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안의 나쁜 여자
권오숙 외 지음 / 이화여자대학교출판문화원 / 202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도서관에서 책을 고르다 자신이 당한 성폭력을 폭로한 여성에 관한 책을 발견했다. 그 여성이 세상의 온갖 비난을 견뎌내면서 목소리를 내는 모습을 그린 책인 줄 알았는데, 그 여성의 주장이 이러이러한 점에서 논리에 맞지 않으니 거짓임이 분명하다고 단정하는 책이었다. 이 책뿐 아니라 익명의 대중들은 미투 운동에 참여하는 여성들이 먼저 유혹했으면서 남성을 성폭력 가해자로 몰아가는 나쁜 여자라며 2차 가해를 가한다. 이런 '나쁜 여자' 이미지의 역사는 최초의 여성 이브로 거슬러 올라갈 만큼 오래되었을 뿐만 아니라, 동서양을 가리지 않고 세계 모든 지역에 뿌리내려 있다. 이 책은 고대의 신화부터 현대의 문화 콘텐츠까지 다양한 매체에 나타난 나쁜 여자들의 모습을 살펴보고, 그러한 나쁜 여자 이미지가 어떻게 탄생하게 됐는지, 어떻게 그 시대의 남성 중심 가치관을 반영하고 있는지 분석한다. 그런 다음 현대의 콘텐츠들 속 나쁜 여자들을 통해 현대의 나쁜 여자들이 어떻게 이런 낡은 여성관의 대안이 될 수 있는지를 이야기한다.

이 책은 고대의 신화부터 현대의 영화, 웹툰까지 종적으로, 한 시대 안의 다양한 상황과 작품을 살펴보며 횡적으로 수천 년에 걸친 나쁜 여자 이미지를 살펴보고 있다. 열한 명의 학자들이 주제 하나씩을 맡아 소논문을 하나씩 썼다. 소논문의 형식이지만 일반 독자들이 이해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목표이기 때문에, 청소년들이나 일반 성인 독자들이나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 썼다. 2022년에 출간된 책이라 최근의 작품들도 분석하거나 예시로 들고 있고 최근의 상황도 이야기하고 있어 독자들에게 더 친숙하게 느껴질 것이다(이것은 시간에 따라 약해질 수밖에 없는 장점이지만, 출간된 시점의 사회와 문화를 반영하고 기록한다고 달리 생각해 봐도 좋을 것이다).

책에 실린 열한 편의 논문을 관통하는 생각은 '나쁜 여자' 이미지에 남성들의 두려움이 투사되어 있다는 것이다. 자신이 직접 낳았기에 자기 자식임이 확실한 여성과 달리, 남성은 여성을 성적으로 통제해야 여성이 낳은 자식이 자기 자신임을 확신할 수 있다. 그렇기에 강한 생식력을 지닌 고대 여신들은 남편을 배신하는 음탕한 악녀로 전락했다. 선한 신의 이름으로 싸워 이겨야 할 구체적인 대상이 있어야 기득권을 유지할 수 있던 기독교 성직자들은 힘없고 약한 여성들을 마녀로 몰아 고문하고 처형했다. 고전 소설에서 가부장제의 근본적인 모순은 해결되지 않은 채 <장화홍련전>의 계모 허씨, <사씨남정기>의 교채란, <심청전>의 뺑덕 어멈처럼 외부에서 들어온 여성들, 가부장제의 규범을 지키지 않은 여성들에게 모든 문제의 책임이 전가된다. 페미니즘 운동이 시작된 지 50여 년이 지난 지금도 '나쁜 여자'가 모든 문제의 원인이고 자신들이 누리던 것들을 빼앗아 갈 것이라는 두려움은 계속되고 있고, 그 실체 없는 두려움이 문화 콘텐츠들에도 반영되어 여성들을 억압하고 있다.

이런 두려움이 만들어낸 가부장제의 장벽은 여전히 허물 수 없는 것일까? 이 책의 저자들은 시간이 지나면서 남자들의 두려움과 욕망을 반영한 납작한 평면이었던 나쁜 여자 캐릭터들이, 자기 서사를 갖게 되고 점차 자기 목소리를 내며 자신이 처한 상황을 돌파해 가는 데서 희망을 본다. 여전히 가부장제와 남성 중심적 가치관은 공고하고, 최근에 만들어져 더 진전된 여성관을 반영하거나 여성들이 직접 만든 나쁜 여자 캐릭터들도 이 시대의 한계를 넘지 못하곤 한다. 가부장제를 일거에 허물 수는 없지만 조금씩 앞으로 나아가고 있음을 저자들은 보여준다.

남성뿐 아니라 여성 스스로도 자신과 다른 여성을 검열하고 억압하게 하는 나쁜 여자 이미지를 고찰하고, 그것을 떨쳐냄으로써 남성과 여성 모두의 건전한 판단과 여성 스스로의 긍정적 자아의식을 이끌어 낸다는 취지는 긍정적이다. 그리고 그 취지를 풍부한 예시와 명쾌한 설명, 거침없는 비판이 뒷받침해 준다. 하지만 눈에 잘 띄지 않는 표지 디자인과 화질이 떨어지는 흑백 도판이 아쉽다. 인터넷 서점의 판매 지수나 책 제목으로 검색한 결과를 봐도 일반 독자들에게 그렇게 많이 알려진 책은 아닌 것 같다. 표지 디자인을 좀 더 눈에 띄는 것으로, 흑백 도판을 컬러 도판으로 교체하고 더 홍보하면 더 많은 독자들에게 읽힐 수 있지 않을까. 이 책이 연구자뿐 아니라 일반 독자들에게도 읽히고 우리 젊은이들에게 희망을 주었으면 한다고 대표 저자가 말했는데, 그 바람대로 더 많은 독자들에게 읽혔으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