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쓰는 설공찬전
이서영 지음, 신중철 그림, 채수 원작 / 솔아북스 / 2020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다시 쓰는 설공찬이』, 『다시 쓰는 설공찬전』스포일러 포함


  두 달 전 도서관에서 『다시 쓰는 설공찬이』라는 책을 발견했다. 조선 전기의 문신 채수蔡壽, 1449-1515가 쓴 공포 소설 <설공찬전>을 현대 작가가 다시 쓴 소설이다. <설공찬전>은 당대의 베스트셀러로 한문뿐만 아니라 한글로도 필사되어 평범한 백성들 사이에서도 많이 읽혔다. 그러나 당나라에 반역해 후량이라는 나라를 창건했던 장군 주전충이 지옥에서 고통받고 있다는 내용을 담은 이유로 논란에 휩싸였다. 당시 국왕이었던 중종이 연산군을 몰아내고 왕이 되었는데, 주전충에 중종을 빗대어 비판했다는 의심을 받은 것이다. 그 밖에도 "저승에서는 여자여도 글을 알면 좋은 벼슬자리에 오를 수 있다"는 대목, 명나라 성화제가 총애하는 신하의 수명을 늘려달라고 했다가 오히려 염라대왕에게 노여움만 샀다는 대목이 성리학적 세계관에 갇혀 있던 유학자들에게 노여움을 샀다. 사헌부에서는 저자인 채수를 처형하고 간언했지만, 중종은 너무 과한 처사라며 채수를 파직하는 데 그쳤다. 


  금서가 되어 사라진 줄 알았던 이 소설의 한글 필사본이 1996년 발견되었다. 최초의 한글 소설로 알려진 <홍길동전>보다 100여 년 앞선 소설이었다. 젊은 나이에 죽은 선비 설공찬이 사촌동생 설공침의 몸에 빙의되어 저승 이야기를 한다는 이 소설은 결말 부분이 필사되지 않아 미완성 형태로 남았다. 그럼에도 빙의와 저승 세계라는 환상적인 소재를 다룬 덕분인지 설공찬전을 원작으로 연극도 만들어졌고, 설공찬전을 모티브로 한 웹툰, 웹소설도 만들어졌다. 그리고 소설의 배경이 된 순창 지역에서는 설공찬전을 재해석해 다시 쓰는 프로젝트 두 가지를 진행했다.


  그 중 김재석 작가가 쓴 『다시 쓰는 설공찬이』는 전문 작가가 쓴 소설답게 소설 자체의 퀄리티는 괜찮은 편이다. 홍보용 소설답게 우리나라, 특히 순창 지역의 자연과 민속, 저승관을 최대한 자세하게 보여주려는 의도가 보이지만 꽤 자연스럽게 소설에 녹여냈다. 무엇보다 원작에서는 설공찬이 빙의되기 전 잠깐 설공침의 몸에 깃들었다 박수무당 김석산에게 쫓겨나는 부분에서만 등장하는 설공찬의 누이에게 '초희'라는 이름과 그녀만의 서사를 준 것이 흥미로웠다. 누구보다 서로를 아끼고 깊이 이해했지만 세상이 정해 놓은 한계에 부딪쳐야 했던 공찬과 초희 남매의 모습을 애틋하게 그려냈다. 그래서 설공찬은 인간으로 환생하고 설초희는 저승에서 명부를 담당하는 관리가 되었다는 결말이 따뜻하게 느껴졌다. 설공찬은 원작에서 사촌동생 설공침을 괴롭히지만, 김재석 작가는 그런 공찬의 행동이 증오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고 재해석했다. 공찬은 당시 사회의 틀에 갇힌 사람들이 그 틀에서 벗어나 좀 더 자연스럽고 인간적으로 살아가길, 더 선하게 살아가길 바라는 마음 때문에 공침의 입을 빌어 이야기한 것이었다. 자신과 동갑내기지만 훨씬 더 총명한 사촌 공찬을 질투하고, 여자라는 이유로 사촌누이 초희를 무시하던 공침은 다소 단순한 악역처럼 보였지만, 공찬의 혼이 빙의되면서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게 된다. 초희는 '여자도 능력이 있으면 중용된다'는 원작의 구절을 스스로 증명했다. 원작의 권선징악적인 교훈을 넘어서 두 남매가 새로운 삶을 찾고, 남은 사람들도 그들을 통해서 삶의 의미를 돌아보는 결말은 깊은 여운을 남긴다.


