쾌 : 젓가락 괴담 경연
미쓰다 신조 외 지음, 이현아 외 옮김 / 비채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한 줄 요약: *2ch 괴담으로 시작해서 <피케이>로 끝난다

*2ch: 일본의 익명 인터넷 커뮤니티. 이곳의 오컬트 게시판에는 수많은 괴담이 올라온다.

한 서양인 네티즌이 직접 지은 밥에 젓가락을 꽂아 놓은 사진을 올리자, 한국, 중국, 일본 네티즌들은 입을 모아 말했다. "제삿밥이야?" 이처럼 산 사람이 먹는 밥에는 젓가락을 꽂아 놓지 않는 것이 동아시아 공통의 금기다. 『쾌 젓가락 괴담 경연』은 젓가락을 둘러싼 이 금기에서 이야기가 시작된다. 일본, 대만, 홍콩의 다섯 작가가 젓가락을 소재로 쓴 단편을 한 편씩 썼는데, 이 다섯 편의 단편은 단순히 소재가 같은 게 아니라 다음 이야기로 내용이 이어진다. 초반에는 '어, 앞의 얘기랑은 상관이 없는 얘기 같은데?'라고 생각하게 되겠지만 끝까지 읽어보면 다섯 개의 이야기가 퍼즐처럼 들어맞으며 전체의 이야기를 완성한다.

젓가락님 - 미쓰다 신조(일본)

작가 M 선생이 주최한 모임에서 한 여자가 어린 시절 젓가락과 관련해 겪었던 기묘한 이야기를 들려준다. 그녀가 초등학교 5학년 때 같은 반에 점심 급식에 제삿밥처럼 젓가락을 꽂는 남자애가 있었다고 한다. 그 모습이 하도 이상해 남자애에게 왜 그러냐고 물어봤다. 그 남자애는 84일 동안 하루에 한 번 밥에 젓가락을 꽂고 '젓가락님'한테 소원을 빌면 소원이 이루어진다고 했다.

당시 그녀의 오빠는 학교 일진들에게 괴롭힘당하면서 받은 스트레스를 동생을 때리는 것으로 풀고 있었다. 그것도 부모님 눈에 안 띄게 옷에 가려져 안 보이는 곳만. 참다못한 주인공은 오빠를 없애달라는 소원을 빌러 젓가락님 챌린지를 시작한다. 그런데 산 사람이 먹는 밥에 제삿밥처럼 젓가락을 꽂는 의식이라니, 어딘지 불길하다. '젓가락님 챌린지'를 시작한 뒤로 그녀는 자신을 비롯한 5학년 아이들 아홉 명이 모여 있는 꿈을 꾸게 된다.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처럼 꿈을 꿀 때마다 아이들은 한 명씩 죽어나간다. 꿈에서 죽으면 현실에서도 죽는다. 마지막으로 살아남은 한 사람의 소원을 젓가락님이 들어준다.

말수가 없는 신비한 아이가 매일 치르는 기묘한 의식이라는 소재 자체가 으스스한데, 거기에 『그리고 아무도 없었다』를 떠올리게 하는 꿈 속의 스릴러가 더해진다. 원래 대나무를 직접 꺾어 만든 젓가락으로 의식을 치러야 하는데, 주인공은 마트에서 파는 보통 젓가락으로 의식을 치르는 바람에 꿈에서 일어난 모든 것을 기억하지 못한다. 그녀의 이야기를 들은 화자가 꿈 속 살인 사건의 범인을 나름대로 추리하지만, 그것으로 모든 미스터리가 플리지는 않는다. 그녀가 마지막으로 남긴 한마디는 소름이 돋는다. 나머지 이야기가 추리물의 성격이 강하다면, 이 이야기는 공포물의 성격이 강하다. 독자들의 흥미를 일으키는 깔끔한 시작이다.

산호 뼈 -* 쉐시쓰(대만)

*'쉐시쓰'는 '크세르크세스'의 중국어 표기법이기에 필명으로 보인다.

결혼을 앞둔 주인공은 자기 고민을 해결하기 위해 한 도사를 찾아간다. 그녀는 도사에게 자신이 중학생 때 겪었던 일을 도사에게 이야기한다. 첫 번째 이야기의 주인공처럼 두 번째 이야기의 주인공도 젓가락과 관련된 괴담 하나를 접한다. 짝사랑하는 사람의 젓가락 한 짝을 몰래 바꿔서 3개월 안에 상대에게 들키지 않으면 사랑이 이뤄진다는 괴담이 학교에서 유행하고 있었던 것이다. 친구들이 부추겨서 주인공은 반에서 제일 존재감 없고 아이들과 못 어울리는 남자애를 대상으로, 그 괴담이 진짜인지 실험해 보기로 한다. 친구들과의 장난 때문에 그 남자애에게 접근했지만, 생각지 못하게 그 남자애와 진심으로 가까워지게 된다. 그러나 그 애의 젓가락에는 주인공이 감당할 수 없는 뭔가가 숨겨져 있었다.

