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 로숨의 유니버설 로봇
카렐 차페크 지음, 김희숙 옮김 / 모비딕 / 2015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스포일러 포함


 '로봇Robot'은 '노동, 부역'이라는 뜻의 체코어 '로보타Robota'에서 따온 말로, 체코의 작가 카렐 차페크Karel Capek가 그 개념을 만들어냈다.('로봇'이라는 신조어 자체는 카렐과 공동 창작을 하던 형 요제프가 제안했다.) 사람과 비슷한 인조 인간을 만들어낸다는 이야기는 차페크 이전부터도 있었지만, 과학의 힘으로 인조인간을 만들어 대량생산하고 판매한다는 발상, 현대적 의미의 인조인간은 차페크에게서 처음 나왔다. 그러니 로봇을 처음 등장시킨 그의 1920년 희곡『로봇』은 최초의 로봇 SF라고 할 수 있다. 


  차페크의『로봇』은 1921년 체코 프라하에서 초연되어 큰 반향을 일으켰고, 1923년에는 런던에서『로봇』 을 놓고 버나드 쇼와 G.K.체스터턴 등 당대의 유명 작가들이 공식 토론을 벌였다. 이들 중 대부분은 로봇에 초점을 맞추어 해석했다. 그러나 차페크 자신은 로봇보다 인간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면서 이 작품을 썼다고 밝혔다. 


 차페크에게 로봇은 생산성과 효율성만 따지느라 인간을 하나의 부품처럼 대하는 현대 사회를 비판하는 수단이었다. 그는 사람들이 빽빽이 들어선 전차를 타고 가다가 무표정한 승객들의 모습에서 로봇을 떠올리게 되었다고 한다. 승객들은 아무 생각 없이 출근을 하고 일을 한다. 회사는 노동자들을 인간으로서 배려하지 않고, 어떻게 하면 노동자를 더 싼 값에 부릴 수 있는지, 어떻게 하면 노동자의 생산량을 더 늘릴 수 있을지 고민한다. 극 중에서 로봇의 인권도 지켜야 한다고 말하는 여주인공 헬레나에게 '로숨 유니버설 공장(작품 속 로봇을 만들어내는 회사)'의 관리자들은 말한다. 로봇 덕분에 사람들은 더 싼 값에 빵을 사 먹을 수 있게 되었다고. 로봇은 인간이 아니니 임금을 주지 않아도 돼서, 로봇이 만드는 빵의 가격이 저렴해진 것이다.

이렇게 인류는 로봇의 노동 덕분에 식량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로숨 유니버설 공장의 사장 해리 도민은 로봇 덕분에 인간이 생계를 위한 노동에서 자유로워지는 세상을 꿈꾸었다. 노예들의 노동 덕분에 정치와 문학, 예술을 연구하고 토론하는 데만 몰두할 수 있었던 고대 그리스인들처럼, 인간이 고통스러운 노동에서 벗어나 자신이 하고 싶은 일만 하면서 여유롭고 즐겁게 살아가길 바랐다. 그러나 노동할 필요가 없어지면서 인간은 즐기는 것 외에 아무 것도 바라지 않게 되었고, 노동을 하면서 느끼는 보람도 의욕도 잃어버렸다. 더 이상 아이도 낳지 않게 되었다. 그 사이 헬레나의 요청으로 로봇 개발자 갈 박사는 자의식을 가진 로봇을 개발해내고, 로봇들은 인간의 종 노릇을 그만두고 인간의 주인이 되겠다고 생각한다. 


 결국 로봇들은 반란을 일으키고, 로숨 사의 건축 담당자 알퀴스트를 제외한 나머지 모든 인류를 절멸시킨다. 로봇을 이용해 신세계를 만들려고 했던 도민도, 로봇을 동정하고 그들의 권리를 찾아주려 했던 헬레나도 죽임을 당한다. 알퀴스트는 아직까지도 스스로 노동을 하는 인간이어서 유일하게 살려둔 것이다. 로봇들은 알퀴스트에게 자신들도 인간처럼 번식을 하고 싶다고 방법을 찾아보라고 하지만, 로봇의 설계도는 로봇의 대량생산을 두려워한 헬레나가 불태워버렸다. 알퀴스트는 로봇들을 해부하며 방법을 찾아보려 하지만, 과학자가 아니라 건축가인 그가 방법을 찾아낼 수 있을 리 없다. 그리고 자신을 제외한 모든 인간들이 죽어버렸으니 뭔가를 할 의욕도 없다. 그러나 상대방이 해부되는 것을 막기 위해 자신이 해부당하겠다며 서로 희생하려고 하는 두 로봇 프리무스와 헬레나(인간 헬레나에게서 이름을 따 왔다.)를 보고, 알퀴스트는 그들이 인간처럼 사랑한다는 것을 알게 된다. 알퀴스트는 그들을 풀어주면서 그들을 통해 생명이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 희망을 갖는다.


 두 로봇이 기계라면 알퀴스트는 두 로봇이 생명을 낳을 것이라는 기대를 하지 않았을 것이다. 하지만 흥미롭게도 이 작품 속 로봇들은 기계라기보다는 유기물들을 합성해서 만든 인조 생명에 가깝다. 도민은 로봇이 여러 부품을 조합해 만들어지지만 조립된 뒤 부품들 스스로가 자라나면서 비로소 완성된다고 설명했다. 그리고 로봇들을 해부하면 피가 나오고, 로봇들은 고통스러워한다. 기계라기보다는 인조인간이었기 때문에 헬레나가 더욱 더 그들을 인간처럼 여기고 도우려고 했을 것이다. 그들은 인간의 몸에서 태어나지 않았지만, 서로 사랑하면서 인간성을 얻게 되었다. 카렐 차페크가 이 최초의 로봇 SF에서 말하려고 한 것은 서로 사랑하고, 스스로 땀 흘려 일할 수 있는 것이 인간에게 인간성을 부여한다는 것이었다. 


 작품 자체를 보면 구성이 다소 엉성하다. 그리고 작품 속 로봇에 대한 발상들은 식상하게 여겨질 지도 모른다. 하지만 로봇에 대한 이후의 상상들은 이 작품에서 시작되었고, 인간성에 대한 고민을 던졌다는 것만으로도 큰 의의가 있다. 이제 작품에서처럼 로봇이 산업 현장에 투입되고 있다. 인간의 노동을 완전히 대체하는 단계는 아직 아니지만, 로봇과 인간이 공생하는 세상이 점점 다가오고 있다. 그리고 인간 복제도 시도되고 있다. 복제인간에게서 인간에게 필요한 장기들을 적출하는 상상을 하는 SF들도 나왔다. 로봇과 복제인간 등, 인간이 만들어낸 인간과 유사한 존재들을 우리가 어떻게 대해야 할지 고민해야 하는 시점이 올 것이다. 인간성에 대한 고민에서 더 나아가 인간 아닌 것들과의 공존에 대해 고민해야 하는 것이다. 차페크는 원래 의도했던 현대 사회 비판과 함께 미래에 대한 고민까지 제시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