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늘 아래 새로운 것은 없다는 말처럼, 콘셉트와 내용이 겹치는 책들이 종종 보인다. 얼마 전에 일본 작가 나카노 교코가 화가들의 유작을 소개하는 책『내 생애 마지막 그림』을 읽었는데, 한국 작가 이유리가 화가의 유작을 소개하는 책『화가의 마지막 그림』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됐다. 정확히 어느 쪽이 먼저인지는 알 수 없고, 어느 쪽이 다른 한 쪽을 모방했다고 단정짓고 싶지도 않다. 그저 두 책이 어떤 점에서 비슷하고 어떤 점에서 다른지 비교해 보고 싶었다. 나는 참 비교하기를 좋아하니까.


(위) 반 고흐의 유작으로 흔히 알려진 작품 <까마귀가 나는 밀밭>(1890) 

(아래) 네덜란드의 반 고흐 연구자들이 밝혀낸 유작 <나무 뿌리>(1890)


 두 책 모두가 다루는 화가가 둘 있는데, 한 사람은 빈센트 반 고흐이고 다른 한 사람은 산드로 보티첼리이다. 공정하지 않다고 하겠지만, 내가 사랑하는 화가 반 고흐에 대한 태도에서『화가의 마지막 그림』『내 생애 마지막 그림』보다 훨씬 좋은 인상을 주었다. 나카노 교코는 조금만 검색하면 나올 정보들만 나열하면서 반 고흐에 대한 경멸과 짜증을 숨기지 않고, 반 고흐의 마지막 작품이 <까마귀가 나는 밀밭>(1890)이라는 통설을 그대로 소개하고 있다. 반면 이유리는 네덜란드 연구자들이 2012년에 발표한 새로운 연구 결과들을 소개하며, <까마귀가 나는 밀밭>이 아니라 <나무 뿌리>가 반 고흐의 유작이라는 근거를 꼼꼼하게 제시한다. 어조에서나 반 고흐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결과들을 보여주는 열정에서나 반 고흐에 대한 연민과 애정이 느껴진다. 반 고흐의 팬으로서는 당연히 이쪽이 더 끌릴 수밖에 없다.


(위) 산드로 보티첼리, <아펠레스의 모략>, 1494. 

(아래) 산드로 보티첼리, <신비한 탄생>, 1501.


 반면 보티첼리 관련 장에서는 각 화가에 대해 좀 더 깊이 분석하는『내 생애 마지막 그림』의 장점이 돋보인다.『내 생애 마지막 그림』은『화가의 마지막 그림』보다 다루는 화가의 수가 적기도 하고, 소단원의 서문마다 화가들이 살았던 시대의 배경을 보충설명해, 화가가 살던 시대, 화가의 전반적인 삶을 좀 더 자세하게 소개하고 있다.  두 책 모두 광신적인 설교자 사보나롤라에게 감화된 이후 보테첼리가 종교적인 사람이 되었다는 이야기를 하고 있다. 그러나『화가의 마지막 그림』이 <신비한 탄생>(1501)을 통해 단순히 보티첼리가 종교적 주제에 몰두했다는 것만 이야기하는 반면,『내 생애 마지막 그림』은 <아펠레스의 모략>(1494) 속 딱딱하게 그려진 누드를 통해, 보티첼리가 종교적 열정과 금욕적인 자세 때문에 원래의 자연스럽고 우아한 누드를 잃어버린 것까지 이야기한다. 화가의 삶과 그가 산 시대를 소개하는 측면에서는『내 생애 마지막 그림』의 내용이 좀 더 풍성하다. 


마크 로스코, <무제>, 1970. 로스코의 시신이 발견됐을 당시 화실에 이 작품이 놓여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화가의 마지막 작품을 이야기하는 데는『화가의 마지막 그림』의 두괄식 구성이 더 효과적이라고 생각한다.『화가의 마지막 그림』의 거의 모든 챕터는 화가의 마지막 작품에 대한 설명으로 시작한다. 마크 로스코의 시신이 발견된 화실에 걸려 있었던 유작 <무제>(1970), 에곤 실레 자신이 아내와 같은 전염병으로 죽기 며칠 전 아내의 마지막 모습을 그린 <죽기 직전의 에디트 실레>(1918), 아내와 함께 세상에게 보내는 고별인사 같은 에드워드 호퍼의 유작 <두 코미디언>(1976) 등 화가의 마지막 이야기가 담긴 작품들은 시작부터 독자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긴다. 화가의 마지막 작품과 최후를 보여주었다, 그가 마지막까지 오게 된 과정을 설명하고, 다시 화가의 마지막에 대한 코멘트를 남기는 구성은 현재와 과거를 오가는 영화 같은 느낌을 준다. 그래서 나는 '화가의 마지막'을 더욱 강렬히 전달한『화가의 마지막 그림』 쪽의 손을 들어주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