주인공에게 젓가락 챌린지를 알려주기만 했던 첫 번째 이야기의 남자아이 '네코'와 달리, 두 번째 이야기의 남자아이는 주인공과 우정인듯 사랑인듯 미묘한 감정을 나눈다. 그러나 그를 둘러싼 괴이를 감당하기에 주인공은 너무 어리고 나약했다. 하지만 다시 만난 그는 그녀를 질책하는 대신 예전처럼 박하사탕 두 알을 주며 위로한다. 마지막 문장에서 작가는 그 박하사탕 두 알을 '각자의 궤도를 돌다 스쳐 지나가는 별들'에 비유한다. 그 별들이 주인공과 남자아이를 빗대는 것 같아 가슴이 아릿했다. 책의 전반적인 분위기에 어울리게 으스스하고 기묘하면서도 대만 청춘물 특유의 풋풋함과 아련함이 느껴진다. 다섯 개의 이야기 중 가장 애틋한 이야기였다.

저주의 그물에 걸린 물고기 - 예터우쯔(홍콩)

주인공은 남자친구와 남자친구의 절친, 편집자까지 넷이서 유튜브 채널을 운영하는 유튜버이다. 그런데 한 달 전 남자친구 생방송 중에 죽는 바람에, 매일 하루 종일 네티즌들의 악플과 의심에 시달리게 된다. 홍콩에는 시집 가던 신부가 타고 가던 가마가 연못에 빠져, 죽은 신부가 귀신이 되어 그 연못을 떠돈다는 괴담이 전해지고 있다고 한다. 그 귀신 신부가 나타난다는 연못가에 저주하려는 대상의 이름을 적은 젓가락을 꽂은 쌀밥을 놓으면 저주 대상이 죽는다는 괴담이 얼마 전부터 유행하고 있었다. 그런데 사실 그 괴담은 남자친구가 사람들의 어리석음을 확인하기 위해 만들어낸 가짜 괴담이었다. 주인공 남자친구는 그 사실을 생방송에서 밝히며 사람들을 비웃고, 백만 안티팬을 양성하게 된다. 안티팬들이 어떤 저주를 퍼붓든 개의치 않던 남자친구는 안티들이 보낸 저주 젓가락으로 생방송에서 라면 먹방을 하다 갑자기 이상 반응을 일으키고 죽는다. 살인범이라는 루머로 괴로워하던 주인공에게, 그동안 누구에게도 밝히지 않았던 팀원 네 명의 실명을 언급하면서 네 명 다 죽을 것이라는 다이렉트 메시지가 온다. 주인공은 살아남기 위해 저주의 진실을 파헤치기 시작한다.

첫 번째 단편과 두 번째 단편이 '현실을 뛰어넘는 괴이한 존재'에게서 느끼는 공포를 다루는 반면, 이번 단편은 현실 속에서 느끼는 공포를 다룬다. 얼굴도 모르는 수많은 사람들에게 내 신상이 밝혀지고, 사소한 것으로도 트집을 잡혀 루머가 사방으로 퍼져 나간다. 내가 모르는 누군가가 나를 훤히 알고 언제라도 나를 공격할 수 있다. 이 두 가지는 현실의 독자들도 얼마든지 겪을 수 있는 공포이기에 공감할 수 있다. 현실적인 공포라 신비로운 면은 덜하지만 주인공이 사건의 진실을 추리해 가는 재미가 있다.

악어 꿈 - 샤오샹선(대만)

홍등가에서 일하는 한 여인이 거대한 악어가 고향 마을을 통째로 삼키는 꿈을 꿨다고 손님에게 이야기한다. 그 뒤에 한 유명 추리 소설 작가의 이야기가 이어진다. 전혀 연관이 없어 보이던 두 이야기가 서서히 서로를 향해 다가오며 하나의 진실이 드러난다. 작가는 한 기자로부터 자신을 도와달라는 요청을 받는다. 수십 년 전 한 초등학교 5학년 아이 아홉 명이 실종된 사건을 함께 파헤쳐 보자는 것이었다. 하지만 사실은 그 사건이 기자와 기자의 아들과 교묘하게 연관되어 있었다. 기자의 아들은 첫 번째 이야기에 나오는 '젓가락님' 의식을 시작했고, 자신이 죽을 수도 있다는 것을 분명히 알면서도 의식을 멈추지 않는다.

앞의 세 개의 이야기에서 보이는 공통점은 '기묘한 젓가락'과 '젓가락과 관련된 주술을 시도하는 사람들의 팔에 나타나는 물고기 모양 홍반' 뿐이었다. 그래서 이 이야기를 어떻게 엮어낼까 궁금했는데 결말에서 작가가 이야기를 엮어낸 솜씨에 감탄하게 되었다. 첫 번째 이야기, 두 번째 이야기는 생각지 못한 곳에서 네 번째 이야기와 연결된다. 두 번째 이야기에서 등장했던 인물이 여기에도 등장하는데, 두 번째 작가가 만든 그 인물의 캐릭터를 훼손시키지 않으면서 자신의 이야기에서 자연스럽게 살아 움직이게 한다.

