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뷰티풀 젠더
아이리스 고틀립 지음, 노지양 옮김 / 까치 / 2020년 7월
평점 :
사람은 배우면서 변화할 수 있다. 교회에서 가르쳐주는 대로 동성애는 옳지 않은 것이라고 막연하게 생각하던 내가 변하게 된 계기는, 대학교 교양 수업에서 ‘동성애에 찬성하느냐, 반대하느냐’라는 교수님의 질문이었다. 내가 반대하는 쪽에 손을 들자, 교수님은 ‘왜 반대하느냐’고 물었다. 내 대답은 ‘동성 친구 간의 감정이 우정인지 사랑인지 혼란스러울 수 있기 때문이다’였다. 내가 말해놓고도 스스로 너무 터무니없는 답이라고 느꼈다. 그때 나는 내가 교회에서 동성애와 성소수자에 대해 하는 이야기를 그저 무비판적으로 받아들이기만 했을 뿐, 정작 동성애와 성소수자에 대해서는 아무것도 몰랐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때부터 동성애와 성소수자에 대한 책들을 읽으며 공부하기 시작했다. 동성애는 하나님의 뜻에 어긋나니 잘못된 것이라고 생각했던 나는 성소수자와 관련된 용어 하나도 좀 더 신중하게 사용하는 사람이 되었다.
『뷰티풀 젠더』는 그렇게 사람들이 배우고 변화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만들어진 책이다. 이 책은 다양한 젠더(사회적 성별, 정신적 성별)에 속하는 사람들의 관점과 그들이 겪고 있는 사회적 문제, 그에 관한 쟁점, 그 밖의 다양한 젠더 관련 지식들을 최대한 많이 담으려고 노력한 책이다. 저자 자신이 여성에서 남성(본인의 더 정확한 표현으로는 ‘소년’)으로 젠더를 전환한 트랜스젠더이기에, 한 사람의 트랜스젠더로서의 개인적인 경험도 기록하고 있다. 이렇게 젠더와 관련해 최대한 다양한 목소리, 다양한 이야기를 담으려고 한 것은 사람들이 자신의 젠더를 아무 편견 없이 탐사하고, 타인의 젠더를 함부로 판단하지 않고 이해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다.
이 책을 읽으면서 아직도 배워야 할 것이 정말 많다고 느꼈다. 나름대로 젠더에 대해서 공부해 왔다고 생각했는데 젠더 관련 용어들과 개념들이 생각보다 훨씬 더 다양하고 복잡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한국인인 나로서는 체감하기 어려운 젠더 관련 문제들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다. 한국도 점점 다인종 사회로 변화해 가고 있지만, 건국 초기부터 다양한 국적과 인종의 이민자들이 모여들었던 미국에서는 인종에서나 성적 지향에서나 소수자가 되는 사람들의 역사가 오래되었다. 이렇게 한 사람 안의 다양한 요소들이 교차하며 그 사람의 정체성을 형성하는 것을 ‘교차성’이라고 하는데, 미국에서 흑인, 라틴계 등 백인 이외의 인종들은 젠더와 성적 지향뿐만 아니라 인종이나 경제적 상황에 따른 지위 등 여러 가지 면에서 몇 겹의 차별을 겪게 된다. 우리는 아직 크게 체감하고 있지 못하지만 미국에서는 오랫동안 고민해 온 문제다. 대명사 문제도 한국에서 체감하기 어려운 문제 중 하나이다. 영어를 비롯한 서구의 언어들과 달리 한국어는 대명사의 성 구분이 거의 없다. 여성을 지칭하는 대명사 ‘그녀’는 보통 글이나 노래 가사에서 주로 쓰이고 실생활에서는 ‘그 애’나 ‘그 사람’, ‘그분’ 등 성 구분이 없는 호칭과 대명사를 사용한다. 대명사 문제에 있어 우리는 젠더 중립적이기 더 쉽지만, 젠더에 대한 고민이 없다면 언어에서의 이런 이점은 아무 소용이 없어진다. 이렇게 이 책은 지금 당장 우리가 체감하기는 어렵지만 우리에게도 언젠가 다가올 젠더 관련 문제들에 대해 생각해 보게 한다. 그러니 배워야 할 것은 아직도 너무 많다.
『뷰티풀 젠더』 속 텍스트의 내용을 좀 더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게 돕는 저자의 일러스트들(한국어판의 이미지를 찾기 쉽지 않아 원서 이미지를 올렸는데, 텍스트가 한국어로 바뀐 것만 빼면 원서의 내지 디자인, 이미지와 같다.)
젠더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들을 더 직관적으로 와 닿게 하는 것은 저자의 일러스트다. 저자는 일러스트레이터로서의 재능을 활용해 풍부하고 다채로운 일러스트들로 텍스트 설명을 뒷받침한다. 일러스트에서 좀 더 나아가 인포그래픽(정보, 데이터, 지식을 시각적으로 표현한 것)을 활용했으면 더 좋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지만, 간결한 선과 선명한 색감의 일러스트들은 복잡하고 다양한 젠더 이야기를 더 쉽고 명쾌하게 받아들일 수 있게 한다. 텍스트만 나열되었을 때의 딱딱함과 지루함도 덜어준다. 이런 일러스트가 이 책만의 개성을 만들어준다.
이 책의 마지막 장, 저자 자신이 유방 절제 수술을 받으면서 느꼈던 감정들을 털어놓는 이야기는 성소수자 당사자의 목소리를 전해준다. 유방을 절제한 자신의 모습을 찍은 사진들과 그때 자신이 생각하고 느꼈던 것들을 드러낼 수 있는 그녀(저자는 자신의 정체성을 ‘소년’으로 정의하지만 자신을 가리키는 대명사는 ‘그녀’로 쓰고 있다고 밝혔다)의 용기에, 자신의 젠더를 놓고 고민하고 쉽지 않은 선택을 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헤아려보게 된다. 이런 당사자성 또한 젠더를 다루는 책으로서의 큰 장점이다.
솔직히 말하자면 이 책을 읽고 나서도 나는 저자와 나와 다른 젠더, 성적 지향을 가진 사람들을 온전히 이해하지는 못한다. 젠더를 내가 원하는 대로 바꿀 수 있다는 개념이 머리로는 이해되는데 마음속으로 아직 완전히 납득되지는 않고, 성 중립적 화장실에 대해 여성들이 갖는 두려움도 간과할 수는 없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저자는 말한다. 젠더를 배우는 과정은 끝나지 않고, 틀려도 괜찮다고. 하지만 배우려는 의지가 없는 것은 괜찮지 않다고. 이 책은 이렇게 정답을 제시하기보다는 사람들에게 자신이 모르던 것을 알아가고 배워가도록 격려하고, 어떻게 배우고 행동하면 좋을지 조언하고 제안한다. 그럼으로써 이 세상의 다양한 사람들이 서로를 100퍼센트는 아니더라도 조금이라도 더 이해하는 데 작은 도움을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