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규방의 미친 여자들 - 여성 잔혹사에 맞선 우리 고전 속 여성 영웅 열전
전혜진 지음 / 한겨레출판 / 2023년 7월
평점 :
예전에 읽다 포기한 일본 고전 소설 『겐지 이야기』를 다시 읽고 있다. 옛날 어느 천황의 아들인 주인공 겐지가 벌이는 연애 행각을 그린 소설인데, 여성 캐릭터 각각의 개성을 잘 살렸다지만 작가나 현대 일본어로 옮긴 번역자나 (둘 다 여성임에도) 여성 캐릭터들을 진열장에 놓인 예쁜 인형들처럼 취급하고 있다고 느껴졌다. 느끼한 것을 먹고 나면 시원한 동치미 국물이 마시고 싶어지는 것처럼, 도무지 사람처럼 느껴지지 않는 여성 캐릭터들을 보니, 인형이 아니라 살아 있는 사람으로 느껴지는 여성 캐릭터들을 보고 싶어졌다. 그래서 우리 고전 소설 속 여성 영웅들을 이야기하는 이 책을 읽기 시작했다.
어느 이야기에서나 영웅은 시련을 겪지만, 고전 소설 속 여성 영웅들은 남성 영웅들에게는 없는 제약을 하나 더 받게 된다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바로 가부장제에서의 성차별이다. 이들은 함께 등장하는 남성 캐릭터보다 능력이 뛰어나도 가족을 돌봐야 한다는 의무에 묶이거나, 가족에게 학대당하고, 심지어 가족에게 버려지거나 살해당하기까지 한다. 저자는 우리 신화나 고전 소설 속에서 가부장제의 억압이 어떤 모습으로 나타나는지 파헤쳐 보고, 그 허울과 모순을 신랄하게 비판한다. 예를 들어, <사씨남정기>는 남성 저자가 당대의 정치 현실을 비판하려고 쓴 소설이고, 여주인공은 가부장제의 이상적인 여성상 그 자체다. 작가가 의도한 바는 아니겠지만 그런 완벽한 여성도 남편의 애정에 따라 운명이 뒤바뀌는 모습을 통해 가부장제의 이상이라는 것이 얼마나 허약한 기반 위에 서 있는 것인지 드러난다. 여성 주인공을 중심으로 한 소설들에서도 여주인공의 남편은 '착한' 첩이나 후처를 얻어 일부다처제를 유지하고, 여주인공이 겪는 고난을 방조한 남편이나 시댁 식구들은 처벌받기는커녕 여주인공이 얻은 성과를 누리며 편안히 여생을 보낸다. 이렇게 작가가 당대의 가치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 드러나는 부분이 오히려 그 시대의 한계를 보여준다. 세월이 흐르면서 이 땅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가치관과 법 체계도 바뀌었지만, 가부장제 아래에서의 편견과 성차별은 시대를 뛰어넘어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그래서 우리는 현실에서도 이야기에서도 다시 한번 생각해야 한다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저자는 고전 소설 속 여성들이 겪는 수난사를 보여주고, 그 원인이 되는 가부장제의 문제를 비판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자신을 가둬둔 규방 문을 박차고 담장을 뛰어넘어 더 넓은 세상으로 나가는 여성 영웅들의 서사들을 우리에게 소개한다. 이들은 남장을 하고 성별을 감추어 자신의 능력으로 사회적 성취를 이룬다. 이들도 여성임이 드러나면 남성인 줄 알았을 때 자신을 존중했던 사람들에게 곧바로 무시당하고, '여자로서의 도리를 지켜야 한다'는 이유로 혼인을 강요당한다. 혼인을 하고 나서는 남편이 자기 권위를 내세우거나 첩을 들이는 것까지 봐야 한다. 여성이라는 것을 알고 나서도 여전히 그들을 존중하고 보호하는 군주가 등장하는 경우도 있지만, 어디까지나 군주 개인의 시혜적인 행동일 뿐 그들을 둘러싼 현실을 변하지 않는다. 그런 현실과 타협하는 여성 영웅들도 있지만, 그들이 당시 여성들은 상상도 하지 못했던 일들을 해냈다는 것은 변함이 없다.
그래도 여주인공들이 기껏 큰 업적을 쌓고 높은 자리에 올라도, 여자의 도리를 지켜야 하기에 어쩔 수 없이 혼인하게 되는 이야기, 혼인하고 나서 남편이나 남편의 첩, 시댁 식구들과 갈등하며 마음 고생하는 이야기는 지겹다고 느낄 수 있다. 저자는 책 마지막에 그런 틀을 깨고 한 걸음 더 나아간 소설을 소개한다. 바로 <방한림전>이다. 주인공 방관주의 부모는 딸의 총명함을 보고 여자로 태어난 것이 안타까워, 친척들에게도 방관주가 딸이라는 것을 알리지 않고 아들로 키운다. 그런 부모님이 세상을 떠나자 방관주는 계속 남자로 살아가기로 선택한다. 방관주는 어린 나이에 장원 급제해 일찍부터 관직을 얻고 황제의 총애를 받는다. 하지만 남자 행세를 하면서 아내를 얻지 않으면 의심을 받을 테니 걱정하는데, 병부상서의 딸 영혜빙이 방관주가 여자라는 것을 알아채고 부부로 행세하면서 평생지기로 살아가자고 제안한다. 둘은 금슬 좋게 지내면서 총명한 아이를 입양하고, 그 아이도 훌륭한 인재로 키워낸다. '음양의 도리를 어겼다'는 이유로 방관주가 서른아홉 살의 젊은 나이에 세상을 떠나고, 방관주가 전생에 남성 신이었는데 방자하다는 이유로 '여자로 태어나는 벌'을 받은 것이라는 데서 당시의 가치관에서 완전히 벗어나지 못했다고 볼 수도 있다. 하지만 동성 부부가 혈연으로 이어지지 않은 자녀를 입양해 이상적인 가족을 만들어냈다는 점에서, 이 소설은 생활 동반자법도 아직 통과되지 못한 현대 대한민국을 뛰어넘는 진보성을 보여주고 있다.
최근 여성 서사들이 여성 소비자들의 주목을 받으며 떠오르고 있다. 하지만 우리에게는 여전히 더 많은 여성 서사가 필요하다. 아직도 어머니나 연인, 냉장고 속의 피해자에 그치는 여성 캐릭터들이 많으며, 현실에서 살아남고 꿈을 이루기 위해 분투하는 여성들에게 여성 영웅들은 용기와 희망을 주고 역할 모델이 되어주기 때문이다. 저자가 우리 신화와 고전 소설 속에서 꺼낸 여성 영웅들의 이야기는 과거의 이야기지만 우리가 현실 너머의 더 나은 미래를 꿈꾸는 데 지침이 되어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