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성스러운 한 끼 - 아라비아의 디저트부터 산사의 국수까지, 맛과 믿음의 음식인문학
박경은 지음 / 서해문집 / 2020년 5월
평점 :
개신교인이지만 내 종교가 그렇게 내 식생활에 영향을 많이 미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사순절(四旬節, Lent, 예수가 십자가에 못박혀 죽기 전까지의 40일. 기독교인들은 이 시기 동안 예수의 고난을 기억하기 위해 속죄와 경건의 시간을 보낸다.)에 금식도 잘 하지 않는 나일론 신자여서 그렇긴 하지만. 부활절에 예수의 부활을 기념하기 위해 삶은 달걀을 먹는 것 말고는 내 식생활과 내 종교가 관련될 일은 평소에 거의 없다. 하지만 육식을 할 수 없는 불교 승려들이나 돼지고기를 먹을 수 없는 무슬림들처럼 식생활에서 종교의 영향을 크게 받는 사람들이 전 세계에서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나와 다른 종교, 다른 문화권인 사람들은 종교 때문에 어떤 것을 먹을 수 있고 어떤 것을 먹을 수 없을까. 종교 덕분에 어떤 음식 문화를 가지게 되었을까. 이런 호기심 때문에 이 책을 읽게 되었다.
이 책에는 다양한 종교와 다양한 문화권의 음식 문화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들이 많이 실려 있다. 중동 문화에 관심이 많고 이태원의 터키 제과점에서 파는 달콤한 디저트를 좋아하는 나에게는, 중동 이슬람 국가 사람들이 강한 단맛을 좋아하는 이유가 특히 흥미로웠다. 중동의 더위를 이겨내고 금식 기간인 라마단을 지낸 뒤 기력을 빨리 회복하는 데는 단 음식이 도움이 되기 때문에, 중동의 디저트들은 단맛이 매우 강한 것이 대부분이다. 그런데 중동의 무슬림들이 단맛을 좋아하는 데는 이런 실용적인 이유뿐만 아니라 종교적인 이유도 있다고 한다. 무슬림들은 맛있는 식사 등 현세에서 즐기는 쾌락이 내세의 낙원에서 누리는 기쁨의 예시라고 여긴다. 화려하고 다양한 디저트는 낙원의 기쁨이 얼마나 큰지 확인해 주는 증거다. 디저트를 즐기는 것이 믿음의 증거라는 내용은 코란에도 나와 있다고 한다. 이렇게 한 종교가 어떻게 그 종교를 믿는 사람들의 음식 문화에 영향을 미쳤는지 하나하나 알아가는 것이 즐거웠다. 지구 반대편 먼 곳에 대한 호기심과 지적 욕구가 채워져 갔다.
또한 기독교인인 나도 기독교가 사람들의 식생활과 음식 문화에 어떻게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해 무지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기독교와 관련된 음식 이야기 중 가장 흥미로운 이야기는 종교개혁에 버터가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15~16세기, 로마 가톨릭교회는 고기와 유제품이 성욕을 부추긴다고 여겨 성직자뿐만 아니라 일반 신자들에게까지 사순절과 기타 금식 기간에 버터를 먹지 못하게 했다. 문제는 1년 중 버터를 먹으면 안 되는 기간이 거의 반 년은 됐다는 것이다. 그나마 올리브가 많이 나는 이탈리아, 스페인 등 남부 유럽에서는 버터보다 올리브 오일을 즐겼기에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육류와 버터를 주된 식량으로 삼았던 프랑스, 독일 등 중북부 유럽 사람들에게는 너무나 가혹한 처사였다. 왕족들과 귀족들, 부자들은 돈을 주고 사순절과 금식 기간에도 버터를 섭취할 수 있는 권리를 샀고, 교회는 버터 섭취권을 판 돈으로 화려한 성당 건물을 지었다. 반면 가난한 사람들은 금식 기간에 정해진 규정을 어겼다가 벌금을 내거나 채찍을 맞거나 투옥되기까지 했다. 마르틴 루터는 1520년 「독일 지역의 그리스도교인들에게 보내는 공개 서한」에서 금식이 누구에게나 공평하게 적용되지 않는 것을 비판했다. 종교개혁 당시 로마 가톨릭교회에서 이탈한 나라 중 대부분이 버터를 주된 식량으로 삼았던 북부, 중부 유럽 국가들이었다. 이렇게 버터는 종교 개혁의 불길을 더욱 거세게 만들었으며, 지금도 독일, 네덜란드, 스위스 등 버터를 많이 먹는 지역에서는 개신교의 세가 강하다. 주 안에서는 다 같은 형제 자매라고 인간의 평등함을 주장하는 종교가, 기본적인 욕구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불평등에 일조했다는 것이 씁쓸하게 남는다. 그리고 종교만이 일방적으로 인간의 식생활에 영향을 미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의 식생활 또한 종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사건이라고 할 수 있다.
본문에 가득 실려 있는 선명하고 화려한 음식 사진들은 보는 즐거움을 더해준다. 텍스트가 그 음식에 얽힌 교리나 문화를 설명하고 그 음식의 맛을 설명하고 있으면, 이미지는 그 옆에서 실제로 그 음식이 어떤 모습인지 보여주면서 낯선 문화의 낯선 음식들이 독자들에게 생생하게 와 닿게 한다.
낯섦을 설렘으로 느끼는 사람도 있지만 많은 경우 낯섦은 거부감으로 이어진다. 저자는 자신과 다른 종교, 문화를 가진 상대가 무엇을 먹는지 또는 먹지 않는지에 대해 조롱하고 공격하는 경우가 너무나 많다고 이야기한다. 그 낯섦이 배척이 되고 혐오로 번지는 상황이 너무나 많기에 이 책이 서로의 낯섦을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다고 저자는 말한다. 이 책 속 다양한 종교와 문화의 음식 문화가 주는 낯섦이 나와 다른 것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과 혐오가 아닌, 나를 넘어선 더 넓은 세상을 만나는 설렘으로 이어졌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