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집자로 산다는 것
김학원.정은숙.강주헌 외 지음 / 한국출판마케팅연구소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은 편집자가 되고 싶은데 어느 쪽으로도 길이 막혀 있는 것 같다. 주변에 조언을 구할 지인이 아예 없는 건 아니지만, 그 사람들에게도 각자의 삶이 있으니 마냥 붙잡고 물어볼 수만은 없다. 코로나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사정도 있어 편집과 관련된 강의를 듣는 것도 쉽지 않다. 혼자 이것저것 찾아보긴 하는데 뭔가 부족한 것 같다. 이런 내게 좋은 나침반이 되어준 책이 있다. 그 책이 여섯 명의 출판계 사람들이 한 꼭지씩 맡아 쓴 책 『편집자로 산다는 것』이다. 


  오랫동안 편집자를 꿈꿔왔지만, 편집자가 되면 어떤 책을 만들고 싶냐는 질문을 받으면 구체적으로 대답하지 못했다. 그런 내게 휴머니스트 김학원 대표의 이 말이 지침이 되었다. "앞으로의 출판에서는 우선 자신의 운동장을 명확히 해야 합니다." 편집자로 일하다 보면 자리를 잡을 때까지 다양한 분야의 책들을 만들 수밖에 없다. 하지만 때가 오면 자신의 분야와 방향을 정해야 한다고 김학원 대표는 말한다. 그런데 어느 출판사나 인문서를 만든다고 하면서 인문서 안에서도 어떤 분야를 전문으로 할 것인지, 그 분야에서 무엇을 하고 싶은 것인지 전문성도 없고 차별성도 없고 비전도 없다고 한다. 


  나는 역사와 미술사를 공부했고 역사와 미술사를 전문으로 하는 편집자가 되고 싶다. 역사책, 미술사 책 편집의 전문가가 되려면 어떤 일을 해야 할까? 김학원 대표는 역사 전문 출판사를 만들 때 역사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단행본을 냈던 저자 수십 명을 만났다고 한다. 『역사비평』, 『역사산책』  같은 역사학 학술지에 발표된 글들을 참고해서 역사 분야의 주요 저자들, 핵심 학자들과 몇 개월 동안 계속 회의를 했다고 한다. 한 사람의 편집자가 10년 넘게 학계나 주변의 다양한 필자들을 만나고 소통하면서 역사책의 방향, 역사 대중화의 방향에 대해 의견을 주고받으며 관계를 쌓아간다면, 그 자체로 역사 분야의 인적 네트워크를 만들 수 있다고 한다. 내가 그런 편집자가 된다는 것은 지금 당장 너무 어려운 일로 보이지만, 지금부터라도 최근 나온 학술지 한 권씩이라도 읽어보고 나를 가르쳐 주셨던 교수님들이 쓰신 논문과 책들을 찾아보는 것으로 시작할 수 있지 않을까? 책을 읽으면서 생각을 하다 보니 지금 내가 할 수 있는 일이 조금씩 보였다. 


  미술사 책을 만들려면 어떤 것들을 염두에 두어야 하고, 어떤 것들을 유의해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정민영 아트북스 대표의 글에서 배웠다. 나를 가르쳐 주셨던 미술사 교수님들 중 한 분이 "요새는 사람들이 작품 자체보다 작품의 배경지식에 더 관심을 가진다"고 한탄하셨고, 나도 교양 미술사 책이나 국내 유명 전시들의 도슨트 해설이 작품 자체보다는 배경지식에 더 치중해 있다고 느꼈다. 그래서 미술 작품 자체에 집중하는 미술사 책을 만들겠다고 늘 생각하고 있었다. 그런데 정민영 대표는 독자들에게는 화가들의 에피소드, 저자 자신의 에피소드가 미술에 관심을 갖게 하는 통로가 되며, 교양 미술사 책에는 독자들을 끌어당길 수 있는 예능감이 있어야 한다고 한다. 앞에서 김학원 대표가 말했듯이 대중서, 교양서에서도 깊이가 있고 기본이 탄탄해야 하지만 독자들을 끌어당기는 양념 또한 필요하다. 이 둘의 균형을 잘 잡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책에 들어가는 작품 도판 이미지의 저작권 문제와 화질 문제, 도판의 배치 등에 대한 실용적인 팁들도 많았다. 딱 내가 알고 싶었던 분야에 대한 특강을 들은 느낌이라 반갑고 기뻤다. 


  전문성 못지않게 편집자에게 중요한 것은 '팔리는 책'을 만드는 것, 즉 책의 상품성이다. 내게는 베스트셀러여도 내 기준을 충족시키지 못하면 안중에도 두지 않는 경향이 있는데, 팔리는 책을 만들어야 하는 편집자로서는 바람직하지 않은 태도다. 그런 내게 "책 또한 돈을 벌기 위해 만드는 상품이라는 것을 잊지 말라"는 강주헌 번역가의 말은 따끔한 일침이었다. 좋은 책을 쓰는 저자에게 출판의 기회를 주기 위해서라도 독자들의 욕구에 부응하는 책을 찾아내는 것이 기획자의 책임이고 의무라는 그의 말을 듣고, 막연히 '좋은 원고면 좋은 책이 되고 독자들도 알아주겠지'라고만 생각한 건 아닌가 반성했다. 팔리는 책을 만들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공급자(편집자)가 생각하는 좋은 책과 수요자(독자)가 생각하는 좋은 책의 간극을 좁히고, 수요자에게 책의 존재를 잘 전달해야 한다, 내가 가진 비교우위가 무엇인지 판단하는 것이 경쟁력 확보의 시작이라는 이홍 리더스북 대표의 이야기가 방향을 제시해 주었다. 물론 큰 방향을 제시해 준 것이고 구체적으로 어떤 방법을 선택하고 어떤 방향으로 가야 할지는 내 몫이다. 


  읽으면 읽을수록 편집자로 산다는 것은 참 어려운 길이라고 느껴졌다. 편집자로 살기 위해 갖추어야 하고 노력해야 할 것은 너무 많다. 평소에도 나 자신을 계속 갈고 닦아야 한다는 게 숨이 막히기도 하다. 그런데 이렇게 노력한다 해도 출판계의 현실은 너무 가혹하다. 노는 거 좋아하고 어려운 걸 견뎌내지 못하는 내가 잘 해낼 수 있을까? 그저 내게 스승이 되어준 이 책 속의 가르침들을 하나씩 내 것으로 만들며 실천해 갈 수밖에 없다. 좋은 편집자라는 길고도 막막한 길에서 이 책은 좋은 나침반이 되어 주었다. 

#출판,#출판편집,#편집자,#출판편집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