이에서 살아 왔으니까. 그러다 문득 우리도 늘 휴전 속에서 살고 있다는 것을 떠올렸다. 지금 팔레스타인 사람들이 하루만 더, 하루만 더 하고 바라는 휴전이 우리 땅에서는 72년이나 계속되었다. 사실상 종전이라고 할 만큼 긴 시간이었고, 우리는 그동안 전쟁으로 파괴된 것들을 복구하고 전쟁 이전보다도 더 잘사는 선진국으로 발전할 수 있었다. 팔레스타인 사람들에게도 다시 회복할 시간이 필요하다. 몇 년 전의 전쟁으로 파괴된 집을 다시 지었는데 이번 전쟁으로 다시 파괴되어 버려, 사람들은 천막에서 살아간다. 집부터 상하수도, 도로, 가게까지 일상을 지탱해 주는 것들은 복구될 사이도 없이 파괴되는 것이다. 이 책의 저작권 수익은 모두 팔레스타인 지원 단체 세 곳에 기부된다니, 이 책을 읽는 것이 그들이 다시 삶을 회복할 기회를 하루라도 더 빨리 얻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
P. S. 1. 이 책이 '편향된 책'이라며 별점 테러를 하는 사람을 봤는데 이해하기 어렵다. 하마스가 이스라엘을 공격한 것은 사실이지만 이스라엘은 그 공격의 수백, 수천, 수만 배의 강도로 팔레스타인을 공격하고 있다. 아무 무기도 없는 민간인들, 미래 세대의 어린이들을 수만 명 죽이고 병원이나 피난 시설까지 공습하고 사람들에게 꼭 필요한 지원 물자들까지 차단하고 있으니, 팔레스타인 사람들을 말살할 기세다. 국제 사회가 아무리 비난해도 귓등으로도 듣지 않고, 가자 지구의 상황을 보도하려는 언론인들까지 죽이고 있다. 유대인들은 지금까지도 예수를 메시아라고 생각하지도 않는데 '약속의 민족'이라는 이유만으로 그렇게 편을 들 필요가 있나?
P. S. 2. 한국어판이 나와 한국인들에게도 가자 지구의 현실을 알린다는 취지가 좋고, 책의 수익을 팔레스타인 지원 단체에 기부하는 것도 좋다. 팔레스타인의 상황을 각주로 꼼꼼하게 보충 설명해 주어 지금 팔레스타인의 현실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아쉬운 것은 괄호 안의 설명은 어떤 것이 저자의 설명이고 어떤 것이 번역자나 편집자의 설명인지 구분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그리고 매끄럽게 읽히지 않는 문장들이 중간중간에 있지 않고, 특히 친족 관계에 있어서 제대로 교열되지 않은 부분들이 보인다. 그런 부분들을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후다'는 장인어른이 자기 어머니의 이름을 큰딸에게 붙여준 이름이라고 했으니(96페이지), 후다는 첫째 딸이고 그러므로 아내의 동생이 아니라 언니다. 그런데도 책에서는 후다를 계속 저자의 '처제'라고 한다. 아내의 언니니 '처형'이 맞다.
-127페이지에서 처형 후다의 남편 하템을 '매부'라고 하는데, 하템은 처형의 남편이므로 '(손윗)동서'가 맞다.
-142페이지에서 여동생 에이샤의 남편 마헤르를 '제부'라고 하는데, 제부는 언니가 동생의 남편을 가리키는 말이다. 그 이후로는 '매부'라고 맞게 표기하고 있다.
-아버지의 이모 누르를 '고모할머니'라고 하는데 아버지의 이모는 '진이모'나 '이모할머니'로 부르는 게 맞다.
-바로 다음 페이지(470페이지)에서 친구 아흐마드가 4형제 중 막내라고 하는데, 앞 페이지에서 그의 형제 모함메드를 '동생'으로 번역했다.
-470페이지에서 샤우키라는 사람이 '여'동생 에이샤의 '장인'이라고 하는데 '시아버지'가 맞다. 그 이후로는 '시아버지'라고 맞게 표기하지만.
-470페이지에서 작가가 친구인 아흐마드에게 존댓말을 하는 것으로 번역되었다. 바로 앞 페이지에서 저자와 아흐마드가 또래의 소꿉친구였다고 나오는데. 아흐마드의 형인 샤우키와의 대화로 봤을 수도 있지만, 형제 중 유일하게 고향을 떠나려 하지 않는 사람은 아흐마드라고 바로 그 페이지에서 설명하고 있다. 그러니 이곳(가자 지구)을 떠나고 싶지 않느냐고 묻는 저자에게 여기는 아직 안전하다고 말하는 사람은 저자 또래의 친구인 막내 아흐마드다.
-478페이지에서 누르 '고모할머니(이것도 '이모할머니'가 맞다)의 아들 아흐메드 '삼촌'이라고 하는데, 아버지의 이모의 아들이면 아버지의 이종사촌, 그러니 오촌이므로 아흐메드 '당숙'이나 '아저씨'가 맞다. 요즘 한국 사람들은 일상에서 당숙도 그냥 '삼촌'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다고 하지만 정확히 하자면.
좋은 취지로 만들어진 책이니 교열을 좀 더 꼼꼼히 했다면 더 좋았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