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종교 이야기 - 유대교 기독교 이슬람교, 믿음과 분쟁의 역사
홍익희 지음 / 행성B(행성비)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 기독교 신자 분에게 기독교의 여호와와 이슬람의 알라는 같은 신이라고 이야기한 적이 있습니다그랬더니 그분은 화를 내며 저를 이단 취급 하시더군요그리고 제가 사는 지역에 이슬람 사원이 들어온다고 하자지역 교회들이 연합해서 이슬람의 포교 음모에 맞서는’ 릴레이 기도회를 열기도 했습니다이렇게 당장 주위만 둘러봐도 기독교의 이슬람에 대한 무지와 적대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그리고 더 넓게 살펴보면 세계 곳곳에서 유대교와 기독교이슬람교가 서로 갈등하면서 유혈사태를 빚어내기까지 합니다이런 현실 속에서 세 종교의 역사를 총 정리한 책 세 종교 이야기는 세 종교가 서로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는 데 도움을 줍니다서로에 대한 이해는 갈등을 푸는 첫 걸음이니까요.


  저자는 세 종교 중 어느 한 쪽이 우월하다거나 옳다고 주장하지 않습니다저자는 세 종교 중 어디에도 치우치지 않는 객관적인 시선으로 세 종교의 역사와 기본 교리를 설명한 뒤세 종교가 어떤 공통점과 차이점을 가졌는지세 종교가 어떻게 때로는 협력하고 때로는 갈등하면서 서로에게 영향을 미쳤는지 폭넓게 살펴보고 있습니다고대의 수메르 문명에서 2차 세계대전 당시 나치의 유대인 학살현대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갈등까지 저자는 다양한 시간대와 지역을 넘나들며 세 종교의 역사를 풀어나갑니다덕분에 독자들은 더 폭넓은 시각으로 세 종교를 바라볼 수 있게 됩니다그리고 세 종교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기본 교리들과 세 종교의 역사 속 결정적인 순간들을 정리해서세 종교에 대한 기본적 이해를 쌓을 수 있게 돕고 있습니다저자가 쉽고 간결한 문체로 설명하는 덕분에다소 많은 분량임에도 술술 읽히고 쉽게 이해됩니다.


  하지만 세 종교에 대한 심도 있는 관찰과 분석을 기대하신 분들은 아쉬울 수 있습니다세 종교의 역사와 교리갈등을 400여 페이지의 책 한 권에 담아내다 보니 아주 깊이 있게 분석하지는 못하고 있습니다사실 각 꼭지의 주제들이 자세히 풀어내면 단행본 한 권심지어 여러 권 분량이 될 만큼 할 이야기가 많은 주제들이니까요그리고 고대의 블레셋 사람들과 현재의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혈연적인 연관성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는데(현재의 팔레스타인 사람들은 고대의 블레셋 사람들의 후손이 아니라 팔레스타인 지역에 사는 아랍인들입니다.) 지금의 팔레스타인이 블레셋에서 유래되었다고 설명하고카타콤은 주로 지하묘지로 사용되고 로마시대 기독교인들은 가정에서 예배를 드렸는데 카타콤이 비밀 예배당으로 사용됐다고 설명하는 등의 오류들도 눈에 보입니다그리고 저자가 유대인 전문가이다 보니 세 종교의 분량이 서로 적절하게 균형을 이루고 있다기보다는유대교 쪽이 상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도 아쉬운 부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세 종교 이야기는 세 종교에 대한 심화분석이라기보다는 세 종교에 대한 기초적인 이해를 쌓는 입문서의 역할을 하는 책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참고문헌들도 각주와 부록으로 정리되어 있어독자들이 각각의 주제에 대해 호기심을 가지고 더 깊이 있게 탐색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세 종교 중 한 종교의 신자이든셋 중 어느 종교의 신자도 아닌 사람이든이 책을 읽으면서 세 종교에 대한 오해와 편견에서 벗어나 이해의 폭을 넓히게 될 수 있을 것입니다그것이 세 종교 사이의 화해와 상호존중을 이루는 데 첫걸음이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