네 번째 단편을 쓴 작가는 이야기를 엮어내는 솜씨뿐만 아니라 깊은 한과 그 한을 이기는 사랑과 희망을 그리는 데도 능하다. 세 번째 단편과 같이 사회 비판적인 면도 있다. 그렇기에 다섯 개의 단편 중 가장 높이 평가하고, 두 번째 단편과 함께 마음속에 오래 남는다. 거창한 의식이 아니라 소박한 의식으로 웃고 울면서 한을 푸는 결말을 읽고 나면 울고 난 것처럼 마음이 개운하다. 딱 여기가 엔딩이었다면 좋았을 것이다.

해시노어 - 찬호께이(홍콩)

네 번째 단편에서 목숨을 걸고 젓가락님 의식에 나섰던 청년이 마지막 단편의 주인공이다. 왜 이 청년이 젓가락 챌린지에 나섰느냐 하면, 좋아하는 여자의 목숨을 살리기 위해서였다. 그런데 그 좋아하는 여자가 중학생 여자애다. 도사인 친구의 주술 덕분에 무사히 살아남은 주인공은, '젓가락님 의식' 뒤에 뭔가 더 큰 음모가 있음을 알아채고, 식물인간 상태에서 깨어난 짝사랑 소녀와 도사 친구와 함께 진상을 찾아 나선다.

일단 이 단편에 감정 이입을 할 수 없었던 이유는 대학생인 주인공이 이제 겨우 만 14세인 중학생에게 반해 목숨까지 건다는 것이 납득이 안 된다는 것이었다. 도사 친구는 응큼한 놈이라고 놀리면서도 주인공이 그 여자아이와 키스를 하게 유도하는 등 잘되게 계속 밀어주고 있다. 세 번째 이야기는 사실 네 번째 이야기와 거의 연결되지 않았고, 두 번째 이야기와 마지막 이야기의 연결 고리인 여자아이가 중학생이다. 목숨을 걸고 위험한 의식을 치르는 동기로 써먹기에 사랑만큼 좋은 것도 없을 것이다. 하지만 대학생과 미성년자를 연애 관계로 엮으려는 것에 거부감이 느껴졌다(내가 네 번째 단편의 작가였으면 내가 만든 캐릭터를 고등학생도 아닌 중학생 여자애에게 연애 감정을 느끼고 접근하는 캐릭터로 만든 것에 화가 났을 것이다).

무엇보다 가장 큰 문제는 이 다섯 번째 이야기로 인해 네 번째 이야기까지 쌓아왔던 신비한 분위기가 결말에서 단번에 날아간다는 것이다. 이 이야기 하나로 이 책의 장르는 공포에서 SF로 바뀐다. 영화 <피케이>에서 지구에 불시착한 외계인 피케이는 도둑맞은 우주선 리모컨을 찾으려 몇 달을 헤맨다. 그런데 지구인들은 그 리모컨이 신이 내린 성물이라며 고이 모시고 있었다. 다섯 번째 이야기의 결론도 그와 다르지 않다. 두 번째 이야기에서 등장하는 신비한 젓가락은 사실 이세계 사람들이 이세계로 돌아가는 문을 여는 장치였는데, 무지몽매한 지구인들은 젓가락의 능력을 자신들의 욕심을 채우고 원한을 푸는 데 이용해 지금까지의 온갖 난리가 난 것이었다. 젓가락과 관련된 주술을 시도하거나 젓가락과 깊은 인연이 있는 사람들의 팔에 난 홍반도, 사실은 이세계 사람들이 투플러스 A급 가축, 아니 지구인들에게 찍어주는 도장이나 마찬가지였다.

추리 소설의 대가답게 기본적인 재미는 있다. 하지만 찬호께이가 이과 출신이어서 그런지 진상 하나하나를 꼼꼼히 설명하는 경향이 있는데, 그것 때문에 이전까지의 괴기하고 신비로운 분위기가 다 날아가는 것이다. 세 번째 이야기가 조금 겉돌게 된다는 걸 신경 쓰지 않는다면 네 번째 이야기로 끝내는 것이 더 좋았다. 찬호께이의 마지막 단편은 사족이라는 평들에 깊이 공감한다.

다섯 개의 이야기 모두 추리 소설, 공포 소설로서 가져야 할 재미는 갖추고 있다. 그 덕분에 700페이지가 넘는 분량이 전혀 무겁게 느껴지지 않는다. 그리고 뒤의 작가가 앞의 작가의 이야기를 어떻게 이어가는지, 앞의 작가가 만들어낸 캐릭터를 어떻게 자신의 작품에서 활용하는지 지켜보는 재미가 있다. 그래서 이러한 시도가 앞으로도 계속되었으면 한다. 한편으로는 같은 젓가락 문화를 공유한 한국 작가가 이 단편집에 참여했다면 어떤 이야기를 만들어냈을지 궁금해진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