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빛 혹은 그림자 - 호퍼의 그림에서 탄생한 빛과 어둠의 이야기
로런스 블록 외 지음, 로런스 블록 엮음, 이진 옮김 / 문학동네 / 2017년 9월
평점 :
* 스포일러 포함
도시의 외로운 사람들을 그렸던 미국의 화가 에드워드 호퍼. 그의 그림을 보면 그림 속 이야기들을 상상하게 된다. 이 사람들은 왜 이 자리에 이런 모습으로 있을까. 무슨 대화를 나누고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호퍼는 자신이 이야기를 전달하는 삽화가로 보이는 것을 싫어했고, 자신의 그림에서 이야기보다는 빛과 색채를 더 중시했다. 그럼에도 아내와 함께 그림 속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설정을 구체적으로 지어냈다니 호퍼 자신도 자신의 그림으로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싶다는 욕망에서 자유롭지는 못했던 것 같다.
그러니 이야기를 만드는 것이 직업인 소설가들은 오죽할까. 미국의 소설가 로런스 블록은 자신을 포함한 열일곱 명의 작가를 모아 '에드워드 호퍼의 그림을 보고 단편 소설 쓰기' 프로젝트에 나선다. 각자 그림 하나씩을 맡아 그 그림을 보고 상상한 이야기를 소설로 쓰는 것이다. 나 같이 평범한 사람도 호퍼의 그림을 보면 수십 가지 상상이 떠오르는데, 미국에서 나름대로 이름을 날리고 있는 프로 작가들이라면 얼마나 기발한 이야기를 만들어낼까 기대했다.
그러나 흥미롭고 기발한 이야기들은 그렇게 많지 않았다. 그 중에는 차라리 SSG 광고가 이 소설보다 그림과 더 상관이 있겠다 싶은 소설도 있었다. 호퍼의 작품은 지극히 일상적인 풍경인데도 이 단편집에는 냉전시대의 첩보전이나 도시 뒷골목의 범죄를 다룬 소설이 많았다. 호퍼의 그림에서 느껴지는 불길하고 어두운 느낌 때문일 것이다. 그런 소설 중에는 호퍼의 그림에서 상상해냈다는 것을 빼면 다른 추리소설이나 스릴러와 다를 게 없는 소설들이 여럿이었다.

에드워드 호퍼, <뉴욕의 방>, 1932.
그러나 범죄를 다룬 소설 중 스티븐 킹의 '음악의 방'은 간결하고 깔끔한 수작이었다. 스티븐 킹은 그림 속 권태로워 보이는 두 남녀에게서 범죄자 부부를 상상해냈다. 부부는 경제대공황 와중에 부유한 사람들을 납치해서 그들이 굶어죽을 때까지 피아노가 있는 방 벽장에 가둬두고 그들에게서 돈을 뜯어낸다. 그들에게 벽장에 갇힌 사람이 내는 비명은 소음에 불과하고, 자기들 바로 옆에서 사람이 죽어가는 것보다 자기들이 좋아하는 만화 주인공이 곤경에 처한 것이 더 끔찍한 일이다. 부부의 무심하고 일상적인 대화는 희생자의 처절한 몸부림과 아무렇지도 않게 공존한다. 음악의 방은 살기 위해 남을 희생시키는 것이 아무렇지도 않게 여겨지는 사회의 축소판이다.

에드워드 호퍼, <밤의 사무실>, 1940.
호퍼의 그림에는 어두운 그림자뿐만 아니라 권태로운 분위기가 감돈다. 그럼에도 호퍼의 그림에서 권태가 아닌 다른 감정들을 떠올린 소설들도 있다. 워런 무어의 '밤의 사무실'은 방황하는 사회 초년생의 감정을 그려 공감할 수 있었다. 부모님의 반대를 무릅쓰고 작은 고향 마을에서 뉴욕으로 올라온 페기. 처음 직장을 얻고 멋있는 상사에게 설렘을 느끼기도 하지만 어이없는 실수로 죽음을 맞는다. 부모님이 자신의 시신을 고향에 데려가 묻었는데도, 페기의 영혼은 고향에 머물지 않고 뉴욕을 자유로이 떠돌아 다니기로 선택한다. 죽은 뒤에도 여전히 자유를 갈망하고, 설렘을 느끼게 해주었던 상사에게 작은 보답을 하는 그녀의 모습이 애틋하게 느껴졌다. 나는 그녀와 달리 살아있지만 그녀가 느끼는 불안함과 답답함, 외로움, 갈망에 공감할 수 있다.

