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들의 여행 - 들뢰즈 철학으로 읽는 헬레니즘
김숙경 지음 / 그린비 / 2023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학원에서 미술사를 공부할 때 프랜시스 베이컨이라는 영국 화가와 프랑스 철학자 질 들뢰즈의 철학 이론을 접목해 과제를 작성했었다. 내 과제 발표를 보고 나서 교수님은 ‘너 이거 이해 못 했구나’라고 말씀하셨다. 교수님 말씀대로 나는 전혀 이해하지 못한 내용을 짜깁기했을 뿐이었고, 결국 주제를 바꿔서 과제를 다시 작성해야 했다. 그 이후로는 들뢰즈라면 겁을 먹게 되었다. 그런데 이 책은 들뢰즈의 이론으로 헬레니즘 미술과 실크로드 미술을 바라본다고 한다. 그래도 미술사는 내 전공이고 고대 문명도 내가 좋아하는 분야니, 그 둘을 당의정으로 삼는다면 들뢰즈라는 쓴 약도 소화해 낼 수 있지 않을까. 그런 마음으로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머리말에서 저자는 1부에서 알렉산드로스 대왕의 동방 원정로와 실크로드를 따라 동쪽으로 유입된 그리스 신들의 변신을 살펴보고, 2부에서는 1부의 내용을 들뢰즈 철학의 관점으로 다시 읽는다고 했다. 그럼 적어도 1부는 이해할 수 있겠다 싶었다. 그래도 돌다리도 두들겨 보고 건너랬으니, 한 문단, 한 페이지를 읽을 때마다 ‘그래, 이건 이해했어’라고 마음속으로 확인한 뒤 다음 문단, 다음 페이지로 넘어갔다.

다행히 1부의 내용은 무난히 이해할 수 있었다. 저자가 이 책을 통해 말하려는 본론은 2부지만 사실 1부가 이 책의 3분의 2를 차지하니, 3분의 2는 일단 확보했다. 1부는 기원전 4세기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동방 원정을 시작할 때부터 한중일 3국에 불교가 전해질 때까지, 그리스 신들이 헬레니즘 미술과 실크로드 미술, 둘에 영향을 받은 유라시아 각 나라의 미술 속에서 어떻게 변화했는지 정리한 것이다. 중고등학교 교과서처럼 당시 역사와 문화의 흐름을 간결하면서도 명쾌하게 설명하고,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그리스 신들의 원형과 헬레니즘, 실크로드, 유라시아 각 지역에서 변형된 모습을 나란히 배치했다(도판의 화질이 떨어지고 도판 설명도 글씨가 너무 작은 것은 아쉽지만). 그런 데다 그리스의 어떤 신은 부처를 호위하는 부하로 전락했고, 어떤 신은 날개가 있어 천산산맥 너머 동쪽으로 멀리 날아갔다는 식으로 의인화하니 설명하는 내용이 더 친근하게 다가온다.

사실 중요한 건 2부인데 들뢰즈 이야기는 2부에서 본격적으로 시작되니 1부보다 더 주의를 기울여 읽었다. 저자가 말하는 들뢰즈 철학의 개념과 용어 들은 낯설었다. 하지만 저자가 유목 민족과 정주 민족, 그리스 신들과 그들이 헬레니즘 미술과 실크로드 미술, 유라시아 각 지역의 미술 속에서 변화한 모습을 예시로 들고, 비유를 들면서 반복해서 설명하니 이해할 수 있었다. 찬찬히 읽어보니, 저자가 헬레니즘 미술과 실크로드 미술 속에서 변화해 간 그리스 신들을 통해 이야기하려는 바는 단순하고 명쾌했다. 들뢰즈는 모든 존재를 끊임없이 변화하며 새로운 것을 생성해 내는 존재로 보았다는 것. 그리스 신화의 신들도 불교라는 거대한 중심 뿌리의 위계질서에 붙잡혀서든, 타림 분지 내로 흘러들어 온 다양한 문화와 자유롭게 접속해서든, 겉모습도 본질도 부단히 변화했다는 것. 그러니 문화 또한 한 가지 원형으로 굳어버린 유산이 아니라 무한히 변화해 가는 생명이라는 것. 이렇게 2부도 무사히 내 나름대로 소화했다.

이 책에서 이야기하는 들뢰즈의 개념들은 들뢰즈의 철학 이론 중 일부지만, 그래도 이 책 덕분에 그 일부는 확실히 이해하게 되었다. 헬레니즘 문명과 실크로드 문명은 중학교 때부터 알고 있던 것들이었지만 들뢰즈의 철학적 개념과 용어로 다시 보니 신선하게 느껴졌고. 들뢰즈 철학 쪽으로나 문명사, 미술사 쪽으로나 아주 깊이 들어가진 않지만, 에로스의 날개나 보레아스의 바람을 타고 그리스로부터 유라시아 대륙을 가로질러 여행한 기분이다. 찬찬히 읽으며 책 전체를 소화하고 나니 그 여행을 무사히 마친 것 같아 안도감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