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토피아 을유세계사상고전
토머스 모어 지음, 주경철 옮김 / 을유문화사 / 2007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유토피아(Utopia)'라는 말은 이제 '이상향'을 가리키는 흔한 말이 되었다하지만 과연 토머스 모어는 유토피아라는 말을 우리가 흔히 생각하는 이상향을 뜻하는 말로 만들어낸 것일까유토피아라는 말을 탄생시킨 그의 소설 유토피아를 읽어보면그가 생각했던 유토피아가 우리가 생각하는 이상향과는 매우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소설에서 토머스 모어는 친구들과 함께 포르투갈인 선원 라파엘 히슬로다에우스에게서 유토피아라는 나라의 이야기를 듣는다유토피아에는 사유재산이 존재하지 않으며함께 노동해서 얻은 대가를 공평하게 나누어 가진다모두가 재화를 풍족하게 쓸 수 있기 때문에 사람들은 재화에 욕심을 내지 않고,보석은 길가에 굴러다니는 돌멩이 취급을 받는다죄인에게는 신체에 가혹한 형벌을 내리는 대신 노동을 하면서 스스로 잘못을 뉘우치게 한다그리고 종교의 자유가 보장되며 서로의 종교를 비난하거나 모욕하지 않는다.(그런데 정작 모어 본인은 종교재판에서 개신교도들을 화형시켰다는 것이 아이러니하다.)

  이러한 모습들을 보면 유토피아는 이상적인 사회이다하지만 사회의 구성원들 모두가 사리사욕이 없는 인간일 때에야 실현 가능한 사회이다하지만 사리사욕이 전혀 없는 인간이 과연 존재할까? 모어 자신도 실현 가능성이 없는 사회라고 생각했기에 '어디에도 없는 곳(그리스어 ou(없는)와 topos(장소)를 합친 말)'이라는 뜻의 유토피아라는 이름을 붙였을 것이다그리고 유토피아 내부의 제도들 중에서도 합리적이지 못하거나 다른 제도나 관습과 모순되는 것들도 있다. 심지어 유토피아조차도 노예와 식민지를 거느리고 있다.(16세기의 인물인 저자의 한계로 볼 수 있다.)유토피아도 결코 완벽한 이상향은 아닌 것이다.

  모어가 유토피아를 저술했던 당시 유럽에서는 지배층들이 백성들을 착취했고지주들이 재산을 더 늘리기 위해 농경지를 목장으로 바꾸고 소작농들을 내몰았다. (이런 현상을 인클로저 운동이라고 한다. 인클로저 운동으로 인해 빈부격차와 실업율 증가, 빈민 문제 등의 사회 문제들이 대두되었다.) 이런 현실이 이 책에서는 "양은 온순한 동물이지만 영국에서는 인간을 잡아 먹는다."고 표현된다. 이런 영국의 현실에주인공 히슬로다에우스는 가난으로 고통 받고 도둑으로 전락하는 일이 없게 하기 위해 모두에게 약간의 생계수단을 주자는 혁신적인 주장까지 한다. 이 책이 나온 지 600년이 지난 지금에도 이런 기본소득제(재산이나 소득의 유무, 노동 여부나 노동 의사와 관계없이 사회 구성원 모두에게 최소한의 생활비를 지급하는 제도)의 도입을 두고 찬반 논란이 일어나고 있으니, 당시로서는 얼마나 파격적인 제안이었는지 알 수 있다. 

  유토피아는 당시 현실의 완벽한 대안이 될 수는 없었지만현실의 불합리함을 어떻게 개선할 것인가 고민하게 하는 역할을 했을 것이다토머스 모어의 유토피아는 완벽한 이상향이라기보다는 당대의 현실을 되돌아보게 하는 거울이었던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