에드워드 호퍼, <호텔 방>, 1931.
그리고 크리스 넬스콧은 '정물화 1931'에서 '호텔 방'의 여인을 고독과 권태에 찌든 인물이 아닌, 회의하고 고민하면서도 행동하는 인물로 만들어냈다. 백인 여성인 주인공 러린은 어린 시절 언니의 거짓말 때문에 무고한 흑인 청년이 백인들에게 살해당하는 것을 목격했다. 언니도 죄책감 때문에 자살했다. 러린은 어른이 되어서 미국 전국을 떠돌아다니며 흑인들이 백인들에게 폭행당하거나 살해당하는 사건을 사진으로 찍고 고발하는 일을 한다. 분명 의로운 일을 하는데도 그녀는 백인이라는 특권이나 남편이라는 보호막 아래 숨어서 방관자가 됐던 것을 반성한다. 그리고 자신의 비겁함과 무력함에 절망한다. 그러나 직접 싸우는 사람이 되지는 못하지만 계속 어둠 속에 숨어서 빛 속으로 기록을 보내기로 다짐한다. 어린 시절에 구하지 못했던 그 청년, 그저 한 인간이 또 다른 인간을 대하듯 그녀를 친절하게 대했던 그 사람을 위해서. 그림 속 여인은 그림 속의 정물들과 다를 것 없이 무기력해 보이지만, 작가가 숨을 불어넣은 캐릭터 러린은 아무 것도 하지 않는 정물로 살기를 거부한다.

에드워드 호퍼, <바닷가 방>, 1951.
한편 다른 소설들과 다르게 그림 너머의 환상적인 세계를 상상하는 소설도 있다. 니컬러스 크리스토퍼는 호퍼의 '바닷가 방'을 소재로 한 소설 '바닷가 방'에서 바다를 향한 신비한 집과 그곳에 사는 신비한 사람의 이야기를 펼친다. 문을 열면 바로 바다가 펼쳐지는 비현실적인 방의 모습 자체가 많은 상상을 불러일으킨다. 어머니 쪽으로 바스크인(스페인 바스크 지역에 사는 소수민족)의 피를 이어받은 주인공 카먼은 어머니가 돌아가신 뒤 어린 시절 살던 바닷가 집으로 돌아와서 살게 된다. 그 집은 방의 위치와 숫자가 수시로 바뀌는 신비한 집이고, 수십 년 동안 그 집에서 일해 온 요리사 파비우스도 바스크인의 후예로, 속을 알 수 없는 신비한 인물이다. 카먼은 파비우스에게서 바스크인은 죽으면 양서류 동물이 되어 바다 속으로 들어가 1년 동안 더 살게 된다는 신비한 전설을 듣는다. 그리고 파비우스도 전설을 증명하듯 어디론가 사라진다. 영미권 작가가 썼는데도 라틴아메리카 작가들이 쓴 환상 소설 같이 느껴지는 작품이었다. 소설이 현실과 같을 수 없고, 소설에도 환상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나로서는 이 소설이 가장 매혹적이라고 느껴졌다. 바다를 향한 방 하나를 보고 그 너머의 세상을 보는 상상력, 멋지지 않은가.

에드워드 호퍼, <케이프 코드의 아침>, 1950.
이 소설집에 실린 18개의 그림 중 17개는 자기 이야기를 얻었지만 이 그림만은 자기 이야기를 얻지 못했다. 이 그림을 맡은 작가가 소설을 쓰지 못했기 때문이다. 프로젝트의 주창자인 로런스 블록은 독자들에게 이 그림을 맡겼고, 한국어 번역판을 낸 출판사도 지난 달까지 이 그림을 소재로 한 단편소설 공모를 했다. 과연 어떤 이야기들이 왔을까? 그리고 나는 어떤 이야기를 만들어낼 수 있을까. 이 소설집에 담긴 이야기들이 만족스럽지 않을지라도, 호퍼의 그림들은 계속해서 상상을 끌어내고 이야기들을 만들어낼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