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라색 히비스커스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 지음, 황가한 옮김 / 민음사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나는 항상 낯선 나라의 이야기가 궁금했다. 바로 옆 나라들의 이야기나 가장 흔하게 보고 듣는 영미권의 이야기가 아니라 더 먼 곳, 더 낯선 곳의 이야기들. 그래서 읽을 소설을 찾다 눈에 띈 것이 나이지리아의 작가 치마만다 응고지 아디치에의 소설 『보라색 히비스커스』였다. 


이 책을 사기 전 인터넷 서점의 미리보기를 읽을 때부터 내 마음을 사로잡은 건 나이지리아의 낯선 자연과 문화, 풍속이었다. 주인공네 집 정원에 피어 있는 온갖 낯선 식물들, 재료부터 낯설어 무슨 맛일지 상상도 안 되는 나이지리아 전통 음식들, 주인공의 할아버지와 마을 사람들이 치르는 나이지리아 전통 종교의식. 이보어(나이지리아의 주요 언어 중 하나) 단어들이 대화 중간 중간에 번역되지 않은 채로 끼어 있어 낯선 느낌이 더 강해졌다. 


하지만 깊이 없는 이해 없이 낯선 것들의 매력만 즐기는 데서 멈추고 싶지 않았다. 이 책에서 깊은 이해와 공감을 이끌어낸 건 낯익은 이야기였다. 주인공들이 겪는 가부장제, 유일신교, 독재정권의 억압은 우리가 겪었거나 지금 겪고 있는 일들이다. 왜 지금 여기에서 낯익은 이야기를 찾지 않고 먼 나이지리아에서 낯익은 이야기를 찾느냐고 한다면, 나는 더 넓은 세상의 이야기가 궁금하고, 그 사람들이 우리와 다르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고 동질감을 느끼고 싶기 때문이다. 


주인공 캄빌리와 오빠 자자는 가부장제, 유일신교, 독재정권이라는 3중의 억압을 겪고 있었지만 직접적으로 그들을 속박하는 것은 가부장제와 유일신교였다. 가부장제와 유일신교의 권위로 아버지가 그들의 삶을 좌지우지했기 때문이다. 남들은 부유한데다 정의로운 민주화 투사인 아버지를 존경하고, 그런 아버지의 자식으로 태어난 두 남매를 부러워한다. 그러나 집안에서 아버지는 가장의 권위를 내세우며 아내와 자식들에게 자신의 규칙과 가톨릭 신앙을 강요하는 폭군이다. 아내와 자식들이 자신의 뜻을 조금이라도 거스르면 아버지는 무자비하게 그들을 폭행한다. 그러나 오랜 세월 아버지의 규율과 통제에 얽매어 있었던 두 남매는 그것이 폭력이고 잘못된 행동이라는 것조차 자각하지 못했다. 


그런 두 남매가 자신들의 억압적인 상황을 깨닫고 변화하기 시작하게 한 것은 이페오마 고모였다. 이페오마 고모는 국립대학교에서 교수로 일하고 있는 지식인이고, 가부장제와 유일신교, 독재정권의 폭력과 억압을 날카롭게 비판한다. 자식들이 자신을 거역하는 것을 절대 용납하지 않는 아버지와 대조적으로, 이페오마 고모는 항상 자기 아이들의 의사를 존중하고 아이들이 자유롭게 행동하게 한다. 이페오마 고모 덕분에 방학 동안 고모 댁에 머물던 캄빌리 남매는 스스로 생각하고, 생각한 대로 말하는 것을 점차 두려워하지 않게 된다. 아버지의 억압과 폭력으로 숨 막히게 만드는 이 소설에서 이페오마 고모는 두 남매뿐 아니라 독자들에게도 숨 쉴 틈을 만들어준다. 


고모 덕분에 변화한 두 남매가 아버지에게 반항하고 스스로 자유를 찾길 바랐던 내 기대를 저버리고, 이 소설은 아버지의 갑작스러운 죽음으로 끝을 맺는다. 아버지의 권위에 흠집이 가고 무너지기도 전에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아버지는 죽고 나서도 두 남매에게 어두운 그림자를 남긴다. 군사 정권의 원수도 갑작스럽게 세상을 떠나고 새로운 정권이 들어섰지만, 그렇다고 해서 나이지리아의 모든 문제가 갑자기 해결되지는 않을 것이다. 부패와 불의, 억압이 가득한 나이지리아를 떠나 미국에 간 이페오마 고모네 가족도 인종차별과 가난에 시달릴 것이다. 실질적으로 문제들이 해결된 것도 아니고, 캄빌리가 눈에 띄는 성장을 한 것도 아니다. 하지만 두 남매의 마음속에는 “이페오마 고모의 실험적인 보라색 히비스커스처럼 느껴지는” “원하는 것이 될, 원하는 것을 할 자유.”가 주어졌다. 적어도 자유의 씨앗은 둘의 마음속에 뿌리를 내렸다. 진정한 자유는 마음속에서부터 시작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