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슬람 미술 Art & Ideas 11
조너선 블룸 외 지음, 강주헌 옮김 / 한길아트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트레스를 받을 때는 멀고 낯선 나라의 이야기가 담긴 책, 예쁜 이미지가 많이 실린 책을 읽고 싶어진다. 도서관에서 그런 책을 찾다 문득 몇 년 전에 읽었던 『이슬람 미술』이 떠올랐다. 이슬람교가 시작되었을 때부터 근대까지 이슬람 미술사 전체를 훑어보는, 두껍고 사진이 많았던 책. 그때는 호기심에 읽었다가 생각보다 지루해 꾸역꾸역 읽었는데, 그때보다 공부 양이 많이 쌓였고 딱딱한 책에 대한 인내심도 더 많아진 지금이라면 더 재미있게 읽을 수 있지 않을까 싶었다.

확실히 몇 년 전보다는 재미있게 읽혔다. 더 이상 역사와 미술사를 전공 과목으로 공부하지 않게 된 이후로 역사와 미술사 공부가 얼마나 즐거웠는지 깨달았으니까. 이 책은 미술사와 그 정치적, 사회적 배경이 되는 역사를 잘 설명하고 있고 그렇게 어렵지도 않았다. 하지만 서술이 딱딱하다는 평에는 공감했다. 알함브라 궁전의 아름다움을 묘사하는 부분처럼("햇살이 볼트 천장의 드럼에 설치된 창문으로 스며들 때 생기는 그림자의 움직임은 별이 총총한 하늘이 회전하는 듯한 효과를 자아낸다.") 서정적인 문장들도 종종 보이지만, 대부분은 사실 그 자체만 나열하는 서술이라 종종 지루하게 느껴지긴 했다. 하지만 그만큼 정보량이 많다. 이슬람 미술에 대해 이렇게 풍부한 내용을 담은 책이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없으니 정보량이 많은 건 분명히 장점이다.


13세기의 서예가 야쿠트 알 무스타심이 필사한 쿠란. 16세기 중반 오스만 제국(지금의 터키)에서 이 쿠란을 복원했다.

이미지 출처: https://www.donttakepictures.com/dtp-blog/2016/3/7/bookmarks-islamic-arts-museum-of-malaysias-quran-collection


딱딱한 서술에 지루해지다가도, 페이지를 넘길 때마다 나오는 아름다운 이슬람 미술 작품들에 마음을 사로잡힌다. 이슬람 문화권 사람들은 책을 신의 계시가 담긴 것, 문화적으로 중요한 것으로 보았기 때문에 책 자체를 예술 작품으로 만들었다. 각지게 쓰거나 물 흐르듯이 부드럽게 흘려쓰거나, 굵기를 일정하게 하거나 강약을 주는 등, 글의 목적과 성격에 맞추어 다양하게 써내려간 아랍 문자들은 그 자체로 예술이다. 거기에 각 장의 제목, 본문의 첫머리, 한 문장 한 문장이 끝나는 곳, 모음 부호까지 금박과 은박, 화려한 색색의 물감들로 화려하게 장식했다.


비흐자드, <유수프의 유혹>, 1488. 유수프(요셉의 이슬람식 발음)가 이집트 노예로 지내던 시절, 주인 보디발의 아내가 유혹해 오자 도망치는 모습을 그린 것이다.


책을 더욱 아름답게 만들어주는 건 삽화로 실린 세밀화들이다. 옷과 머리 모양만 바꾸면 구별할 수 없을 정도로 단순하고 전형적으로 그려진 인물들과 달리, 그들이 입은 옷과 그들을 둘러싼 배경은 더 없이 섬세하게 그려져 있다. 스크린톤 없이 어떻게 저렇게 자잘한 무늬를 다 그려냈을까, 어떻게 저런 색감을 만들어냈을까 신기하다. 각각의 색들이 보석처럼 빛난다. 