『다시 쓰는 설공찬이』가 설공찬과 설초희 남매에 집중한 반면, 이서영 작가의 『다시 쓰는 설공찬전』은 이들의 영혼이 빙의되는 설공침에게 집중한다. 『다시 쓰는 설공찬이』에서 설공침이 다소 단순한 악역으로 나왔던 것과 달리(이 소설에서도 나중에는 설공침이 자신의 잘못을 뉘우치지만) 『다시 쓰는 설공찬전』에서 설공침은 악하다기보다는 아무것에도 의욕이 없어 아무렇게나 사는 인물로 묘사된다. 설공찬과 설공심(『다시 쓰는 설공찬전』에서는 설공찬의 누이가 '설공심'이라는 이름으로 설정되어 있다) 남매의 빙의는 설공침이 삶의 소중함을 깨닫게 하는 계기가 된다. 빙의가 풀리고 나서 그는 자신의 몸을 자신의 뜻대로 움직일 수 있는 것이 얼마나 감사하고 소중한 일인지 깨닫고, 설공찬의 저승 이야기를 들으면서 살아 있을 때 최선을 다해 살아가야 한다는 것을 깨닫는다. 원작과 『다시 쓰는 설공찬이』에서 설공찬이 저승 이야기를 할 수 있는 통로로만 활용되었던 설공침을, 빙의를 통해 새로운 삶을 살게 되는 주인공으로 해석한 것이 신선하다. 빙의가 풀린 뒤 설공찬이 오랜만에 제정신으로 느끼는 자신의 몸과, 그 몸에 닿는 부드러운 이불 같은 작은 것들에서 살아 있다는 것을 실감하고 새롭게 살아갈 것을 다짐하는 심리 묘사가 특히 섬세하다. 


  하지만 서사 전개에서는 역시 중견 작가인 김재석 작가가 더 노련하다는 느낌이 든다. 이서영 작가가 원작의 서사를 그대로 풀어 쓰면서 설공찬과 설공심, 설공찬은 이런 사람이라고 직접 설명하는 반면, 김재석 작가는 원작에 없는 사건들을 만들어내 설공찬, 설초희 남매의 서사를 엮어나가고 둘의 말과 행동을 통해 둘이 어떤 인물인지 보여준다. 이서영 작가는 살구나무에 내려앉는 공심 혼령의 옷자락에서 살구꽃이 피어나는 모습을 무시무시하면서도 아름다운 장면으로 완성하지만, 설공침에게 빙의된 설공찬이 자기 정체를 드러내고 설공침의 아버지 설충수를 농락하는 장면에서의 공포감은 김재석 작가가 더욱 더 스릴 있게 그려낸다. 모든 인물이 표준어를 쓰는『다시 쓰는 설공찬이』와 달리『다시 쓰는 설공찬전』은 순창 토박이 주민의 감수를 받아서 순창 방언을 쓴 정성이 돋보이지만, 설공찬 남매, 설공침은 순창 방언을 쓰는데 주인공들의 부모 세대는 표준어를 쓰고 있어 일관성이 없다는 느낌이 들었다(부모 세대가 한양에서 살다 온 것도 아니다. 설씨 일가는 몇 대째 순창에서 살아 왔으니 순창 방언을 쓰려면 부모 세대도 쓰는 것으로 설정하는 것이 더 적절할 것이다). 내가 드라마를 만든다면 김재석 작가 버전을 원작으로 하거나 두 작가 버전을 모두 활용하되 이서영 작가 버전에서는 설공침의 내면 부분을 가져올 것이다. 


  관에서 시작한 프로젝트답게 두 책의 만듦새 모두 투박하다. 문제집만큼 큰 판형에 동화책만큼 여백이 넓고 글씨가 커 소설이라기보다는 동화책 같은 느낌이다. 『다시 쓰는 설공찬전』은 서문에 영어 번역을 병기했는데, 영어 실력이 좋지 않은 나도 서문의 영문 번역이 딱딱한 직역이라고 느껴졌다. 그리고 영문 텍스트에서 단행본 제목은 보통 이탤릭체로 표기하는데 영문 버전에서도 단행본 제목을 중괄호([]) 안에 넣어 영문 텍스트처럼 느껴지지 않았다. 좀 더 경험이 많은 출판사에 맡겨서 세련된 편집과 디자인으로 나왔으면 좋았을 것이다. 그래도 이런 고전의 재해석 자체는 의미가 있다고 생각하고, 재해석 작품들이 양적으로도 많이 늘어나고 질적으로도 더 발전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