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 이전의 건축, 공동성 - 사회와 인간에 지속하는 건축의 가치
김광현 지음 / 공간서가 / 2014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석사 무량수전 앞에 서 있는 스님. 저자는 새벽의 부석사를 바라보면서 모두가 그곳에서 느끼는 경건함, 경외감, 성스러움이 부석사의 공동성이라고 이야기한다. 사진 출처: http://www.outdoor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616


  이 책의 제목에서 낯선 단어가 눈에 띈다. ‘공동성’이란 대체 뭘까? 공동성은 어떤 장소와 공간에 대해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느끼는, 그 장소만의 가치, 그 장소를 그 장소답게 만드는 본질이다. ‘공동’이라는 말 때문에 공동성이 공동체의 성격을 말하는 것으로 생각될 수도 있지만, 공동성은 어느 한 공동체에 국한되어 있지 않고 공동체를 넘어 서로 다른 공동체에 속하는 사람들까지 이어준다. 예를 들자면, 새벽의 부석사에서 예불을 드리는 스님들부터 신도들, 답사하러 온 학생들, 여행 온 관광객들까지 모두가 느끼는 경외감, 성스러움, 경건함이 부석사만이 지니는 공동성이라고 할 수 있겠다. 이 공동성이 저자인 건축가 김광현 교수가 생각하는 건축의 본질이자 우리가 지켜가야 할 가치이다. 이 책에 실린 김광현 교수의 글들에서 일관성 있게 이야기되는 것은 ‘공동성의 건축을 실천하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이다.


이탈리아 베네치아의 산마르코 광장. 유럽 어느 도시에 가도 있는 광장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 서로 교류하려는 시민 공동의 의지가 담겨 있다. 사진 출처: https://www.pps.org/places/piazza-san-marco


  그가 생각하는 ‘공동성의 건축’은 어느 한 인간만이 아니라 모든 인간이 지니고 있는 공동의 의지, 질서, 감각이 무엇인지 묻고 그것을 탐구하는 건축이다. 유럽의 어느 도시에서나 찾아볼 수 있는 광장에는, 많은 사람들이 모여서 다른 사람을 만나고 교류하는 곳을 건축하려고 하는 시민 공동의 의지가 담겨 있다. 직장 어린이집은 직원의 아이들이 회사 모두의 아이들이라는 근본적인 가치에 회사 구성원들이 동의하고 공감했기에 건축된 것이다. 이렇게 모든 이들에게 속해 있는 인간의 본성, 가치에 대해 묻고, 그것을 건축으로 실천하는 것이 건축가의 임무라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  건축에서 인간 모두에게 속한 가치와 본질을 추구해야 한다는 저자의 주장이 현학적이거나 지나치게 이상적인 이야기로 들릴 수도 있다. 하지만 저자는 이상을 추구하면서도 지금 우리가 발붙이고 있는 현실을 직시한다. 그는 어떤 현학적인 수사나 허세도 거부하면서, ‘팩트 폭격’이라고 느껴질 정도로 지금 우리 건축이 품고 있는 문제들을 거침없이 폭로하고 신랄하게 비판한다. 건축학과를 지망하는 학생들은 하나 같이 “저는 어렸을 때부터 건축을 사랑했거든요.”라고 이야기하지만, 이런 태도는 지나치게 낭만적이고 자기중심적이라고 저자는 지적한다. 건축은 현실적으로 도전해야 하는 실천적 학문이다. 이런 본질을 ‘인문학’이나 ‘미학’이라는 포장지로 가려도 건축이 현실의 온갖 문제와 제약들과 부딪치며 실제로 사람들이 살아가는 환경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는 사실은 변함이 없다. 지나치게 낮은 설계대가, 건축 경기는 점점 나빠지는데 지금도 지나치게 많이 배출되고 있는 건축가들, 단결하지 못하고 각자의 이익이나 입장 차이 때문에 사분오열되는 건축협회, 시민들이 요구하는 바를 제대로 파악하지도 않고 가장 싼 값으로 공공건물을 만들려고 하는 공공기관들까지 건축가가 부딪쳐야 하는 현실은 첩첩산중이다.


  그러나 저자는 공동성의 건축을 향한 희망을 놓지 않는다. 건축가로서 앞으로 자신이 겪을 어려움을 잘 알고 있지만, 그래도 건축가가 되고 싶다는 학생에게 저자는 이야기한다. “이제 학교에 들어오게 되면 먼 훗날 내가 건축 작품을 한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끝날 일이 아니라, 그 작품을 넘어 이렇게 인간에 대한 깊은 애정과 그들의 생활에 바짝 다가서서 사람들의 삶의 ‘질’을 더 풍부해지도록 하는 것에 최종 목표를 두어라.” 그는 건축 안에 사회에 공간과 장소를 제공하고 사회 구성원들을 묶어주며 사회를 만들어내는 놀라운 힘이 있다고 믿는다. 건축을 사랑하고 가꾸며 건축을 설계하고 짓는 이들의 노력을 알면 나 자신의 삶이 풍부해지기에, 건축을 전공하지 않는 일반 국민들에게도 건축에 대한 기초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이 공동성의 건축으로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하려는 그의 꿈을, 건축가들뿐만 아니라 건축과 함께 살아가는 우리들이 기억해야 할 이유다.


* P. S. 이 책에 실린 글들 중에는 1990년대나 2000년대 초반에 쓰여진 글들도 많지만, 슬프게도 그 당시의 문제점들이 2010년대인 지금도 계속되고 있어, 그 문제점들에 대한 저자의 비판은 여전히 유효하다. 또한 저자는 글을 쓴 시점을 명시하고 그 이후에 일어난 일들에 대한 생각을 원래 글 뒤에 덧붙여, 책의 시의성을 떨어뜨리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