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쉰 독본 - 〈아Q정전〉부터 〈희망〉까지, 루쉰 소설·산문집
루쉰 지음, 이욱연 옮김 / 휴머니스트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루쉰,고향」스포일러 포함


희망이란 원래 있다고도 할 수 없고 없다고도 할 수 없다그것은 지상의 길과 같다원래 지상에는 길이 없었다가는 사람이 많아지면 길이 되는 것이다. -루쉰고향

 

  좋아하는 드라마의 명대사가 루쉰의 이 구절에서 따온 것이라는 것을 알게 되고 나서부터 이 구절을 좋아했다지금까지도 책상 앞에 써 붙여 놓았을 정도로 좋아하지만 이 구절이 루쉰의 단편 소설 고향속 한 구절이라는 것을 알 뿐어떤 맥락에서 나온 말인지는 몰랐었다십여 년이 지난 지금 고향을 처음으로 읽게 되면서 내가 사랑하는 이 구절이 어떤 맥락에서 나온 말인지 알게 되었다.


  「고향의 주인공은 집안 형편이 어려워져 대대로 살아오던 고향집을 다른 사람에게 팔게 되었다고향집을 처분하러 20여 년 만에 돌아온 고향은 어린 시절의 정겨운 모습이 아니었다활기라고는 찾아볼 수 없이 황량하고 쓸쓸했다기와 사이에는 풀이 돋아나 있을 정도로 고향집은 낡아버렸고일가친척들은 이미 다른 곳으로 떠나 늙은 어머니와 어린 조카만 남아 있다어린 시절 함께 놀던 친구는 흉년과 가혹한 세금에 시달리며 겉늙어 예전의 생기를 모두 잃어버렸다위의 구절은 주인공이 어머니조카와 타향으로 떠나는 배에서 희망에 대해 생각하다 하는 말로이 소설의 마지막 구절이다.

 

  이렇게 결코 희망적이지 않은 상황에서 주인공은 어떻게 희망을 이야기할 수 있을까주인공은 조카를 비롯한 미래 세대들에게서 희망을 본다자신과 고향 친구는 성인이 되어 재회했을 때 계급 차이(주인공은 지주의 아들이고 친구는 소작농의 아들이다)로 거리감을 느끼게 되었지만아직 어리고 순수한 조카와 친구의 아들은 계급 차이는 신경 쓰지 않고 스스럼없이 서로를 대한다주인공은 그 아이들이 자신과 친구가 살아보지 못한 새로운 세상을 살기를 바란다고향의 주인공처럼 루쉰은 지금 세대보다 미래의 세대가지금의 세상보다 미래의 세상이 더 발전하고 진화하기를 바랐다.

 

  그는 중국인들이 그토록 자랑스러워했던 역사가 노예가 되고 싶어도 되지 못한 시대와 노예가 되어 잠시 안정적으로 살았던 시대가 교차해 온 역사였을 뿐이라고 말한다이민족 정복자나 권력자가 사람들을 노예로도 삼지 않고 개나 소를 죽이듯이 쉽게 죽였던 시대와노예가 되어 착취당하더라도 그나마 목숨은 부지했던 시대루쉰은 권력자와 부자들을 위해 힘없는 사람들가난한 사람들이 희생되어 왔던 중국의 역사를 인육의 잔치라고까지 한다그의 또 다른 단편 소설 광인일기에서 피해망상증에 걸린 주인공은 주변 사람들이 사람을 잡아먹는다고 생각하고 공포에 사로잡히는데그저 정신병자의 망상이라고 치부하기에는 일말의 진실이 들어 있다실제로 인육을 먹는 것은 아니라 해도 사람이 자신을 위해 동족을 해치는 세상은 수천 년 동안 계속되어 왔으니.


  「광인일기의 주인공이 미쳐 있는 동안 쓴 일기는 식인해 보지 않은 아이가 혹시 아직도 있을까아이들을 구하라는 구절로 끝난다루쉰은 아무도 사람을 잡아먹지 않는 새로운 시대를 꿈꾸었고그 시대를 만드는 것이 청년들의 사명이라고 말한다그는 청년들이 인육의 잔치판을 치워버리고 생존하고 발전하기를 바란다자신이 길을 안다고 그럴 듯한 간판만 내세우는 자칭 지도자들을 따르기보다는친구들을 찾고 그들과 단결해 생존할 수 있는 방향으로 함께 나아가는 것이 낫다고 말한다근대 이전의 낡은 관습과 근대의 새로운 사상이 서로 충돌하고외세의 간섭과 침략이 계속되는 혼란스러운 당시의 중국 사회에서그는 자신조차 어떤 길을 가야 할지 모르겠다고 솔직히 털어놓으며 청년들 스스로 길을 찾아가기를 바랐다.


  100여 년 전 중국 작가 루쉰이 동포들에게 외쳤던 이 이야기들이 왜 시간과 국경을 뛰어넘어 지금의 우리에게도 생생하게 다가오는 걸까죽임당하거나 노예가 되어 착취당해 왔던 식인의 역사는 중국뿐만 아니라 우리에게도 계속되고 있는 역사이기 때문이다지금의 우리 중 많은 사람들이 을의 위치에서 착취당하거나 을이 될 기회조차 없어 내일의 생계를 걱정한다수많은 사람들이 청년들의 멘토를 자처하지만 아프니까 청춘이다’ 같은 공허한 소리만 늘어놓거나 근거 없이 희망을 이야기할 뿐이다오히려 자신은 누군가에게 길을 가르쳐주고 이끌어줄 입장이 못 된다고 말하는 루쉰이 더 믿음직스럽게 느껴진다그저 다 잘 될 거라는 말보다희망이 자신이 만들어낸 허상이 아닐지 의심하면서도 끝까지 절망과 싸우려 했던 루쉰의 절박함이 더 와 닿는다.

 

  루쉰이 끝까지 놓지 못한 희망은 이루어졌을까그가 자신이 살던 시대의 어두움을 뚫고 희망을 보려던 그때로부터 100여 년 뒤의 미래 세상지금 우리가 살아가고 있는 세상은 루쉰이 살던 세상보다 나아졌을까사람이 사람을 잡아먹는 세상은 지금도 계속되니 어떤 면에서는 정체되어 있고그의 조국에서는 이제 그처럼 쓴소리를 하는 사람은 발을 붙일 수 없으니 어떤 면에서는 더 후퇴했다고 볼 수도 있을 것이다하지만 세상을 더 발전하지 못하게 하는 것들을 신랄하게 비판하며 자기 자신조차 냉정하게 평가하는 그의 비판 정신은 숫돌처럼 우리의 정신을 날카롭게 만든다헛된 희망이 사람들을 더 고통스럽게 할까 경계하면서도청년들이 자신이 겪었던 공허함과 적막함을 다시 느끼지 않도록 위로하려는 그의 따뜻한 마음은 100여 년 뒤의 우리에게도 와 닿는다희망이 있다고 섣불리 낙관하지도없다고 섣불리 비관하지도 않고 다른 이들과 손을 잡고 함께 희망을 만들어 가길 바랐던 마음고향의 마지막 구절을 늘 보면서도 알지 못했던 그 마음을 이제야 알게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