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세상을 리셋하고 싶습니다
엄기호 지음 / 창비 / 2016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PC를 리셋하듯이 답답한 세상을 리셋해 버리고 싶을 때 이 책의 과격한 제목에 끌리게 된다. 하지만 이 책은 "망할 놈의 세상 리셋해 버리고 싶다"고 말하는 책이 아니다. 사람들이 왜 '이 놈의 세상 갈아엎어 버려야지'라고 말하게 되었는지 살펴보고, 갈아엎을 수도 리셋할 수도 없는 세상에서 우리가 어떻게 해야 할지를 이야기하는 책이다. 그렇기 때문에 과격한 제목과 달리, 저자는 분노하지도 않고 냉소하지도 않고 차분히 이야기를 풀어나간다.

  국민의 힘으로 부패한 권력을 몰아내고 새로운 정부가 들어섰지만 아직도 희망은 멀게만 느껴진다. 정치, 경제, 외교, 국방 등 여러 분야에서 우리가 생각지도 못했던 문제들이 계속 튀어나오고 있고, 경제난, 취업난은 도무지 끝나지 않는다. 게다가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 곳곳에서 약자와 소수자들에 대한 혐오와 차별이 공공연해지고 있다. 이처럼 지금의 한국은 희망이 없는 사회라고 저자는 이야기한다. 희망이 없기에 모든 것을 아예 백지 상태로 돌리고 싶다고 소망하는 것밖에는 아무 것도 할 수 없는 것이다.

  저자는 희망이 없어졌을 때의 사람들의 반응을 두 가지로 나눈다. 무기력해지거나 분노하거나. 세상은 사람들에게 자기 한계를 뛰어넘는 노력, '노오력'을 하라고 요구하지만, '노오력'하면 될 것이라는 기대는 쉽게 배신당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노오력'하면서 자신을 극한으로 몰아붙이면서 소진시키다 우울증에 빠지는 사람들이 있는가 하면. '노오력'하지 않는다고 생각되는 타인들에게 분노하는 사람들이 있다. 이들은 사회적 약자들이 노력을 하지도 않으면서 특혜만 받는다고 여기고, 사회적 약자들을 위한 조치들이 불공정한 특혜라고 생각한다. 무기력과 분노는 개인의 내면을 잠식하고 때로는 타인을 혐오하고 폭력을 가하게 만들면서 개인들을 병들게 한다. 

  저자는 개인을 병들게 하는 것이 사회의 무능이라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개인의 심리에서 시야를 넓혀 개인들이 '리셋'을 바라게 만드는 사회를 살펴본다. 중세 국가는 '죽게 하고 살게 내버려 두는 권력', 즉 공개처형을 통해 권력의 위엄을 보이고 사는 문제는 개인이 각자 알아서 하게 두는 국가였다. 반면 근대 국가는 개인의 노동력을 활용하기 위해 질병, 경제적 어려움, 재난에서 개인의 생명을 지키고 돌보았다. 그러나 저자가 보는 지금의 한국은 '살게 내버려 두고 죽게 내버려두는 국가'이다. 메르스 사태와 세월호 사건은 질병과 재난 앞에서 국민들을 지켜주지 못하는 국가의 무능함을 보여주었다. 구의역에서 실습생 혼자 스크린도어를 수리하다 달려오는 전동차에 치여 숨졌을 때, 사고 원인은 보호 조치 없이 실습생을 현장에 밀어넣은 업체가 아닌 안전수칙을 제대로 지키지 않은 실습생의 탓으로 돌아갔다. 우리는 제도의 보호를 받지 못하고 굶어죽음과 언제나 죽음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는 생존, 두 가지 죽음 앞에 놓여 있다는 저자의 말에서 우리가 얼마나 큰 위험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지를 다시금 느낄 수 있다. 

  사람들은 사적인 관계에서도 안전하지 않다. 저자는 자신의 수업을 듣는 학생들의 대다수가 말 한 마디 잘못했다 SNS상에서 위험에 처했던 경험 때문에 SNS를 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된다. SNS에서 글을 쓰거나 댓글을 달았을 때 생각지 못한 부분에서 공격을 당하고, 그 뒤로는 '눈팅'만 하거나 댓글 하나를 쓸 때도 자기검열을 하게 되어버린다. 가장 안전하다고 생각했던 연인도 데이트 폭력이나 데이트 강간, 리벤지 포르노(연인과의 성행위를 녹화했다 헤어졌을 때 복수하려고 인터넷에 영상을 유포하는 행위)의 가해자가 될 수 있다. 사회적 존재로서 공동세계에 참여하고 관계를 맺고 살아가는 것 자체조차 위험해진 것이다. 우리는 결국 아무 것도 하지 않는 것이 안전하다는 것을 깨닫게 된다. 하지만 그것은 인간으로서의 존엄을 잃은 안전, 사회적 인간으로서 죽은 상태에 불과하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존엄과 안전 모두를 요구해야 한다고 저자는 주장한다. 단순히 생물학적 안전을 위해 가만히 있는 삶이 아닌, 사회적 존재로서 자신의 의견과 활동의 안전이 보장되는 사회가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저자는 리셋 대신 전환을 꿈꾼다. 미국의 트럼프와 필리핀의 두테르테는 비상식적일 정도로 과격한 정치 노선을 보여주었고, 사람들은 정치판 자체를 리셋할 것이라는 기대로 그들을 선택했다. 그러나 근본적인 문제는 결코 해결되지 않고 리셋이나 혁명 뒤에도 거의 모든 것은 과거와 다를 것 없이 지속된다. 그렇기 때문에 혁명 이전에 미리 혁명 이후를 살아봐야 한다고 주장한다. 혁명을 완성하기 전에 혁명 이후, 민주주의적인 삶의 일부라도 조금씩 미리 경험해 보는 것이다. 그리고 서로에게 말을 걸고, 서로에게 손을 내밀자고 이야기한다. 물론 낭만적인 환상에 빠져 있어서는 안 되겠지만, 소통의 경험은 우리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협력이 획일적인 동원이나 개인적인 노력들의 기계적 연결이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 성과를 내기 위해 진정한 협력이라기보다는 기계적인 분업에 가깝고, 독박을 쓰는 성실한 학생과 무임승차자로 나뉘는 경우가 많은 조별과제가 대표적인 실패 사례다. 그리고 위로와 공감을 넘어 상대에게 새로운 제안을 계속하며 상대의 참여와 협력을 이끌어내는 과정이 필요하다고 이야기한다. 

  이렇게 저자는 과격한 리셋 대신 점진적이지만 꾸준한 전환을 꿈꾼다. 저자는 광장의 수많은 사람들 중 한 점으로서 협력하되, 자신과 나란히 점으로 있던 다른 이의 얼굴, 그가 지닌 나와 평등한 존엄을 기억하자고 이야기한다. 그렇게 해서 대의 민주주의가 멈춰섰던 곳을 넘어서 더 멀리 나아가는 꿈을 꾸는 것이다. 무기력과 분노, 혐오가 들끓는 세상, 희망과 절망이 엇갈리면서 조증과 울증을 오가게 만드는 세상에서 저자는 좀 더 길게 보고 평상심을 회복하며 세상을 회복시켜 가자고 주장한다. 그의 꿈이 '망할 놈의 세상 망해버렸으면 좋겠다'를 하루에도 몇 번씩 외치던 사람들의 내면뿐만 아니라 세상 자체를 회복시킬 실마리가 되길 바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