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더 이상 웃어주지 않기로 했다 - 친절함과 상냥함이 여성의 디폴트가 아닌 세상을 위해
최지미 지음 / 카시오페아 / 2021년 3월
평점 :
공공장소에서 예절을 지키지 않는 사람에게 지적을 할 때마다, 특히 나이 지긋한 사람에게 지적할 때 두렵다. '젊은 여자가 감히 어른한테 지적을 한다'고 고까워하는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심지어 "별 미친년을 다 보겠네"라고 욕을 먹은 적도 있다. 반면 아버지나 건장한 남자 동기와 같이 있을 때는 상대방이 언짢은 기색을 얼굴에 드러내도 심한 욕설은 하지 못했다. 동아리 모임에서도 나보다 나이가 많은 남자 회원들이 성차별적인 말을 할 때 지적하면 나만 분위기를 불편하게 만든 눈치 없는 사람이 된 느낌이었다. 이 책은 이렇게 젊은 여자로 살아간다는 것이 쉽지 않다는 것을 이해하고 공감해 주는 책이었다.
내가, 아니 우리 사회의 여성들이 당하는 일이 사소하고 개인적인 문제가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라고 이 책은 지적한다. 사회는 여성이 공격적이지 않고 사무적이지 않고, 늘 상냥하고 밝게 웃으면서 친절하게 대하기를 요구한다. 그렇게 하지 않는 여성은 '여자답지 못하고 감정적인 사람'으로 낙인찍힌다. 무례한 말과 행동에 '그 말, 행동 때문에 기분이 나쁘다'고 정확히 의사 표현을 하면 '그런 뜻이 아니었는데 왜 이렇게 예민하냐'고 예민한 사람 취급을 하거나, 오히려 화를 내기까지 한다. 그러니 무례한 일을 당해도 내 감정과 의사를 밝히기는 쉽지 않은 일이다. 저자는 그래도 목소리를 내라고 격려한다. 당신이 참으면 상대는 용기를 얻고, 자신의 무례함을 합리화한다고. 목소리를 내고 정면으로 대응해야 세상이 바뀐다고.
저자는 여성을 옭아매는 사회의 편견들을 하나하나 들여다보고 반박한다. 한 가지 예를 들자면, 흔히 남자는 이성적이지만 공감 능력이 떨어지고, 여자는 감성적이고 공감 능력이 뛰어나다고 한다. 그러나 오리건 대학교의 크리스틴 클레인과 사라 호지스 교수가 '남녀 사이의 공감 능력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한 실험 결과는 이런 통념과 다르다. 연구진은 감정적 공감을 정확하게 수행했을 때 한 그룹에는 아무것도 보상하지 않고 다른 한 그룹에는 보상을 했는데, 돈을 받기로 한 그룹의 경우 남성과 여성 사이의 유의미한 공감 능력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하버드 대학교의 사라 스노드그라스 교수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여성 리더가 남성 하급자의 감정을 파악하는 것보다 남성 하급자가 여성 리더의 감정과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더 정확했다고 한다. '남자는 원래 공감 능력이 떨어지니 네가 이해해'라고 여자친구에게 말하는 남자들도 회사 상사나 군대 선임 앞에서는 눈치 빠르게 행동하며 뛰어난 공감 능력을 보인다. 이런 점에서 이 책은 에세이지만 사회과학 도서 같은 면모도 지니고 있다. 여러 실험과 논문, 실제 사건을 근거로 들기에 더 신뢰가 간다.
온갖 편견과 폭력으로 가득한 세상에서, 세상이 강요할 때가 아닌 내가 원할 때에 웃으면서 살아갈 수 있으려면 나 자신이라는 성을 단단히 다져야 한다. 어떻게 세상이 웃으라고 강요하고 내게 무례하게 굴 때 대응해야 하는지, 세상이 어떻게 살라고 정해진 삶의 방식을 강요해도 내가 원하는 삶의 방식으로 자유롭고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지도 조언한다. 여기에서는 자기계발 도서 같은 느낌이 들지만, 강요하는 것은 아니다. 젊은 비혼주의자 여성으로서 자신이 직접 겪었던 사회의 부조리함을 이야기하고, 철없지만 멋진 이모로 살겠다면서 자신의 인생 계획을 솔직히 털어놓아 같은 여성으로서 깊이 공감하게 한다.
본문의 마지막 챕터에서 저자는 요즘 여성들이 자주 듣는 질문에 대해 이야기한다. 바로 "너, 페미니스트야?"라는 질문. 인종 차별을 하지 않는 것이 당연한 문화 시민의 도리가 된 지금은 "너 인종 차별에 반대하니"라고 묻는 사람이 없다. 그런데 남성이 당연하게 여기는 것을 여성도 당연하게 누릴 수 있는 사회를 만드는 것이 페미니즘이고 그것이 당연한 일인데, 마치 그것이 잘못된 일인 양 '너 페미니스트냐'고 사상 검증을 한다. 그 질문 자체가 그런 질문을 받지 않을 수 있는 남성으로서 권력을 가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심지어 여성들 중에서도 페미니즘은 세상에 분란을 일으킬 뿐이며, 우리나라의 페미니즘은 너무 과격하고 남성들을 혐오하며 그들보다 우위에 서려 하는 것이라고 오해하는 사람들이 있는 것을 보면 힘이 빠진다. 하지만 저자는 페미니즘에 반대하고 당당히 여성 혐오를 표현하는 이들이 과거의 노예주나 KKK단처럼 과거의 부끄러운 유산으로 남게 될 것이며, 여성이 두려움 없이 자신이 원하는 대로 살아가는 세상이 꼭 올 것이라고 믿는다. 그런 세상이 올 때까지 자기 자신을 좀 더 사랑하고 챙기라고, 함께하면 더 강해진다고 저자는 여성들을 응원한다. 아직도 세상에는 두려운 것투성이지만 그 응원이 힘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