아르다빌의 카펫, 이란, 1539~1540. 가로 10m, 세로 5m에 달하며 장식매듭이 수천만 개나 되는 정교한 작품이다. 이미지 출처: https://ardabilcarpetanalysis.wordpress.com/2017/11/16/formal-and-contextual-analysis-of-the-ardabil-carpet/ 이슬람 문화권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카펫. 수 세기 동안 직물은 이슬람 경제의 근간이었고 경제적으로나 예술적으로나 중시되었다. 이 책에도 이슬람 직물들의 도판이 많이 실려 있는데, 그 중에서도 카펫은 다른 문화권의 것들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을 만큼 정교하고 화려하다. 길이가 10m가 넘는데다 장식매듭이 수천만 개나 된다니 얼마나 정교한지 상상이 되지 않는다.


샤 자한의 백옥으로 만든 포도주잔, 인도, 1656~1657. 조롱박 형태는 중국에서, 염소 머리 모양 손잡이는 유럽에서 영향을 받은 것이다. 무굴 제국은 실크로드 도시인 호탄이나 중국에서 옥을 수입해 정교한 옥 공예품을 만들었다. 이미지 출처: https://www.pinterest.co.kr/pin/335940453438363473/ 우아한 공예품들도 눈길을 끈다. 대부분 여백이라고는 찾아볼 수 없을 정도로 화려한 무늬가 새겨진 공예품들이지만, 샤 자한의 백옥 포도주잔은 간결하면서 단아한 아름다움을 보여준다. 많지 않은 선으로도 잔의 우아한 형태를 만들어냈고, 티 없는 하얀색이 깨끗한 느낌을 더한다. 꼭 필요한 형태와 선만으로 우아함을 만들어낸 장인의 솜씨가 감탄스럽다.


이스파한의 샤 모스크, 이란, 1611~1616.

이미지 출처: https://www.anciens-stmarc-lyon.fr/vie-de-lassociation/photos-iran/ispahan-la-mosquee-du-shah/image_view_fullscreen 

예배를 드리는 모스크와 군주들이 생활하고 정무를 보는 궁전, 군주와 그의 가족들이 묻힌 영묘는 처음에는 단순한 모습이었지만, 필요에 따라, 각 지역의 특성에 따라 독특한 건축 양식이 발전하게 되었다. 기독교의 성당에서는 부차적인 것으로 여겨졌던 장식들이 이슬람교의 모스크와 궁전, 영묘에서는 주된 요소로 사용된다. 돔과 주변의 미나레트(첨탑), 뽀족 아치가 만들어내는 우아한 선과 건물 표면을 뒤덮고 있는 화려한 아라베스크 무늬가 어우러져 이슬람 문화권만의 독특한 아름다움을 만들어낸다. 다시 읽는 책인데도 새삼 느꼈다. 세상은 넓고 아름다운 것은 많구나. 그리고 내가 잘 모르는 역사와 미술사가 너무 많구나. 고등학생 때 공부한 세계사에서도 이슬람권의 역사가 나왔는데 까맣게 잊어버렸다. 우리와 가까운 중국, 일본사나 근대에 들어 세계사를 주도한 서구의 역사보다 세계사 교과서에서 비중도 훨씬 적었고, 고등학생 때 이후로 접할 일도 거의 없었으니까. 대학교에서도 이슬람 역사만 따로 공부하는 과목은 없었고. 또한 서양미술사를 다룬 책은 정말 많은데 이슬람 미술만을 다룬 한국어 책은 몇 권 되지 않는다. 이 책이 출간되고 17년이 지났는데도 같은 주제를 다루었거나 최근의 연구 동향을 반영해서 업데이트한 책이 거의 없다시피하다. 우리가 책을 통해 접하는 세상도 좀 더 넓어졌으면 좋겠다.


* 책에 실린 작품 사진들은 저작권 때문에 사용하기 어려워 책에 실린 작품들을 검색해 찾은 이미지로 대체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